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Resourc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NGOs in Korea

        Soung Wan Kim(金承完)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2

        본 연구는 Pfeffer & Salancik(1978)이 제시한 자원의존(resource dependence) 개념을 차용하여, 한국 환경NGO의 자원 특성과 조직간 환경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의 환경NGO들은 네트워크자원이 풍부한 반면, 내부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직활동에 있어서 외부자원이 많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자원은 환경NGO의 비제도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직의 정당성 확보와 관련성이 많다. 환경NGO가 제도적 활동인 토론회?세미나, 공청회 등에 참석하는 것보다 비제도적 활동을 하는 것이 조직의 평판이나 정당화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외부자원의 의존은 환경NGO 스스로가 내부자원의 역량을 강화하려는 인센티브가 발생하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한국의 환경NGO들은 회원 수, 회비수입 및 기타수입 등을 확충하여 조직의 환경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쉬운 외부자원에 의존함으로써 내부자원은 점점 고갈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책제언으로 환경NGO들의 자원 획득 전략과 활동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sourc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NGOs in Korea and their inter-organizational circumstances, adopting the concept of resource dependence presented by Pfeffer & Salancik(1978). It appears that environmental NGOs in Korea have abundant network resources while they lack internal resources. Because of this, the external resources play many roles in organiz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external resources have more impact on non-institutional activities. This is assumed to be in connection with the securing of legitimacy for an organization, because performing non-institutional activities carries more advantages for securing the reputation and legitimacy of an organization than participating in institutional activities such as forums, seminars and public hearings. However, relying on external resources has a serious downside, as it does not create incentive for the NGO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ts internal resources. While the Korean environmental NGOs rely on external resource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secure instead of achieving their environmental goals by increasing member-ship numbers, membership fees and other profits, their internal resources are being drained. In this context, as a political proposal, the environmental NGOs’ strategies and the direction of their activities for securing resource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의 다중매개효과

        김승완(Soung-Wan Kim),노성민(Sungmin Roh)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2차연도 조사에 참여한 5,527명 중 결측치를 제외한 922명이다. STATA 15.1, SPSS 22.0, PROCESS Macro 3.5.3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애인의 SNS 활동이 매개변인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매개변인 우울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에서 매개변인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장애인의 SNS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에 대한 양적·질적 수준 강화, SNS를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일자리 창출형 돌봄사업 추진,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the multi-media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5,527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lif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922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missing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ediating self-esteem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mediating depression. Since the parameters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s such as strengthe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SNS use,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SNS, promotion of job creation-type care projects, and customized strategies considering health condi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중증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 사례 연구

        김승완(Kim, Soung-Wa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의 국내 우수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중증장애인 고용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적기업 인증 직업재활시설 우수사례 기관으로 분류된 직업재활시설을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기준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수사례 기관들의 생산 업종은 대체로 2차 산업품목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한 가지 품목만 생산하기보다는 2가지 이상의 생산품을 함께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영업활동을 통한 매출액의 규모는 연평균 19억원 정도로 나타났다. 민간시장 매출액이 공공시장 매출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아직 우선구매제도를 통한 공공시장의 진출이 그렇게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중증장애인 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 수준은 853천원으로 나타나 직업재활시설 전체 월평균 임금 495천원보다는 약 72% 정도 높은 수준이지만 최저임금 116만원보다는 약 42.7% 낮은 수준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증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이 발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imary research for designing an alternative model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outstanding practices carried out by social enterprises in Korea. Hence, an evaluation on economic and social accomplishmen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had been certified as a social enterprise and categorized as an excellent service provider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ir average annual turnover acquired through operating and sales activities amounted to approximately KRW 1.9 billion. Specifically, private sector outstripped public domain in terms of revenue earned from each, indicating the latter operating through preferential procurement system has not yet been facilitated much. Secondly,, an average monthly salary of people with disability of the noted cases was reported to be around KRW 853,000. It is 72% higher than that of the entir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KRW 495,000, however, 42.7% lower than minimum wage, KRW 1.16 mill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practical policy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hiring people with disability.

