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좌담] 라운드테이블: 한국여성문학연구의 궤적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날짜 2019년 10월 26일 토요일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604호사회 김양선 (한림대 일송자유교양대학 부교수) 패널 이상경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심진경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손유경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서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과 몸의 서사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8 No.-

        본고는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이 주로 다루는 '주체의 정체성 위기' 가 육체와 모종의 관련이 있다고 보고, 그것을 남성 육체가 재현되는 방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주체의 구성 과정이 어떻게 육체 라는 것을 주제화하는 방식과 연결되는지를 규명하고, 서사의 플롯을작동하는 원리와 육체 가 맺고 있는 관련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의 육체는 문제성이 없는 것으로 호기심과 재현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동시에 감춰졌다. 그런데 이 시기에 남성의 육체가 재현의 망에 들어온다. 1930년대 중반이후 모더니즘 소설은 남성의 몸을 병약찬 몸, 신경증이나 우울증에 걸린 몸 여성적인 것으로기호화된 몸으로 재현하고, 그런 자신의 육체를 발견해 가고, 육체에 각인된 사회적 의미를 탐색하는 주체를 형상화한다. 근대(성)에 대한 일련의 반성적 성찰이라는 맥락에서 남성의 몸은주체 위기를 되짚어보는 일차적 장소로, 병든 사회에 대한 기호로 때로는 그 사회에 편입되지않으려는 저항의 거점으로 기능한다. 이상 소설에 출현한 '여성화된 남성 은 모더니즘의 자기반영적 특질인 인공성의 단연이자남성 주체가 자기 정체를 연기(치 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고안한 것이다. 더욱이 죽음에 처한 몸, 처벌받는 몸처럼 자기 파괴적인 몸은 한갓 유희의 대상이 된다. 작가는 자명한 현실, 자명한 몸에 대한 상식을 전복하고, 몸에 새겨진 의미를 극대화함으로써 그것을 글쓰기의 차원에서 체현(embody)한다. 한편 최명익과 유항림은 환멸뿐인 현실, 주관적인 절망에 빠진 지식인의 이성중심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남성의 몸을 성찰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남성 주체는 암이나 각혈과 같이 몸에 벌어진 자명한 사실을 수용하면서 관념으로 주조되었던 이전의 세계를 부정하게 된다. 요컨대 몸의 발견과 야만의 시대에 대한 비판이 함께 함으로써 당대 현실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몸의 서사' 라는 관점에서 모더니즘 소설을 새롭게 읽을 경우 그것이 당시의 지배적인 몸담론에 대한 대항담론으로서의 성격을 띠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에재현된 남성의 몸은 근대적 삶에 포획되면서도 동시에 저항하는 주체의 불안한 내면을 기호화함으로써 당대 남성-지식인들의 향방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look for the way of representation of male body in the modernism novel in 1930’s. Because the identity crisis of subject is somewhat related with the body. So this thesis will illuminate how the construction of subject is connected with the thematization of ‘body’, and the narrative plot and ‘body’ are co-related. In the patriarchal society, the male body is considered as unproblematic, so it is excluded and concealed from the object of representation. Then modernism novel in he middle of 1930’s becomes to represent the male body as an ill, neurotic or melancholic body. Those are signified as the feminine. The modernism novel in this period finds that signified male body, and describes the subject who quests the social meaning carved at his body. In the context of reflection about modernity, the male body is functioned as the primary place for contemplating the subject's identity crisis, the sign of ill society, and the position for protesting toward that society. The ‘femininized male’ in Lee Sang's novel is designed for the artificiality, the sell-reflexivity of modernism. And it is designed for the strategy that the male subject acts/delays his identity. In addition to, the self-destructive body like dying body, punished body is not going beyond the object of a game. The writer upsets the idea of self-evident reality and body, and embodies the meaning of body at the practice of writing. Choi Meong k and Yu Hang Rim become to reflect the male body, because they intend to criticize the disillusioned reality, the intellectual's logocentrism. The male subject accept the self evident reality of body like cancer or blood-spitting, and he denies the prior world which is formed by an ideology or subjective despair. That is, he can judge the contemporary savage reality objectively with the discovery of body. If we rend the modernism novel in the standpoint of ‘the narrative of body', we can know that novel has the characteristic of counter-narrative about the prime narrative of body in 1930's. The male body which is represented in modernism novel signifies the disturbing inner mind of subject who is grasped but protest on modern life. So we can see the male-intellectual's path through that narrative of male bo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참여가 아동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

