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대 교회에서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을까?: ‘예루살렘 회의’(갈라 2,1-10)와 시노달리타스

        김승부(Kim, Seungbo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2 No.-

        In its document Synodality in the Life and Mission of the Church, the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 presents the 'Council of Jerusalem' reported in Acts 15:1-35 and Gal 2:1-10, as one of the sources that can provide norms for living the spirit of synodalitas in the Catholic Church. In the Council of Jerusalem, the early church dealt with a problem: is it required for Gentile Christians to observe the Mosaic Law or not. However, the document of the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 examines the contents of Acts 15:1-35 in detail, not specifically dealing with Gal 2:1-10. By studying Gal 2:1-10, this article would like to get the inspiration needed to live more abundantly synodalitas in the Catholic Church today. First of all, for the study of Gal 2:1-10, it is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then examined what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issues raised at the Council of Jerusalem. As a result, this study allows us to know more deeply the meaning of Christian encounters in God with the spirit of synodalitas, and the value of the discernment, of the respect of the ecclesiastical authority, of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hristians in the ecclesiastical meetings, of the listening to each other, 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on and charity.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에서는 󰡔교회의 삶과 사명 안에서 공동합의성󰡕이라는 문헌에서, 가톨릭교회 안에서 시노달리타스의 정신을 사는 데 있어서 규범을 제시할 수 있는 원천 중 하나로, 사도 15,1-35와 갈라 2,1-10에서 보도하는 ‘예루살렘 회의’를 언급한다. 예루살렘 회의는 초대 교회에서 이방계 그리스도인에게 모세 율법 준수를 요구할 것인가를 다룬 회의였다. 하지만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의 상기 문헌은 사도 15,1-35의 내용은 상세히 살피고 있지만, 갈라 2,1-10은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러므로 필자는 갈라 2,1-10을 연구하여, 오늘날 가톨릭교회 안에서 시노달리타스의 정신을 보다 풍요롭게 사는 데에 필요한 영감을 얻고자 한다. 이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필자는 먼저 이 성경 본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다음 무엇이 예루살렘 회의에 상정된 문제가 해결되는 데 기여하는지를 살폈는데, 이 연구는 시노달리타스를 지향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만남이 하느님 안에서 가지는 의미와, 식별 및 교회의 권위에 대한 존중, 교회의 모든 구성원의 참여와 서로에 대한 경청의 가치, 그리고 친교와 사랑의 관계를 보다 깊이 알게 해 주었다.

      • 마르 16,6-7에서 예고되는, 갈릴래아에서의 부활하신 예수와 제자들의 만남이 마르코복음의 독자에게 주는 영향

        김승부(Kim, Seungbo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4 이성과 신앙 Vol.56 No.-

        마르코복음은 갈릴래아에서 예수와 제자들이 만날 것을 예고하면서 끝을 맺는다. 이것은 복음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제기하게 만든다. 본 논문의 목적은 마르 16,6-7에서 전해지는 이 예고가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복음서에서 추정되는 독자의 이미지에 대한 고찰과 마르 1-9장에서 보도되는, 예수의 갈릴래아 활동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마르 16,6-7이 독자에게 주리라고 추정하게 한다. 독자는 마르코복음의 시작으로 돌아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가는 예수의 여정을 걷도록 초대되고, 갈릴래아에서 복음을 선포하는 예수의 신원과 그의 활동과 그에 따른 고난을 예루살렘에서 이루어지는 그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의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인도된다. 독자는 아울러 당신을 저버리고 떠난 제자들을 새롭게 부르시는 예수의 자비와, 자신이 일상에서 행하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명 실천의 깊은 의미를 발견하도록 초대된다. L'évangile de Marc se termine par l'annonce de la rencontre de Jésus ressuscité avec ses disciples(Mc 16, 6-7), sans rapporter sa réalisation. Cela entraîne le lecteur à poser plusieurs questions. L'objectif de cet article est de rechercher les effets de cette annonce sur le lecteur. L'observation de l'ensemble de l'image du lecteur relevée au cours de la lecture de l'évangile, et celle des activités missionnaires de Jésus en Galilée, rapportée en Mc ch. 1-9, permettent de déceler quelques effets en question. Le lecteur est en effet conduit à retourner au début de l'évangile pour recommencer l'itinéraire de Jésus vers Jérusalem, et à voir l'identité de Jésus qui proclame le Royaume de Dieu en Galilée à la lumière de l'événement pascal. Il est aussi invité à découvrir la miséricorde du Ressuscité pardonnant ses disciples qui l'ont délaissé lors de la Passion, en les appelant à le suivre de nouveau, ainsi que le sens profond de la mission chrétienne qu'il remplit dans son quotidien.

