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의 GaLectin에 대한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제작과 진단에의 활용

        김아영,김영하,최보혜,트랑뉴겐,윤경재,이시혁,한혜림,고영호,Kim, A-Young,Kim, Young Ha,Choi, Bo-Hye,Nguyen, Trang,Yoon, Kyungjae Andrew,Lee, Si Hyeock,Han, Hye-Rim,Koh, Young 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1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PWN) 감염 소나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본 연구에서는 PWN특이적인 항원으로 알려진 PWN-GaLectin을 baculovirus발현체계로 발현시켜서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라이브러리를 제작 하는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중, PWN-GaLectin에 대한 높은 반응을 보이는 62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를 선별했다. 이들 중, 표준 PWN 감염소나무 PBS추출물과 PWN 단백질 추출물에 강한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 12개를 선별하여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한 limite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Mab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해서 표준 PWN 감염소나무 추출물에 대한 반응이 표준 정상 소나무 추출물 보다 높은 세포 주들을 선별했다. 그리고 추가로 PWN 단백질 추출물에 대해서 3종의 비 병원성 선충 단백질 추출물 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들도 선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b들을 우리는 현장과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re is no available tool that rapidly diagnoses pine wood nematode (PWN)-infected pine trees in the field.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nd purified PWN Galectin, which might be an antigen specific to PWN, using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We used PWN Galectin as an antigen for generating 1,464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abs). Among them, we selected 62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high reactivity to PWN Galectin. We further selected 12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high reactivity to the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extract. Additionally, two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no or extremely low reactivity were used as controls. The selected fusion hybridoma cell lines were subjected to limiting dilutions for selecting and establishing Mab-secreting cell lines showing higher reactivity to the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extract than to the standard normal pine tree PBS extract. Moreover, the selected fusion hybridoma cell lines were further selected based on their higher reactivity to PWN protein extracts than to three non-pathogenic nematode protein extracts. The Mab-secreting cell lines 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rapid diagnostic tool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r in laboratories for detecting PWN-infected pine trees or PWN.

      • 국가 자생천적 정보 구축 : 식물-해충-천적 관계를 망라한 국가 천적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및 전망

        김아영,이광수,김기경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자체 연구과제인 ‘자생 천적자원 발굴 및 증식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부터 한국 분포천적자원의 정보를 확인하고 분류학적 정보 및 생물 정보를 확보하여 ‘식물-해충’, ‘곤충-천적’ 관계에 대한 database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한반도 전체 곤충강 중 현재까지 수집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2016년까지국가 생물종 목록 기준 한국에 기록된 관속식물종수는 4,455종, 곤충종수는 16,993종이며, 이 중 445종의 식물을가해하는 736종의 해충정보와 574종의 곤충에 대한 628종의 천적 정보를 확보하였다. 이 중 식물-해충-천적의 삼중관계(tritrophic interaction)가 성립되는 건수는 632건 이었다. 그러나 식물을 가해하는 해충 및 천적 정보가 확보된 분류군은농업해충인 진딧물류에 대부분 편중되어 있어(363종, 63.2%) 좀 더 다양한 분류군에 대한 정보 확보가 추후의과제이다. 본 과제를 통해 앞으로 전 곤충종에 대한 천적정보 확보를 최종 목표로 국가 생물자원의 활용에 근간이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한 국내 연구들의 특성에 관한 고찰

        김아영,최유임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이 연구는 오차배제훈련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 연구의 특성 및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및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의 검색엔진을 통해 ‘오차배제’를 주요 키워드로 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검색하였다. 총 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와 특성 및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는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환자였으며, 독립변수는 오차배제훈련을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오차배제훈련과 시간차회상훈련을 함께 적용하고 있었다. 종속변인은 회상성공률, 기억력, 집중력, 인지수준, 일상생활활동, 우울이었다. 8편 중 3편(37.5%)은 집단연구였으며 5편(62.5%)은 단일대상연구였다. 분석대상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임상시험연구는 “보통”, 단일대상연구의 경우에는 “중간” 수준이 3편(60.0%), “높은” 수준 2편(40.0%)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없었다. 중재 효과는 모든 연구에서 종속변수가 향상 혹은 증가를 보고하였다. 결론 : 본 오차배제훈련 연구들은 모두 중간 이상의 질적 수준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며 치매 및 인지장애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본외래어 선정에 대한 시론

