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김시내,송정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initial acceptance pattern of Yangmingxue(陽明学) in 16th century: Focused on how literature on Yangmingxue got into Joseon Dynasty and how scholars reacted to it ever since Yangmingxue appeared in Ming Dynasty. The inflow of Yangmingxue including The Chuan Xi Lu(傳習錄) by Wang Shouren(王守仁) into Joseon Dynasty occurred in 16th century. It is the time when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got intensified and various levels of discussion had been attempted. The massacre of scholars and antipolitics evoked reflection on existing Neo-Confucian value and exploring new alternatives, and consequently Yangmingxue could be adopted. At the same time, Yangmingxue also got criticized, with Neo-Confucianism strengthened itself as the basis of national ruling order. Scholars of Chungju region played a large role in the initial acceptance of Yangmingxue through The Chuan Xi Lu, and followers of SungHon(成渾) school served a certain role in passing down Yangmingxue. However, literature on Yangmingxue could not be published because it was susp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Ryu Seongryong(柳成龍) had to transcribe A collection of Yang-ming’s works(陽明集) by hand and keep it to read. Critical literature on Yangmingxue such as Yi Duan Bian Zheng(異端辯正) by Zhan Ling(詹陵), Kun Zhi Ji(困知記) by Luo Qinshun(羅欽順), and Hsueh Pu Tung Pien(學蔀通辨) by Chen Chien(陳建), published and distributed as metal movable type or woodblock edition, engaging with reverence for original Zhuzixue(朱子學). There-through, the logic of literature on anti Yangmingxue could be easily spread. This phenomenon shows it’s tendency to distinctively accept studies in Joseon Dynasty. Yangmingxue could be one example in many cases which literature about reason and theory differed from mainstream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got banned and thus couldn’t be widely disseminated. 이 연구에서는 명대에 양명학이 발생한 이래로 양명학 관련 문헌이 조선에 어떤 배경에서 유입되고, 학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16세기를 중심으로 초기 수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왕수인(王守仁)의 『전습록』을 위시한 양명학 문헌의 조선 유입은 16세기에 이루어졌다.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다양한 차원의 논의가 시도되던 때이다. 사화와 반정으로 기존의 성리학적 가치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이 시도되면서 양명학 수용이 가능하였고, 동시에 성리학이 국가통치 이념으로 강화됨에 따라 양명학도 비판되었다. 『전습록』을 통한 양명학의 초기 수용에서는 충주 지역 사림들이 큰 역할을 하였으며, 우계학파에 속한 인물이 양명학 전승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렇지만 양명학 문헌은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인쇄․출판 되지 못하고 필사되어 유통되었다. 유성룡도 『양명집』을 필사하여 보관해 두고 읽었다. 첨릉(詹陵)의 『이단변정』,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 진건(陳建)의 『학부통변』 등 양명학 비판 문헌은 정통 주자학 존숭의 분위기와 맞물려 금속활자 또는 목판으로 간행․배포되어 양명학 비판에 관한 논리가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6세기 조선에서 주류의 범주에서 벗어난, 혹은 국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사유와 학설을 다룬 문헌들이 금서화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여러 사례 중에 양명학이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마키아벨리즘,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 그리고 일-가정 갈등

        김시내,정원호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선행 요인으로 상사의 마키아벨리즘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의 과정에서 상사의 조직정치지각과 부하의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군 간부(상사-부하 쌍)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6쌍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상사의 마키아벨리즘 특성은 부하의 일-가정 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또한, 마키아벨리즘 특성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다시 부하의 일-가정 갈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마키아벨리즘 특성이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정치지각이 정(+)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하였으며,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하의 회복탄력성이 부(-)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마키아벨리즘 특성이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을 매개로 부하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직정치지각과 회복탄력성이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 상사지원인식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시내,이지영,정원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7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6

        본 연구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상사지원인식이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상사지원인식과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육군 중대급 간부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상사지원인식은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사지원인식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은 다시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여 직무만족이 상사지원인식과 일탈행동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상사지원인식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이 정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하였으며, 상사지원인식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일탈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조직지원인식에 의해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uGe 상에 성장된 ZnO:Al 나노막대의 구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 평가

        김시내,정미나,오승준,이원재,구지은,허인혜,안형수,이삼녕,장지호,정희정,이병우,황현희 한국물리학회 2008 새물리 Vol.57 No.3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Al nanorods with different Al contents were investigated. The ZnO:Al nanorods were synthesized using a AuGe catalyst at a growth temperature of 600 $^\circ$C under an Ar gas flow of 600 sccm by changing the mixed-source weight ratio (Zn and Al powers) in a horizontal tube furnace. ZnO nanorods grown at 600 $^\circ$C under a carrier gas flour of 600 sccm showed a density of 17.125 ea/$\mu$m$^2$ and a uniform diameter of 50$\pm$10 nm with a $\pm$5 degree dispersion angle in a direction normal to the substrate. A strong UV emission was observed art 3.24 eV with a high relative emission ratio and a narrow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which indicated that the samples had high crystallinity. From the PL measurement, the peak position of the near-band-edge (NBE) emission of the ZnO:Al nanorods was shifted by $\sim$17 meV in the high-energy direction, which indicated an increase in the free carrier concentration due to Al doping in the ZnO nanorods. Also, the carrier concentration of the ZnO:Al nanorods (doped at 1 at.\%) was confirmed to be 1.09 $\times$ 10$^{21}$ cm$^{-3}$ by hall measurements at room temperature. ZnO:Al 나노막대의 Al 조성에 따른 구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ZnO:Al 나노막대는 수평형 열 산화로에서 AuGe 촉매를 이용하고 캐리어 가스인 Ar 가스 분위기하에서 Zn와 Al의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 합성되었다. AuGe 촉매 유무에 따른 나노막대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여 AuGe의 역할을 고찰하였고, ZnO 나노막대의 성장 조건 ($T_G$: 550 $\sim$ 700 $^\circ$C, Ar gas flow: 200 $\sim$ 1000 sccm)을 최적화 시켰다. 600 $^\circ$C, 600 sccm에서 성장된 ZnO 나노막대는 17.125 ea/$\mu$m$^2$의 밀도와, 50$\pm$10 nm 균일한 직경이 관찰되었고, 기판 면 방향에서 $\pm$5 degree의 분산각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온에서 발광특성 평가를 통해서 3.24 eV의 강한 UV 발광과 좁은 반치폭으로 양호한 결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반면 Al 도핑된 ZnO:Al 나노막대에서는, Al 도핑에 의해서 ZnO 나노막대의 형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발광 특성 평가에서 높은 에너지 쪽으로의 밴드 단의 피크 위치 변화를 통해, Al 농도 증가에 따른 나노막대 내부의 전하농도의 증가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예상은 실온에서 홀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가장 높은 Al 농도를 갖는 시료에서 고농도 ($<$1.09 $\times$ 10$^{21}$ cm$^{-3}$) 전하농도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줄리아 마샬(Julia Marshall)의 탐구모델을 중심으로 한 예술통합교육의 커리큘럼 개발 및 실행 방안 연구