      • KCI등재

        우리나라 장애인 중장기정책계획 분석 연구: 권리에 기반한 접근(RBA)을 중심으로

        김승완 ( Kim Soung-wa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2

        Despite many successes and changes in Korea’s disability policies according to welfare development plans for the disabled, the emphasis of such disability welfare plans has been placed more on the evolving aspects of the particip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 disabled, rather than on gaining a foothold of their rights to social participation and equality. Since the key point of the revised disability policy paradigm is “Rights-Based Approach (RBA),” there is a need for thi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Korea’s welfare development plan for the disabled. As such, this study utilized and analyzed the RBA approach measures of the Fourth Comprehensive Policy Pla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urrently in effect among Korea’s midand long-term policy plans for the disabled. First, although relevant government officials, experts, and disability organizations actively participated in working-level and plenary meetings in the planning phas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beneficiaries, meagerly participated. Second, as for its framework perspective, the fourth plan put more focus on the “demand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ather than on their “rights” throughout its four key policy areas, and the fourth plan has a limitation of not mentioning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in its preamble. Third, as for its content, the fourth plan did not set out, in its preamble, the plan for abiding by the CRPD, possibly by far the most important guideline for promoting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tems that need to be incorporated in Korea’s future policy pla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비정규직 기혼여성의 정규직 이행에 관한 연구

        김승완 ( Soung Wan Kim ),정상희 ( Sang Hee Ju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4 국가정책연구 Vol.28 No.2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여전히 50%를 밑돌고 있다. 대부분 기혼여성의 일자리는 비정규직으로 저임금의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또한 비정규직고용이 확산되면서 비정규직 일자리의 특성과 함께 비정규직으로 진입한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비정규직 기혼여성의 정규직 이행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여성가족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통해서 위험률(hazard rate)을 추정하였다.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 기혼여성의 정규직 전환에 상대적으로 더 적합한 업종이며, 높은 임금수준은 기혼여성의 정규직화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계의 괜찮은 경제적 수준과 높은 임금은 자녀양육에 대한 효과를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정규직을 선택하려는 유인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혼여성이 정규직으로 전환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In spite of the consistent interest and effort for the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rate of their economic participation in Korea has been still less than 50 percent. This could become a serious issue as most jobs for married women are contingent works and they have been thrown into poor working condition with low salary. With such characteristics of contingent employment, it poses another problem about whether contingent employees can change their temporary position to a permanent posi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position. Based on the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1st~3rd year), the hazard rate was estimated by using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service industry jobs offers relatively more opportunities of entering into permanent employment than manufacturing jobs. And a high wage level appears to be advantageous for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In other words, a fine economic level of household and a high wage can reduce the effects of child-rearing and increase the factors nudging to choose a permanent employment.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directions for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position.

      • KCI등재

        중고령 장애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김승완(Soung-Wan, Kim),전지혜(Ji-Hye, J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여성연구 Vol.90 No.1

        본 연구는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중고령 장애여성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선택하게 되는 요인과 함께 이러한 선택이 장애정도(중증, 경증)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장애인고용패널조사 (PSED, 2~7차년도)’에 참여한 50세 이상의 중고령 장애여성 1,857명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중증 및 경증 중고령 장애여성으로 구분하여 패널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고령 장애여성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비율은 매우 낮아서(중증 8%, 경증 16%), 노후 빈곤이 예상되었다. 둘째, 장애여성들의 장애정도와 상관없이 중경증 집단 모두, 교육수준, 취업여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주택소유 여부가 노후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여성이 취업을 하고, 교육수준이 높으며, 자가주택을 소유하고,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노후준비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셋째, 중증 중고령 장애여성과 경증 중고령 장애여성 간의 노후준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었다. 중증 중고령 장애여성의 경우에는 연령이 적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할 확률이 높아졌으며, 경증 중고령 장애여성의 경우에는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가구균등화지수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할 확률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중경증 중고령 장애여성 두 집단 모두 자산형성지원이나 취업지원, 교육지원 등을 통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도울 필요가 있으며, 장애정도에 따라 중증 장애여성의 경우 건강증진에 더욱 초점을 두고, 경증 장애여성의 경우 가구원의 경제력 및 특성이 고려된 노후준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led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to choos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especially focusing on different degrees of disabilities ( i. e., severe and mild). The 1,857 olde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rom 2nd to 7th years were included in the panel logi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 the majority of study participants did not prepare economic participation for aging, specifically 8% and 16% in the group with severe and mild disabilities) ; (b) as increasing study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socioeconomic status, and home-ownership, they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well ; (c) specifically as lower age and better healthy status, women with severe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As lower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higher level of households equivalence scale, women with mild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is significant influences of women’socioeconomic status and degrees of disability have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ortance in that it indicated the need for increased focus on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i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조직간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승완(Kim, Soung Wan)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nvironmental NGOs formed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s environmental policies evolved, and also to analyze NGO networks in terms of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The relational approach revealed that under President Kim Young-Sam. this sector displayed network characteristics b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al union movement. Under President Kim Dae-Jung’s presidency, a new structural characteristic arose from the fact that different organizations corresponded with various environmental NGOs. Using the positional approach and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ree environmental NGOs, the findings reveal that as changes occurred in the government. the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 and the Green Coalition became more closely entwine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hanges within the overall network of environmental NGOs, which was found to undergo changes in response to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shifts that occurred under each government. At the time of the early environmental movements, the environmental NGO sector displayed a network characteristic with a focus on one organization. Yet. in the first years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began to form according to environmental issues, and by the time of the Roh Mu-Hyun presidency, network characteristics involved a similar central role for environmental NGOs and a focus on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in addition to wider environmental issues, and thus underwent a transformation into more pluralistic networks.

