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과 보충어 관계에서의 어순

        김승래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word order with headcomplement relations of English and Korean by analyzing them from the point of view Universal Grammar (UG), which is standardly assumed that UG allows a given hierarchical representation to be associated with more than one liner order. We looked at how GB eliminates category specific head-complement rules, highlighting in particular role of the Projection Principle. And we looked at the GPSG approach, which eliminates subcategorization frames, and then at the HPSG approach which like the GB approach eliminates category-specific head complement rules. This paper tried to show that lexical heads of the same class differ in the complements that they take. For example, English and Korean phrases consisting of a verb and its complement are thought of as symmetrical to one another, differing only in linear order. This paper proposes a restrictive theory of word order and phrase structure that denies this assumption. According to this theory, phrase structure always completely determines liner order, so that if the phrases differ in liner order, they must also differ in hierarchical structure. The antisymmetry is inherited from the more basic antisymmetry of linear order.

      • KCI등재

        청 말 상해 공공조계 공부국의 월계로 지구 내 도박 통제- 상해 영사단과 공부국의 협력 관계를 중심으로

        김승래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Researching history of urban administration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of Shanghai is closely related with extra-settlement road. This work focuses on Shanghai Municipal Council’s gambling control in the external road area in very early 20c, which related to SMC’s administration over the area. After 1899’s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there were many illegal gambling houses over the external road area, located on western side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using the camouflage of hotels and clubs owned by foreigners. Alhambra was famous, and from 1904 SMC police started to control the place. But it was almost impossible to control this place from two points, first SMC continuously violated the authority of the Spanish consul-general who at that time legally had jurisdiction over the place. Second, the owner of the Alhambra, Brown, used the blind spot of consular jurisdiction, and evaded consular trial. SMC had to cooperate with the Shanghai consul-generals, but at this point SMC didn’t trust them on this matter. But SMC failed to make its solution, too. Finally, by French consul-general who gave SMC police to search any time in his jurisdiction in the external road area, SMC requested similar power to other consul-generals. 11 countries allowed this, and other countries promised co-operation. As we can see from this, the cooperation of SMC and the Shanghai consul-generals was important to maintain control over the external road area. 월계축로의 연구는 조계 행정의 연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조계 행정의 작동 방식과 배경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 공부국의 월계로 지구 내 도박장 통제에 관해, 조계 행정과의 연관성 속에서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899년 조계 확장 이후 조계 서부의 월계로 지구에는 외국인이 운영하는 호텔이나 클럽을 중심으로 회원제의 비밀 불법 도박장이 운영되고 있었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했던 알함브라에 대해 공부국 경찰이 1904년부터 단속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알함브라의 단속은 관할 스페인 총영사관과 공부국의 의견 충돌에 더해, 소유자인 브라운이 영사재판권의 허점을 이용하여 국적을 불분명하게 하는 방식으로 책임을 회피하면서 난항을 겪는다. 공부국 동사회는 책임을 스페인 총영사에게 돌리려 하였으나, 오히려 상해 주재 영사단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스페인 총영사에게 공식적으로 사죄할 수밖에 없었다. 독일 총영사의 협조로 브라운을 체포하고 알함브라 폐쇄에 성공하지만, 이는 역으로 공부국 동사회가 영사단과 협력할 필요성을 강조할 뿐이었다. 하지만 동사회는 총영사마다 수색 영장 발급에 서로 다른 태도를 보인다는 점, 심야에 벌어지는 도박의 특성상 임의 수색 권한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영사단과 반목을 계속하였다. 영사단과의 반목이 계속되자 동사회는 독자적인 도박장 통제 방안으로 진입로의 봉쇄를 실시하고, 조계 내의 도박장 통제 여론을 이용하여 영사단을 압박하려 하였으나, 어느 쪽도 크게 성공적이지는 않았다. 결국 이 문제는 프랑스 총영사가 공부국 경찰에 자신의 관할 내에서 임의 수색 권한을 부여하면서 해결되기 시작하였다. 프랑스를 따라 몇 개국이 유사한 권한을 부여하자, 동사회는 영사단에도 이러한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총 17개국 중 11개국이 공부국 경찰에 임의 수색 권한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월계로 지구 내 도박의 통제는 공부국과 영사단의 협력이 절대적인 대전제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1920-30년대 상해 공공조계 행정 체계의 변화