      • 누가 그리스도의 참사도인가?:코린토 2서 12장 12절에 나타나는 사도의 표지에 관한 연구

        김승부(Kim, Seungbo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1 No.-

        코린토 2서 12장 12절에서 바오로 사도는 그리스도의 참사도의 표지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 구절에 대한 현대어 성경 번역본의 번역은 다양하다. 그리고 이 다양한 번역은 같은 구절에서 바오로가 밝히는 사도의 표지를 성경의 독자가 서로 다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곧, 2코린 12,12에서는 먼저 ‘한결같은 인내’라는 표현이 나오고 뒤이어 ‘표징과 이적과 기적’이 등장하는데, 번역에 따라 이 ‘한결같은 인내’가 ‘표징과 이적과 기적’과 함께 사도의 표지로 여겨질 수도 있고, 아니면 이 ‘한결같은 인내’가 사도의 표지는 아니면서도 이 표지인 ‘표징과 이적과 기적’을 바오로가 어떤 자세로 행하는지 설명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구절에서 바오로가 제시하는 사도의 표지가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그리스어 문법의 관점에서 같은 구절을 분석하고, 이 구절이 코린토 2서 안에서 가지는 문맥을 고찰하였는데, 이 연구는 2코린 12,12에서 바오로가 언급하는 참사도의 우선적인 표지가 ‘한결같은 인내’이고, ‘표징과 이적과 기적’은 이를 수반하는 표지임을 알게 해주었다. In 2 Cor 12:12, the apostle Paul speaks of the sign of a true apostle of Christ. However, the biblical translations in modern Bibles on this verse vary, and these various translations offer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sign of an apostle that Paul reveals here. In the same verse, ‘great perseverance’ is followed by ‘signs and wonders and miracles.’ Depending on the way to translate, on the one hand, ‘great perseverance’ may be regarded as a sign of the apostle with ‘signs, wonders, and miracles.’ On the other hand, this ‘great perseverance’ may be regarded not as a sign of the apostle, but as an attitude with which Paul performs the sign of the apostle, that is ‘signs, wonders, and miracles.’ This article examines what is the sign of an apostle that Paul mentions in 2 Cor 12:12. A grammatical analysis of this verse in Greek and a study of its context in this Pauline letter, show that the primary sign of an apostle is ‘great perseverance’ and that ‘signs, wonders, and miracles’ are a sign that accompanies it.

      • Corneille, actif et responsable face aux interventions de Dieu en Ac 10,1-48

        김승부(Seung-Boo KIM)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0 가톨릭사상 Vol.- No.61

        이방인 코르넬리우스가 베드로 사도를 통하여 복음을 듣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되는 것을 전하는 사도행전 10장 1-48절은, 주의 깊게 읽어 보면 실상 코르넬리우스보다는 베드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부각시키고 있다. 베드로는 이방인의 구원을 위해서 하느님이 취한 주도권을 처음에는 이해하지 못하고 여기에 대립하는 입장에 서 있다가, 점차 하느님의 계획을 이해하고 그 실현에 협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코르넬리우스는 하느님의 명에 따라 베드로와 만나는 과정에서 수동적으로 머무르지 않고, 적극적인 자세로 행동한다. 그리고 그 결과 베드로의 변화에 기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코르넬리우스의 이 행동과 기여를 밝히는 데 있다. 설화비평과 역사비평을 활용한 본 논문의 연구는 코르넬리우스가 자신이 본 환시를 해석하고 그 해석에 따라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결과적으로 베드로가 하느님의 계획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주는 모습을 보여 준다. In Acts 10,1-48, Cornelius, who is a gentile, leads to have faith in Jesus Christ after he hears the Gospel through Peter the Apostle. If you read it closely, the one who changes indeed in Acts 10,1-48 is rather Peter than Cornelius, because the story highlights Peter who does not at first understand God’s plan for the salvation of gentiles and even opposes it but later comprehends God’s plan and cooperates with it. It is Cornelius who carries out God’s order actively, not passively, and contributes, as a result, for Peter’s change in Acts 10.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reveal this Cornelius’ acts and contribu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using the two methods of Narrative Criticism and Historical Criticism, shows that how Cornelius, after interpreting the vision for him, acts actively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and how he consequently helps Peter understand God’s plan.