        김아영,김소영 한국어문학회 2023 語文學 Vol.- No.159

        외래어는 국어의 표현을 다양화하고 국제 통용 용어에 대한 지식을 확산한다는 긍정적 기능이 있지만, 그동안 언어정책적으로는 말다듬기 사업을 통해 쓰지 말아야 할 외래어만을 발표해 왔다. 본고에서는 국어 안에 안정된 자리를 잡아 행정, 언론, 교육 등 공적 영역에서 순화할 필요 없이 쓸 수 있는 외래어, 곧 기본외래어의 목록을 정책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기본외래어 선정을 위한 시론으로서 그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어에서 널리, 자주 쓰이며 대체가 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하다는 기본외래어의 조건을 고려하여 내국인·외국인·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용 기본어휘에서 외래어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이를 처음으로 기본외래어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기초 조사를 수행했던 국립국어원(1993)의 기본외래어 목록과 대조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기본외래어 목록을 시범적으로 제시하고, 기본외래어 선정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 목이버섯 병재배 배지에 따른 우수 균주 선발

        김아영,김민근,심순애,권진혁,장영호 한국버섯학회 2020 버섯 Vol.24 No.1

        목이버섯은 목이목 목이과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 흰목이과의 흰목이(Tremella fuciformis)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전북, 경북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방식은 주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소규모 봉지재배 형태이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봉지재배는 노동집약적이며 봄과 가을에 국한되어 규모화,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연중안정생산이 가능한 병재배에 적합한 자원을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최소배지(T1)와 톱밥의 비율을 90%까지 높인 배지(T2)를 이용해 40개의 자원을 병재배하였다. 그 결과 36개의 자원이 배양완료가 가능하였으며 그 중 17개의 자원에서 버섯 발생 이 되었다. 34개의 자원이 T2 배지에서 총재배소요일수가 단축되었고(최대 17일) 털목이버섯의 경우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40개의 자원 중 안정적 재배가 가 능한 털목이버섯 1개, 목이버섯 1개의 자원을 선발하였으며, 털목이버섯 재배 시 톱밥함량 90%의 배지가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음운의 삭제현상과 시간단위

        김아영 한국현대언어학회 1994 언어연구 Vol.10 No.1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what kind of subordinate tiers of a syllable can give a more efficient explanation of the segment deletion phenomenon in English. Segment deletion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phonological phenomena that can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syllable-based phonology. As far as the segment position in a syllable unit as well as segment quality in sequences of segments is a decisive factor of segment deletion, the syllable structure should be essentially introduced in analysing segment deletion. It is so frequently said that the syllable unit is hierarchically ordered that an additional reference is not necessary here, but the point is what kind of subordinate tiers of the syllable is more effective in explaining segment deletion. As the subordinate tier of the syllable node, three major units have been suggested : X unit, mora and CV. These three kinds of units explain phonological phenomena in their own ways, but it does not seem that any of them gives a definitive solution of the deletion phenomenon. I examine here how well these different units are able to explain the phenomenon on the assumption that any effective unit should show the reduction of time units which is to occur after a segment deletion, unless a compensatory lengthening happens. The result is that the CV tier is superior to the other two notions in analysing the phenomenon in the respect that it represents not only a timing unit but the contrastive quality of consonants and vowels. In conclusion, segment deletion must be dealt within the framework of syllable, and the CV tier can be established as the most effective subordinate timing unit. No less important than the subordinate unit of the syllable node, however, are such factors as sequential constraints, segment quality including sonority value and phonological feature and the segment position in a syl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