        김승래 중국근현대사학회 2022 중국근현대사연구 Vol.95 No.-

        The Mixed Court and Extra-Settlement Road in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show us that there was no strict restriction or limitation of influence of the administration of International Settlement, since it could easily bypass physical boundary of the settlement, or even limitation for settlement administration. However, this system faced critical challenge from 1925, when foreign police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fired upon Chinese protesters. The Shanghai Chamber of Commerce almost immediately addressed their 13 demands, including unconditional and complete return of the Shanghai Mixed Court, though western ambassadors at pekin legation quarter did not agreed this. nevertheless, in Shanghai, the Shanghai Municipal Council tried to make common interest between westerners and prominent Chinese. At last from 1927, the Shanghai Mixed Court was abolished, and the Shanghai Provisional Court replaced it. The new court maitained many previous regulations and customs, and the influence of the police of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still could not be ignored. However, Chinese people in and around the Settlement continued to demand their representation in settlement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administrative system had no other way but to change itself. The construction of extra-settlement roads and administration of the SMC upon extra-settlement road areas were still continued in 1920s. SMC sent its police to maintain order in those areas, and took special taxes for supplying water or electricity. But the Chinese local government in Chapei area strengthened its influences in the same areas, by sending their own police forces and supplying their own city infrastructure. The Shanghai Chamber of Commerce, including in their 13 demands, requested to complete ban of constructing new extra-settlement road and return already built extra-settlement road. SMC tried to maintain status quo to defend their own interest, but they actually had no any counter-measure. Finally in July 1931 the SMC and the Shanghai local government made an provisional agreement that the local government take full right to police the areas and supply city infrastructure, while the SMC could send their police. Nevertheless, with the Japanese consul’s disagree, this agreement never accepted, and the whole matter was delayed until the Sino-Japanese war started. In result, after the May Thirtieth Movement, the existing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was inevitably transformed into totally different form. It had to accept the Chinese representation in the SMC, while abandoned its influences in the Mixed Court and in the extra-settlement road areas.

      • 에너지소비절약(消費節約)의 정책수단별(政策手段別) 경제적(經濟的) 효과(效果) -일반균형모형(一般均衡模型)을 이용한 비용(費用)-효과분석(效果分析)-

        김승래,Kim, Seung-Rae 한국자원경제학회 1996 資源經濟學會誌 Vol.6 No.1

        본(本) 연구에서는 에너지절약을 위한 주요 정책수단(政策手段)인 저리융자나 세제감면 또는 특별감가상각 인정 등 에너지절약 비용측면의 금융 세제지원이라는 과인성(課引性)정책과, 에너지수요조절를 위한 에너지가격 규제해제(energy price deregulation)나 에너지세(稅)의 추가부과 등 가격관리(조세)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세(稅)부과의 경우 과세단계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과세포인트를 선택하고, 이를 통하여 현행 에너지절약 지원(支援)정책이나 에너지가격 및 조세체계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약간의 물가상승 압박효과를 감수하더라도 에너지가격통제 해제나 에너지세 부과가 금융 세제지원제도에 비하여 에너지절약에 있어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과세의 경우 그 대상과 실행시기에 대해서도 신축성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의 소비감소라는 효율성 측면과 함께 수반되는 물가압박요인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단기적으로 에너지가격의 상승을 감수하더라도 DSM 프로그램비용을 자본화해 나감으로써 점진적으로 가격상승요인을 흡수하고 효과적인 에너지소비의 절약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에너지비용을 줄여나갈 수 있는 종합적인 에너지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에너지 부문을 고려한 한국경제의 일반균형모형화

        김승래,김태유,Kim, Seung-Rae,Kim, Tae-Yu 한국자원경제학회 1995 資源經濟學會誌 Vol.5 No.1

        본 연구는 에너지정책을 종합적 차원에서 일반경제정책과 병행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리모형 (numerical multi-sector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모형은 크게 (i) 가격/기술변화 반응적인 투입-산출계수를 내생화한 "산업간 거래모형 (inter-industry production model)", (ii) 민간에 의한 최종부문 수요를 나다내는 "소비자 선택모형 (consumer choices model)", 그리고 (iii) 생산물시장과 본원적 투입요소시장, 수출입시장 등에서 민간기업 정부 및 해외라는 개별 경제주체간의 행태를 반영하는 "거시경제 (성장) 모형 (macro-econometric growth model)"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분석경제를 충분히 세분하고 제(諸)경제변수들의 동시결정적 과정을 중시한 일반균형적 /부문적 접근방법 (general equilibrium/sectoral approaches)을 취함으로써 지금까지 단순한 거시경제모형(aggregate macroeconomic models)이나 전통적 산업연관모형 (static input-output models)에만 의존해 오던 경제예측이나 경제 및 에너지관련 정책의 효과분석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