      • KCI등재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도 비교 중심으로

        김승완(Soung-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장애정도에 따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8차(2015년) 조사에 참여한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187명,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606명이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모두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중 공식적 네트워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일수록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사회참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건강할수록, 정규직일수록, 자격증이 많을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 확대와 함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f wage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disabilities. The survey included 187 people with severe acquired disabilities and 606 people with moderate acquired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8th (2015)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official network activity increased for people with both severe and moderate acquired disabilities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 wom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ase of people with severe acquired disab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as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creased. In the case of people with moderate acquired disabilities, individuals who were healthier, more regular workers, and had higher qualifications had a greater positive th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increase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age earners with severe and moderate acquired disabilit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김승완(Soung wan Kim),노성민(Sung min R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본 연구는 인위적 재난과 자연적 재해 같은 국가위기 상황에서 장애인을 고려하지 않은 현 국가위기관리 대응체계를 살펴보고,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되풀이해 모으고, 교환하고, 발전시켜 수렴·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재난관리체계와 관련해 전담부처가 존재해야 하며, 전문가들은 보건복지부(37.5%)보다 국민안전처(50.0%)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2.5%의 전문가 의견조사 참여자들은 어느 특정부처를 선택하기 보다는 두 기관이 협력해서 장애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전문가들은 재난관리체계의 생애주기 중 재난 대응단계(43.8%)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재난 대응단계에서는 비상·경보체계를 작동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장애인을 효과적으로 구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으며, 그 예로서 장애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개별적 지원체계의 마련, 장애인 재난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부서의 설치, 지방정부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전문가에 의한 장애인 재난지원계획의 수립, 그리고 중앙정부가 거시적 가이드라인과 재정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지방정부가 실행계획을 마련하는 협력적 관계의 정립 등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problems in a curren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that does not consider the disabled in the face of manmade catastrophes and natural disasters, and to conduct an expert opinion surve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isabled-inclusive publ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revealed a need for a designated government department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s for the disabled and the experts preferred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50%) tha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7.5%). However, 12.5% of the surveyed experts perceive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Ministries, rather than selecting a certain ministry, as necessary to establish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Additionally, the experts recognized the response period (43.8%) of the disaster management life cycle to be the most important phase. Thus, at the disaster response period, the experts suggested utilizing an emergency alarm system to effectively rescue the disabled in the face of disaster.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paper explores ways to establish a disabled-inclusive public disaster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유나리,김승완,Yoo, Nari,Kim, Soung-Wa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하여 구축되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교하게 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화 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자본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화 역량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은 사회적 자본을 통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추진 시, 특히 온라인 사회참여와 교류 활성화 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influences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a mediator, social capital built up through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 conducts mediation analysis, comprised of three sets of regression by using the data of the "2018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information competency, the greater the social capital. In addition, social capital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mpetency and life satisfaction.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s to improve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facilitates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