        김시내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1

        The primary purpose in this study is to present models of arts-centered integrated learning through inquiry and guidelin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to be practically operated in the school. To this end, the term and concept of art integration were theoretically examined, and Julia Marshall, an American art education scholar, introduced learning models, curriculum development guidelines, and curriculum design methods for art-centered learning. Based on this model, artists and teachers develop and implement a curriculum together in the school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potential of art-centered integrated learning. 본 연구는 미술 중심 융합교육의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운영을 위한 학습 모델과 구체적인 커리큘럼 개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술통합교육의 용어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함께 통합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여러 방법론적 접근의 하나로 미국의 예술교육학자인 줄리아 마샬(Julia Marshall)의 탐구기반의 미술 중심 학습의 학습모델과 커리큘럼 개발지침, 수업 설계 방법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모델을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서 예술가와 교사가 함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예술통합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우울증 청소년 환자를 위한 미술치료사의 부모상담 체험 연구

        김시내,장연집 한국심리치료학회 2015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7 No.2

        미술치료사는 우울증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 할 때, 미술치료 후 회기의 1/5 정도의 시간 동안 부모와 만나게 되는데 이를 ‘부모상담’이라고 부른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이 우울증 청소년 환자를 위한 부모상담을 하면서 경험한 것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그것이 갖는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 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7명의 연구 참여자가 모집되었고, 그들의 생생한 체험을 이해하고 그 본질에 집중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 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소지자들로 모두 3년에서 5년간의 미술치 료 경험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1년 이상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을 미술치료하며 부모 상담을 하고 있다. 연구 참가자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심층면접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5 개의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우울증 청소년을 위해 부모 상담을 하는 미술치료사들은 환자만큼이나 환자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함을 깨닫고, 그 역동을 이해할 때 치료에 진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우울증 청소년의 부모들과 현장감 있는 부 모 상담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며, 학위과정에서 습득한 전문적 지식을 활용하게 되고 재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셋째, 부모 상담을 병행하는 미술치료사는 우울증 청소년의 작업을 통해 부모가 자신의 자녀를 이해하도록 도와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려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에게 우울증 청소년 환자 뿐 아니라 그들의 부모를 이해하고 만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미술 치료사가 우울증 청소년을 미술 치료를 수행할 때는 미술치료 회기 후 진행되는 부모 상담도 매우 중요 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며, 그를 위한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밝혀준다.

      • 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미술교육: 인지 학습이론과 경험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김시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3 No.-

        In this study, the Cognitive Learning Theory approach to metaverse-base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rough this,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to art education was explored.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play-learning theory, and embodied cognitive theory provide an important framework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metaverse. The metaverse is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rough practice and experiential learning, and using tools and materials within virtual environments to build and create artifacts and creations that represent one'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by establishing a learning system of social interaction and sharing, it provides a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creation. The elements of the metaverse as serious play, such as gamification, role play, and simulation, enable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earning. A metaverse environment that provides a multi-sensory experience can lead to new forms of creativity and artistic expression by generating and emerging ideas through the expansion of perception and network-connected experiences. Based on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uch as immersion and interactivity, experience and empathy, narrative, anywhere and imagination, it can be applied to public art, schools, museums, and art gallery education in various ways.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교육에 대한 인지적 접근과 경험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메타버스의 미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놀이학습이론, 체화된 인지이론은 메타버스 내에서 교육경험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구성주의적 인식론을 기반으로 실습과 경험을 통한 학습과 가상 환경 내에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여세계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나타내는 인공물과 창작물을 구축하고 생성할 수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유의 학습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창작을 위한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메타버스는 게임화, 역할극, 시뮬레이션 등의 진지한 놀이로서의 요소는 학습의 방법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다중감각적 체험을 제공하는 메타버스환경은 지각의 확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험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발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창의성과 예술적 표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징으로 몰입, 상호작용, 모든 장소(anywhere), 상상력을 들 수 있는데, 모든장소의 특성은 학생들은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에서 이중적이며 좀 더 폭넓은 행위 주체성을 누리며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공공미술을 통해 교실의 벽을벗어나 미술수업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리고 몰입과 상호작용적특성으로 메타버스의 시뮬레이션 환경은 몰입적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직접적 체험과 공감으로 예술품과 역사적 내러티브에 깊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간예술과 시간예술을 경험을 통합하는 새로운 창작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상력의 공간에서 새로운 예술 경험을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