        김양선,김경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those of wielding participation on empowerment feeling in children, specifically in those who are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2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30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Cheongju-city.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on the children's empowerment level. In detailed sub-category analysis, teachers’ support and the exercise of participation in school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empowermen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poor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it seems necessary to actively provide social support and opportunities to wield participation in various settings. In conclusion, we suggested several specific social welfare practices for achieving this purpose.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참여가 아동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주시에 소재한 30개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이 한 번 이용하면 거의 매일 장기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참여 모두가 아동의 임파워먼트 수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교사지지가, 참여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학교에서의 참여가 아동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가장 많이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빈곤 아동의 임파워먼트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서 사회적 지지 향상 및 아동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복지실천과 지역사회 연계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과 수퍼바이저 지지가 미치는 영향

        김양선,신효정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와 수퍼바이저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대구·대전 등 4개의 지역에서 상담 경험이 있고, 수퍼비전 경험이 1회 이상인 3년 이하의 상담자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113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상태불안, 인지적 정서조절, 심리적 소진, 수퍼바이저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소모와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소모 사이에서 수퍼바이저의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서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갖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 여성문학 연구 장의 변전과 과제 -<한국여성문학학회>를 중심으로-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This thesis intends to look into how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roduced the feminist issue related with the women’s literature/culture, how it showed the change of the academical-institutional field in the women’s literature. That academic society can be evaluated that it enlarge the territory of women’s literature in the public institution. In third chapter, this thesis surveyed the themes of regular conferences and the representative publications which is projected by this academic society. And then, this thesis analyzed the journal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aspects of scholar’s sex,period of study object, writer who became the study object, etc, for examining the binding force of women’s point of view. The result of investigation is as follows. This journal is focused at women scholar’s academic writing, modern literature, and the study on writer or literary works(novels or poems). It means that this journal pursues the identity as the women’s literature essentially,but it has some limitations of ghetto which are focused on the women scholars-modern literature-study on the women writers or literary work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literary study and the ambiguous identity as the feminism must be overcome or solved in the future. The concrete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fundamental self examination about women’s literary study. Second,the expansion of the sphere of women’s literary study. Third,fostering of post generation. Fourth, exploration of ‘same but different’ issues and prospect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Eastern or Western Female literature. 이 논문은 <한국여성문학학회>를 중심으로 여성문학/문화와 관련하여 어떤 의제들을 생산했는지, 제도-아카데미 장 내로 진입한 여성문학연구 장 내부의 연구지형의 변화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지, 성과와 한계, 그리고 과제는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여성문학학회>는 여성문학 연구를 제도권안으로 견인함으로써 연구 장의 영역을 확장하고, 공론화하려는 여성문학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의지가 표출된 결과이다. 2장에서는 학회가 여성문학·문화연구의 동향과 쟁점을 어떻게 선도했는지학술대회 주제, 기획출판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술지 「여성문학연구」의 ‘여성주의적’ 관점이라는 구속성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점검하였다. 학술지의 전체 논문을 필자의 성별, 대상 시기, 연구 분야, 대상 작가 분포도, 학술지 체제 등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여성 필자-현대문학-작가, 작품론 중심이라는 통계 및 분석 결과는 「여성문학연구」가 여성문학이라는 특정 분야의 독자성을 추구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기도하지만 자칫 여성필자-현대문학-작가, 작품론 중심의 게토화에 머물 위험성이있음을 보여준다. 