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코의 인권외교 혹은 중국과의 전략적 파트너 관계?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4

        It was unreasonable to expect the Czech-Chinese relations to develop through the traditional Czech foreign policy, which laid the human rights and democracy as a principle of diplomacy until the early 2010s. In 1999, the Czech government issued a "concept of foreign policy" that defined human rights and democracy as a principle of diplomacy and has made strong criticisms of human rights abuses and non-democratic states, including China and North Korea. The decisive factor in the change of Czech normative diplomacy into pragmatic diplomacy was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in 2009. The Czech government has begun to seek alternative economic partners to reduce its economic dependence on the European Union, including Germany. And it was at this point that China began to approach into Central and Eastern Europe with its "16 + 1 initiatives," and "the honeymoon period" of the Czech Republic and China began. However, the Czech pro-China policy is unlikely to continue in the long run. This is because the practical utility of pragmatic diplomacy is too small for the cost of giving up traditional human rights diplomacy of the czech republic. At the same time China is reluctant to focus on strategic partnerships with any one country in its 16+1 initiatives in exchange for sacrificing relations with other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states. Based on these backgrounds, Section 2 and 3 of this articl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zech human rights diplomacy and pragmatic diplomacy with China respectively. And Section 4 discusses the expectations and disappointments of Czech’s pragmatic diplomacy with China. In the last Section 5, as the pro-Chinese prime minister and president's term are coming to end, it is likely to end the honeymoon period with China before long. 2010년대 초반까지도 인권 보호와 민주주의 확산을 외교의 원칙으로 내세웠던 체코의 외교정책을 통해 볼 때, 체코와 중국의 관계발전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였다. 1999년 체코 정부는 ‘외교정책의 개념’을 통해 인권과 민주주의를 외교의 원칙으로 규정하면서 중국을 비롯한 인권탄압 국가와 비민주 국가에 대한 강력한 비난을 해왔다. 체코의 규범외교가 실리외교로 바뀐 결정적 계기는 2009년 유로 존 위기 이후 독일을 비롯한 유럽연합에 대한 경제적 의존을 줄이기 위해 대안적인 경제 파트너를 찾기 시작하면서 부터였다. 바로 이 시점에 중국은 ‘일대일로’와 ‘16+1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면서 중동부유럽으로 진출하기 시작했고, 체코와 중국의 허니문 기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체코의 친중국 정책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 같지는 않다. 당초 체코가 기대했던 인권외교 포기 비용 대비 실리외교의 실직적인 효용이 너무나 작기 때문이다. 중국 역시 16+1 이니셔티브와 일대일로라는 거대 프로젝트에서 어느 한 국가와의 전략적 파트너관계에 집중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문의 2절에서는 체코 인권외교의 특성을 살펴보고, 3절에서는 제만 등장 이후의 실리외교를 그리고 제4절에서는 경제적 결과를 기대한 체코 측의 규범외교 포기가 맞닥뜨린 기대와 실망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5절 맺음말에서는 친중국적인 현 총리와 대통령의 시기가 저물어 가면서 체코의 대중국 허니문 기간도 조만간 끝날 가능성이 있음을 전망한다.