      • 바오로의 밀레토스 설교(사도행전 20,17-38)에 비춰 본 그리스도교 교회봉사자의 자세

        김승부(Kim, Seungbo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사도 20,17-38에 나타나는 바오로 사도의 ‘밀레토스 설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회에서 다양한 책임을 맡고 있는 봉사자들의 자세에 대한 고찰에 있어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고찰에서는 특별히 한국천주교회의 신자들을 대상으로 신천지 교회가 펼치고 있는 선교의 도전 앞에서 교회의 봉사자로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염두에 두고 있다. 문학비평과 설화비평을 사용하여 사도행전의 이 본문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회의 봉사자들의 자세에 대해 이루어진 고찰은 교회의 봉사자들이 먼저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청한다. 곧 밀레토스 설교에서 바오로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자신의 청중인 에페소 교회의 원로들을 성장시키고 구원으로 이끌 수 있는 힘이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교회의 봉사자들도 스스로 하느님 말씀의 힘으로 살아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고찰은 아울러 교회의 봉사자들에게 신자들을 세심하게 돌보기를 요청한다. 바오로는 에페소 교회의 원로들에게 ‘사나운 이리들’과 같은 사람들이 교회 안에 나타나 신자들을 현혹할 것을 예고하며, 그들에게 '깨어' 신자들을 보살피라고 권고한다. Cet article a pour but de réfléchir sur les attitudes des chrétiens qui se sont engagés pour rendre de différents services dans l'Eglise catholique en Corée du Sud, à la lumière des résultats de l'analyse littéraire et de l'analyse narrative du discours de Milet en Ac 20,17-38. Dans cette réflexion, sera spécialement posée une question : comment ces chrétiens peuvent-ils efficacement réagir contre la stratégie de recrutement du secte Shincheonji? Cette réflexion a permis de déceler deux appels qui peuvent être lancés à ces chrétiens. Le premier concerne la nécessité pour eux de prendre d'abord soin d'eux-mêmes. Dans son discours de Milet qui s'adresse aux anciens de l'Eglise d'Ephèse, Paul souligne que l'Evangile a la puissance de les édifier et les conduire à la vie éternelle. Cela fait penser qu'il est important que les chrétiens qui sont au service d'une communauté chrétienne s'édifient grâce à la Parole de Dieu. Le second appel susceptible d'être lancé à ces chrétiens est relatif à la nécessité pour eux de prendre soin des fidèles qui leur sont confiés par Dieu. Paul demande en effet aux anciens qui l'écoutent d'être vigilants et de veiller sur "tout le troupeau dont l'Esprit Saint les a établis les gardiens"(Ac 20,28), après leur avoir annoncé que "des loups féroces" qui n'épargneront pas le troupeau s'introduiront dans l'Eglise d'Ephèse.

      • La conception de la dignité de l'homme en christianisme et la vision sociale des grands criminels 그리스도교 안에서의 인간 존엄성에 대한 개념과 중범죄자들에 대한 사회적 시각

        Geneviève Médevielle 지음,김승부(Kim, Seungboo) 옮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6 No.-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이해되는 인간 이해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발전되어 온 인간학과 대립을 이루는 것이 발견되는 사목의 한 분야가 있다면, 그것은 교정사목일 것이다. 사회는 중성범죄자(重性犯罪者)를 ‘괴물’(비인간적 실재)이라는 범주로 구별하지만 교회는 인간의 존엄성의 이름으로 비인간적인 행위를 할 수 있는 자의 인간성을 확인하고 있다. 이 논문은 모든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고 고백할 때, 그리스도교 인간학과 우리 사회의 인간학 사이의 대립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숙고한다. S’il est un lieu pastoral où la compréhension de l’homme nourrie par la foi chrétienne vient en contradiction avec l’anthropologie développée par nos sociétés, c’est celui de la présence de l’Eglise dans les prisons. Alors que la société risque de classer les criminels sexuels dans la catégorie des «monstres», l’Eglise, au nom de sa vision de la dignité humaine, atteste de l’humanité de celui qui est capable d’actes inhumains. L’article cherche à comprendre l’opposition entre l’anthropologie chrétienne et celle de nos sociétés quand l’Eglise confesse que tout homme est créé à l’image de Die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