여성문학 연구의 독자적 존립가능성, 신진 여성연구자의 증가 등은 국문학연구 분야에서 여성주의적 관점이 관철된 성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여성문학 연구의 제도화와 여성(주의) 문학론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이 모호한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여성문학 연구의 자기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와 성찰, 재정립, 둘째,여성문학 연구 영역의 확장, 셋째, 학문 후속세대의 양성, 넷째, ‘국문학’ 연구의 틀을 벗어나 동아시아 여성문학, 영미 여성문학과의 접점을 찾음으로써 지역별, 민족별로 ‘같으면서도 다른’ 여성문학의 쟁점 및 전망을 설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 - 『사상계』 여성문학 비평과 여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lacement of woman-literature in 195․60’s which is focused on 『Sasanggye』. The reason why 『Sasanggye』 becomes the object of my study can be classified with two categories. First, 『Sasanggye』 dealt with ‘literature’ as the medi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and the context of the production of intellectual and culture in 195․60’s, and then it is assumed that this characteristics effected on the women’s works. Second, it is likely that 『Sasanggye』 led to the shift of generation in women writers and their own literary field, while producing the new generation’s literature. For confirming this assumption, this paper reviewed the criticism about women’s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bibliography and analysis about women’s literary works. In chapter2 ‘the project of literature in 『Sasanggye』’, focusing on the preface, the publication of literary supplement, literary symposium, 『Sasanggye』 tried to make the independent literary fiel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nother, anti-ideological literary field at that time. In chapter3 ‘how 『Sasanggye』 arranged or placed the women’s literature’, this magazine used the critical words like sensitivity, delicacy, introspectiveness, when dealt with the women’s works in monthly review or brief comment. That is, these criticisms differentiated women’s works from men’s works. And these critical discourses paid attention to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 in 1950․60s. In chapter4, ‘the figure of young woman and young generation’s differentiation from old world’, the three characteristics in women writer’s novels was suggested. These novels’ main characters were usually young women. The young women looked at Korean society after Korean war or 4.19 critically and pessimistically. And the new paradigms like the modernity project, longing for liberty, post-colonialism was presented in women’s point of view. First, their novels criticized the young man’s narrative which was focused on the anxiety, melancholy, and tame-ness, and made them awakened. Second, the young women criticized the patriarchal system and oppression by old generation, and showed their own wills to the liberty and independent life. Third, the married/unmarried women who lived on the unstable intellectual background tried to deny the romantic love and ordinary marriage system, so that caused the crack about the patriarchy. In conclusion, 『Sasanggy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literary field in 1950․60’s, but it was the ‘anti’-gendered media because of poverty of female literary discourse. However, it is true that this magazine helped ‘women’ writers entered the literary field while seeking the new generation. 『Sasanggye』 included new women writers inevitably, and the women writers were also allowed as the writer-subject, so that could lead the change in women’s literary field. 이 논문은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 양상을 『사상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상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사상계』가 195․60년대 지식 및 교양생산의 맥락에서, 그리고 현실참여의 매체로서 ‘문학’을 중시했고, 그것이 『사상계』수록 여성작가들의 작품에도 모종의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가정 때문이다. 둘째, 『사상계』가 새로운 세대의 문학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비록 소수라 하더라도 여성작가와 문학 장의 세대교체를 견인해냈을 것이라는 추측 때문이다. 이를 위해 『사상계』에 수록된 여성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서지사항 소개 및 분석뿐만 아니라 여성작가 작품에 대한 비평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2장 ‘사상계의 문학 기획’에서는 예비 작업으로서 권두언과 문예특집증간호, 문학심포지엄 등의 기획을 중심으로 『사상계』가 당시 순수문학 장과는 다른 사상과 이념 중심의 문학 장 형성에 주력했음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3장 ‘사상계는 여성문학을 어떻게 배치했나’에서는 여성작가 작품에 대한 월평, 단평류 글에서 여성을 감수성, 섬세함, 내성적과 같은 어휘들로 유표화 하였음을 밝혔다.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남성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것으로 여긴 것이다. 또한 195․60년대 신진 여성작가군의 등장에 주목했음을 알 수 있다. 4장 ‘여성-청춘의 표상과 세대론적 구별짓기’에서는 『사상계』 수록 여성작가 소설의 특성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여성-청춘을 주체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전후나 4.19 이후 한국 사회에 대한 비관적/비판적 시선을 유지하였으며, 근대 기획, 자유주의에 대한 갈망, 탈식민 기획과 같은 새로운 인식적 패러다임을 여성의 시각으로 다시 짠다. 첫째, 『사상계』에 수록된 여성작가들의 작품은 전후 불안과 우울, 무기력에 빠진 남성-청춘의 서사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 남성들의 각성을 견인한다. 둘째, 여성-청춘의 주체적 시각으로 가부장적 질서 및 구세대의 억압적 질서를 비판하고 자유에의 갈망, 주체적 삶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셋째, 전후의 불안한 지적 토양에서 성장한 기혼여성들이나 미혼여성들은 낭만적 사랑과 그 결실인 결혼 제도에 대한 불신과 환멸, 거부 등을 통해 가부장적 질서에 균열을 내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사상계』는 195․60년대 현대문학의 특징을 확정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지만 ‘여성’ 관련 문학 담론은 빈약한 ‘비’젠더적 매체였다. 하지만 이 잡지가 문단의 ‘새로운’ 세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문학 장에 진입하는 데 기여를 한 것도 사실이다. 『사상계』는 자발적이건, 비자발적이건 새로운 문학의 영토를 개척한 여성작가들을 포용할 수밖에 없었고, 여성작가들 역시 이 잡지를 통해 글쓰기 주체로서의 욕망을 인정받았고, 여성문학 장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