      • KCI등재

        탈공산주의 동유럽 국가의 경제개혁과 민주화 평가 및 발전 방향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유럽 국가를 지리적인 측면과 정치,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동부유럽 북부국가군(Northern Tier of CEE)과 중동부유럽 남부국가군(Southern Tier of CEE)으로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한 국가군에 대해 현재까지의 경제발전과 정치개혁의 결과를 파악하고 또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국가별로 각각의 진행단계를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국가군뿐만 아니라 개별국가의 이행의 수준 차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개별 국가가 안고 있는 과제가 무엇이고 향후 경제적, 정치적 발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 국가군의 거시경제 지표와 정치발전의 수준을 서유럽 국가들, 특히 유럽연합 국가군과 비교함으로써, 동유럽 국가들은 지리적인 측면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발전과 경제발전의 수준 역시 유라시아의 경계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USAID와 Freedom House, World bank, Eurostat 등의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 개혁 수준 그리고 거시경제 지표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확인하고 개혁 수준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In this paper, I divide Eastern Europe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s such as Northern-tier of Central Eastern Europe(CEE), Southern-tier of CEE and Eurasian-tier states. After that I present the result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reform of each tiers and evaluate the progress of post-communist reforms by country. These assessments will show the differences of transition process of each groups of post-communist countries and make it clear what will be required of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for each groups, Futhermore comparing the differences the level of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between west and east european states, I make sure that east european post-communist states are located in-between west europe and eurasian states in terms of geography and the level of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article, I'd try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lee-develped countries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 ‘초월하기’와 편승전략을 중심으로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Since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taking different measures on the energy problem, it seems to be an impossible to settle the energy crisis for them which are almost totally dependent on Russian energy as soon as possible. If the European Union (EU) copes with it in combination with member states, the problem will be simple. But each countries have a tendency to take one’s own policy to solve energy problems.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energy policy of the EU and separate states through the concept on the energy security. Classifying the energy policy of the each countries into ‘transcending-uniform measures of EU,’ ‘banwagoning’ and ‘mixing the two measures’, I analyze the different policies which each countries of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states have taken. Since the CEE countries have been more dependent on the Russian energy than the west European countries, they will have to explore every possible avenue. With these different backgrounds, EU have a problem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in union. But it seems to be an advantage for CEE countries in union with the EU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러시아 에너지에 절대적으로 의존해 있는 중동부유럽은 에너지 문제에 대해 EU와의 공동 대응을 추진하고 있지만 동시에 개별 국가별로 상이한 접근을 하고 있어 에너지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만약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대해 공동의 대응을 한다면 문제는 단순해지겠지만, 개별 국가별로 러시아와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공동의 대응이 어려워지고 이로써 유럽연합 내에서도 에너지 문제를 둘러싼 이견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문에서는 에너지 안보에 대한 개념을 통해 유럽연합 공동의 대응방안과 중동부유럽 각국의 대응방안을 분리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각국별 에너지 전략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 대응, 편승 그리고 양자의 혼합형 등으로 구분해 살펴본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존의 안보의 의미를 확장해 에너지 문제가 단순히 정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보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대응, 러시아에의 편승 그리고 혼합정책으로 분리해 살펴본다. 특히 새로이 유럽연합에 가입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경우 기존 유럽연합 국가들보다도 훨씬 더 에너지 종속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유럽연합 수준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대응을 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유럽연합의 에너지 문제 공동대응을 살펴보며, 4장에서는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대응을 사례별로 구분해 살펴본다. 이런 논의를 통해서 중동부유럽은 전통적인 안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에서도 여전히 취약하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상이한 정책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공동의 대응이 적절한 위기 극복의 방안임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제어시스템 보안위협 및 대응방안 연구

        김신규,민병길,장문수,서정택 한국융합보안학회 2009 융합보안 논문지 Vol.9 No.1

        제어시스템은 에너지, 교통, 수자원 등의 운영을 제어하는 국가기반시설로 사고 발생시 국가적 재앙수준의 피해를 유발시킨다. 현대 전쟁에는 사이버전이 동반 수행되고 있으며 제어시스템은 제일의 목표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테러리스트들의 공격 목표대상이기도 하다. 이렇게 제어시 스템에 대한 사이버 테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제어시스템은 점점 외부에 노출되고 있다. 이는 효율적인 제어시스템 운용을 위해 제어시스템의 실시간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중추신경이라 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보 안위협과 시나리오 및 대응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ICS(Industrial Control System) is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That controls energy, transportation, water and so on. If ICS is Attacked by terrorists or enemy nations, Nation has been critically damaged. Today, the cyber war belongs to the general war. So, Critical infrastructure is a first target to terrorist or enemy nation for Cyber war. But, There are many security threats in ICS, because ICS connects to intranet or internet. In this paper, We discuss cyber security threats and scenarios in ICS. And, We propose cyber security measures in ICS.

      • KCI등재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과거청산 비교 연구 - ‘정화(lustrace)’의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

