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충격파에 의한 급성 신장 손상의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CT와 병리소견의 비교 CT and Pathologic Correlation

        김양수,곽병국,송인섭,심형진,김영구,이종범,이용철,김건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95 中央醫大誌 Vol.20 No.1

        Shock wave induced histopathologic changes of the kidney tissue have been elucidated by light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se gross morphologic changes have been imaged by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Ont to one correlation between pathologic and radiologic images, however, has not been made. It has controversial that anticoagulants may augment hemorrhagic complication of shock wave exposure. Shock waves were delivered to rabbit kidneys to correlate the pathologic and radiologic findings and to prove the effect of anticoagulants. 15 rabbits were experimented for this study and devided into three groups[Group A : no medication, Group B : intravenous injection of Hypaque(2ml/kg) prior to shock wave exposure, Group C : intravenous injection of heparin (250 unit/kg) prior to shock wave exposure]. Rabbit's right kidney was saved for control and only left kidney was targeted by shock wave. EDAT LT 02 piezoelectric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tor was used and storage 20 and power 100% was set. Within one hour after complishment of shock wave exposure, CT was performed and rabbits were sacrificed within 24 hours after CT examination. The gross pathologic changes were mainly subcapsular hematoma and renal parenchymal hemorrhage. Light microscopic findings were various extent of parenchymal hemorrhage, tissue necrosis, tubular cast, and epithelial degeneration. Precontrast CT(n=10) depicted easily swelling, contour bulging, and distortion of renal architecture. Postcontrast CT(n=5) not only defined those findings better but also showed additionally subcapusular hematoma and extravasated contrast media in renal parenchyma. The presence and absence of morphology changes were relatively well correlated between CT and gross pathologic examination but severity of tissue damages was not well correlate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renal injuries among three groups of anticoagulant regimen.

      • KCI등재
      •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 수술 후 재활

        김양수,Kim, Yang-Soo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견관절의 안정요소 중 정적 안정요소는 관절와 상완 연골 인대 복합체나 관절 일치성 등으로서 재활 과정 중 신장 운동에 관여하며, 회전근 개 근육과 각 관절 사이의 운동 조화 등으로 이루어진 동적 안정요소는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재활이 이루어진다.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 후 재활은 복원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견갑와 상완 관절뿐만 아니라 견갑 흉곽 운동과 견갑골 부착 근육에 대한 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본문에 상술한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하여 개별화해야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 KCI등재
      • 80% 목표심박수의 Treadmill 보행시 glucose , TG , HDL , Lactate 의 변화

        김양수 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992 스포츠科學論叢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time course of plasma glucose, triglyceride(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restrol(HDL-C), lactate concentration in the 80% target heart rate(80% fHR) intensity running on the treadmill during the 60 minutes and recovery periods. The subjects participated this experiment were 4 male and 4 female hockey players of the Korean National Colle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Plasma gluco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rest and Changes of time course in the treadmill exercise all was slightly increased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t 15 minutes recovery periods. Triglyceride levels was 155.8 mg/dl in female and 89.5 mg/dl in male at rest but TG levels changed significantly different(P$lt;0.05) at 5 minutes.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restrol(HDL-C) was 68.2 mg/dl in male and 52.2 mg/dl in female at the rest and HDL-C changed 61.7 mg/dl in male and 73.5 mg/dl in female at 5 min. Lactic acid was slightly changed in 1.0-1.7 mmol/1 ranges a time course of treadmill exercise and recovery period. In exercise and recovery periods, Plasma lactate accumulation revealed similar levels in rest state so this 80%THR intensity running in well trained hockey player could supply with energy to be demanded for exercise system.

      • 고용량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치료 받은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에서 골밀도의 변화와 이차성 골다공증과 골 관련 질환의 발생

        김양수 대한골다공증학회 2008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6 No.2

        목적: 비호지킨 림프종은 완치 가능한 악성 질환으로 평균연령이 60세 전후에서 호발하는 질환이다. 주 치료제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며 치료 후 골다공증이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골 관련 질환이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골밀도의 변화와 골다공증의 발생을 알아보고 골 관련 질환의 위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도 3월부터 2008년도 3월까지 고신 대학교 복음병원 혈액종양내과에 내원하여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항암 화학 치료 전 골밀도와 치료 후 추적 골밀도 검사를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고용량 스테로이드로 적어도 3회 이상 치료를 받았으며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치료 후 골 관련 질환의 발생을 알아보았다. 결과: 60세 이상의 환자가 57%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 전 대퇴골 골밀도의 중앙값은 -1.9였고 요추의 중앙값은 -2.0였고 치료 전-2.5 이하를 보인 경우는 대퇴골에서 13.2%, 요추에서는 24.5%였다. 60세 이후의 환자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골밀도 값이 낮았다. 골 관련 질환의 발생은 골밀도의 감소만 보인 경우는 32%였으며 골밀도 감소와 압박골절이 있는 경우는 37%, 장골 골절이 있는 경우는 1.7%였다. 전체 대상 환자 약 70%에서 골 관련 질환이 발생하였다. 골 관련 질환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로는 60세 이상의 연령, 치료 전후 골밀도 감소와 치료 후 대퇴골 및 요추의 골밀도 감소가 0.5 이상이었으며 특히 다변량 분석에서 60세 이상의 연령과 요추의 골밀도가 0.5 이상 감소하는 경우 골 관련 질환의 발생과 의미 있게 나타났다. 결론: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로 치료받는 환자 중에서 60세 이상의 고령인 환자와 요추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경우 골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호지킨 림프종을 치료할 때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