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의 영농형 태양광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원빈(Won-Bin Kim),안주영(Ju-Young An),심근호(Geun-Ho Shim),엄지범(Ji-Bum Um) 한국농촌지도학회 2023 농촌지도와 개발 Vol.30 No.1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n the agricultural sector. Agrophotovoltaics, producing electricity while farm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grophotovoltaics. Using the UTAUT2 model,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impact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social influence, and investment utility on the intention to adopt Agrophotovoltaic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user’s innovativeness. We conducted a survey on farmers and obtained 212 respons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ffort expectancy and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adopt Agrophotovoltaics. Furthermore, innovativeness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investment utility, and acceptance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focusing supportive measures on innovative groups could promote the adoption of Agrophotovoltaics.

      • 신경초종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의 진단적 가치

        정일,김엄지,문태용,이인숙,송유선,최경운,Kim, Jeung Il,Kim, Um Ji,Moon, Tae Yong,Lee, In Sook,Song, You Seon,Choi, Kyung 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연부조직 종양 중 지방종과 신경초종(Schwannoma)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만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종양이다. 하지만 신경초종의 경우 종양의 특성상 MRI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신경주변에 생긴 다른 종양이 MRI상 신경초종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따라서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RI에서 신경초종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술 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상 신경초종(schwannoma)이 의심된 환자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 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신경초종이 나온 경우를 1군으로 하고, 다른 병변이 나온 경우를 2군으로 나누어서 MRI 상 신경초종을 의심할 수 있는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4예의 조직검사 결과 신경초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92예이며, 신경초종 외에 다른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는 12예였다. MRI 특이 소견중 target sign은 1군에서는 41예(45%), 2군에서는 없었으며, fascicular sign은 1군에서는 47예(51%), 2군에서는 2예(17%), fat split sign은 1군에서는 44예(48%), 2군에서는 5예(42%),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은 1군에서는 28예(30%), 2군에서는 1예(9%)가 나타났다. 위 네가지 소견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1군에서 8예(9%), 2군에서 6예(50%) 였다. 종양이 신경 주행 경로에 있는 경우는 1군에서 52예(57%), 2군에서 5예(42%)였다. Chi-squared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위의 네가지 소견 중 target sign이 신경초종의 진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신경초종 진단에 MRI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경초종이 지닌 여러가지 특성으로 인해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다른 종양으로 확진 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 그러므로 MRI상 과녁징후가 보이지 않는 신경초종의 경우에는 다른 종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 such as lipoma and Schwannom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ufficient in most cases. However, various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RI images of Schwannoma, thus other type of tumor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imag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May 2013, 104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rith MRI images are included in data, and the final diagnosis is confirmed with biopsy. Patients ar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who are confirmed as Schwannoma and other disease with biopsy, respectively. Results: 92 patients were diagnosed as Schwannoma (group 1) and 12 patients were diagnosed as other disease (group 2).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41 patients of group 1 (45%) and 0 patients of group 2 (0%) showed target sign, 47 patients of group 1 (51%) and 2 patients of group 2 (17%) showed fascicular sign, 44 patients of group 1 (48%)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showed fat split sign, 28 patients of group 1 (30%) and 1 patients of group 2(9%) showed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 and 8 patients of group 1 (9%) and 6 patients of group 2 (50%) showed none of four specific findings on their MRI images. 52 patients of group 1 (57%)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have tumors on the pathway of nerve. Target sig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diagnostic value of the sign we investigate (p<0.05). Conclusion: Although specific MRI findings have powerful diagnostic value, patient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findings. Therefore, if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based on MRI findings have no target sign on their MRI image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disease.

      • KCI등재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에 대한 비교

        정일(Jeung Il Kim),김엄지(Um Ji Kim),문남훈(Nam Hoon Moon),휘택(Hui Taek Kim),안태영(Tae Young Ahn),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 중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접근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되어 병적 골절로 진단된 환자는 총 15예로, 이 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8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여 골절 유합에 걸리는 기간과 원발 종양의 관해 정도를 비교하였다. 진단 시 평균 연령은 13.1세(1-19세)였고 남자 8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24.9개월(4-72개월)이었다. 치료 후 원발 종양의 관해에 대한 평가는 변형 Neer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연령, 성별, 평균 추시 관찰 기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은 15명의 환자 모두 2차적인 전위 없이 이루어졌고, 골유합에 걸리는 기간(p=0.164)과 종양의 관해정도(p=0.931) 모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 사이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에서 수술적 치료뿐 아니라 보존적 치료도 하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ve therapy and surgical therapy for a pathologic fractures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15 cases with a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4 to evaluate the fracture union period and remission of primary bone tumor. Eight case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y, and 7 cases by surgical therapy. The mean age was 13.1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1 year and 19 years; there were 8 male cases and 7 female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9 months, with a range from 4 months to 72 months. We evaluated the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ed Neer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and mean follow-up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thologic fracture was united in all cases without secondary displac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ure union period (p=0.164) and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p=0.93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We suggest that both conservative and surgical therapies can be a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 KCI등재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TRIGEN(TM) INTERTAN Nail (InterTAN)과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골수정(PFNA2)의 수술적 결과 비교

        장재훈 ( Jae Hoon Jang ),정일 ( Jeung Il Kim ),김엄지 ( Um Ji Kim ),문남훈 ( Nam Hoon Moon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2

        목 적: 본 연구는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TRIGENTM INTERTAN nail (InterTAN)이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골수정(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2, PFNA2)에 비해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내원하였던 환자 중 연구 포함 기준을 만족시키는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nterTAN군과 PFNA2군 간의 수술 시간, 출혈량, 술 후 방사선적 결과, 합병증 및 최종 추시에서의 임상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InterTAN군에서 골유합률 및 골유합까지의 기간, 최종 추시에서 두 군 간의 임상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terTAN군에서 tip apex distance가 유의한 수준으로 길었으며(p<0.05), PFNA2군에서 근위 대퇴골의 외측벽 골절 빈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위 골편의 활강은 PFNA2군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p<0.05).결 론: InterTAN군과 PFNA2군은 두 군 모두 우수한 유합률을 보이며, 임상 결과는 InterTAN군이 PFNA2군보다 우수하지 않고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at the TRIGEN (TM) INTERTAN nail (InterTAN) could show better clinical outcome compared to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2 (PFNA2) for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9 and December 2013, 164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o met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valuation variables, including operation time,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incidence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clin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and radiographic findings were assessed for comparison of the 2 implants. Results: Intraoperative lateral wall frac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FNA2 group (p<0.05) and tip apex dis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TAN group (p<0.05). Sliding of the proximal fragment at the last follow-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FNA2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on rate, time to un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s at the last follow-up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se data, clinical outcomes at the last follow-up were equivalent between InterTAN and PFNA2.

      •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대한 농가 도입 의사 분석

        소윤경(Yun-Kyeong So),한재환(Jae-Hwan Han),원빈(Won-Bin Kim),엄지범(Ji-Bum Um)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2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에 대한 농가의 인식을 살펴보고, 실증 모형을 이용해 농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가 3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순서형 프로빗 모형과 한계효과 분석을 이용하여 농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농가들은 기후변화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대한 인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 수준은 낮지만, 향후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의사는 71.8%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농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실가스 감축 동참 의향, 신재생에너지 미래 가치 등 총 열세 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 온실가스 감축 동참 의향 등 총 7개 설명변수가 종속변수인 농가의 신재생에너지기술 도입 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농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도입 확대를 위해서는 보조지원 사업을 확충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한 농가경영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농가에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가 신재생에너지 경영모델을 제시하여 농가 소득 증대 효과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농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보급 및 도입 의향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