        김신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Most of the post-communist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projects to deal with the past. Measures to deal with the past are classified into judicial proceedings on the infringements of human rights which were done by communist regimes, truth-findings, reparations to the victims and personal vettings on his or her past behaviours. Although Czech and Slovakia had experienced common communist pasts from 1948 until 1989, they have been responding to the communist past quite differently. In 1991, when the Czech and Slovakia was single state as Czech and Sloavak Federal Republic, the federal parliament passed "Lustration law" to deal with the communist pasts. The aim of lustration law which was to vet high position officials whether they were agents or collaborators with communist secret police is to exclude some dubious high-positioned officials from their present and in the next some years positions. After the break-up of a common state in 1993, Czech republic have been pursuing the lustration law vigorously, but Slovakia has little interest in dealing with the past and did not enforce the lustration law until it's expiring in 1996. It was not until V. Mečiar was defeated in 1998 election that the dealing with past was started to be shown interest in public and political circles. The dealing with the past has been enforced in Slovakia until the Nation’s Memory Act which is on the disclosure of documents regarding the activity of state security authorities in the period 1939-1989 and on founding the Nation’s Memory Institute (Ústav pamäti národa) and on amending certain acts (553/2002 zákon) was passed in the The National Council. But in this case the Nation’s Memory Act is not alike in character with the lustration law in the Czech Republic. In fact the Nation’s Memory Act in Slovakia is not necessarily classified as lustration law which has been enforced in other post-communist countries. If so, why the Czech Republic and the Slovakia have been responding to the dealing with the past so differently is the question in this article. Although there are some factors why the Slovakia has pursued different measures to the past, I stress the two factors which have strong effects on the dealing with the past in Slovakia. Those are political games in Slovakia and different level of legitimacy on the communist regime between the Czechs and Slovaks. After all, the character of communist regimes and the mode of transition from communist regime to democratic one are important factors to analyze the causes and effects of lustration, but the specific political culture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dealing with the past and lustration in the Czech Republic and Slovakia. 탈공산주의 동유럽 국가들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과거청산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체로 과거청산의 방법은 인권침해에 대한 사법적인 절차를 밟거나, 잘못된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구축하려는 진실 위원회,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 그리고 인적인 검증작업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체코의 경우는 사법적인 절차, 진실 위원회, 보상, 검증작업을 전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체코는 특히 검증작업을 통한 인적인 청산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인적 청산이 과거와의 단절에서 핵심적인 측면이라는 기본적인 전제 때문이다. 슬로바키아의 경우는 진실 찾기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1998년부터 일정부분 논의가 시작되어 2002년 시작된 과거청산의 작업은 이미 민주화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인적 청산에 대한 기반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과거청산이 이미 정치적인 게임의 일종으로 여겨진 상황에서 본격적인 사법적인 절차, 보상, 검증을 추진하기에는 너무나 오랜 시간이 지났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슬로바키아의 경우는 일반인들이 과거 체코-슬로바키아 단일 국가 시기부터 공산당에 대해 체코인들 보다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슬로바키아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 공산정권 시기에 슬로바키아가 체코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았고 또 덜 탄압을 당했기 때문에 공산당에 대해 그리 큰 적대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런 측면에서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경우 ‘정화’는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또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체코에서의 정화가 인적 청산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슬로바키아에서의 정화는 의도적인 인적 청산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기억과 그에 대한 정보 공개를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자발적인 청산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결국 동유럽 각국에서 시행하는 과거청산은 기존 논의에서 주장하고 있듯이, 공산정권의 성격이나 이행의 양식 그리고 ‘현재의 정치’뿐만 아니라 각국의 특정한 정치문화에 대한 측면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헝가리 대통령의 헌법 권한과 비공식 영향력 연구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mpetences and informal powers of presidents in Hungary’s parliamentary system.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 the president's constitutional competences and informal powers in Chapter 2. In Chapter 3, I analyze Á. Göncz's role and influence that chan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 of office. In Chapter 4, I compare the exercise of powers of F. Mádl, L. Sólyom, and P. Schmitt and confirm tha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and the government have gradually decreased. In the last Chapter, I affirm that the reason why the actual influence of individual president was a great difference is not out of the official competences of the president but the informal powers. 본 논문은 의회제 국가인 헝가리 대통령의 공식 권한과 비공식 권한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대통령의 헌법상의 공식 권한과 비공식 권한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괸츠(Á. Göncz) 대통령의 1기와 2기 임기 사이에 달라진 대통령 역할과 그 영향력을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마들(F. Mádl)과 솔룜(L. Sólyom) 그리고 표절 시비로 사임한 슈미트(P. Schmitt) 대통령의 권한 행사를 비교해서 체제전환 이후 대통령과 총리, 정부 간의 첨예했던 대립이 점차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한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헌법상의 권한이 동일한 가운데 개별 대통령의 실제 영향력이 큰 차이를보였던 것은 대통령의 공식 권한이 아니라 비공식 권한에 그 원인이있음을 파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