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시범 적용 및 효과

        김순환(Kim, Soonhwan),정혜욱(Chung, Hoewook),정은숙(Jung, Eun suk),하민경(Ha, Min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해 시범 적용한 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 교사 242명이며, 프로그램의 시범적용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25일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피기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교사의 지식, 태도, 실천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문헌을 바탕으로 연구진이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교사의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모두 향상시켰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사의 개인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교사의 학력, 경력에 상관없이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향상시켰다. 셋째, 교사의 기관변인별로 살펴보면, 교사 교육프로그램은 기관유형과 교사의 담당학급에 상관없이 지식, 태도, 실천의 수준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된 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교사의 개인변인 및 기관변인과 상관없이 유아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태도, 실천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역량 증진을 위해 유아 흡연예방 교사 교육의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s. For the study,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examin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 Secondly,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regardles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hirdly, in terms of institutional variables, teac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mprov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the institutions and the class levels in 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eacher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한 중년여성이 딸과 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순환(Soonhwan Kim),구자경(Jagyoung Ko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60대 초반의 한 중년여성이 딸과 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를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성, 사회성, 장소) 안에서 탐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 전화, 문자, 관찰, 연구일지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본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주눅 든 아이로 성장’, ‘결혼 후 겪은 경제적 어려움과 불행한삼각관계’, ‘남편을 닮은 사위와 나를 닮은 딸’, ‘외손자 양육을 떠맡고 쌓여가는 원망과 분노’, ‘사위에 대한 미움을 풀어내고 사위와 딸에게 부모 역할을 넘겨줌’, ‘즐거워진 손자 양육지원과 여유로운 개인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분화 경험의 의미를 ‘갈등의 뿌리를 찾아가다’, ‘시들어가는 검불로 살았던 자기를 자각하다’, ‘개별적 존재로서 자율성과 연결감의 균형을 찾아가다’, ‘큰 느티나무로 살아가기를 꿈꾸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한 중년여성이 딸과사위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자기분화를 전생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한 중년여성의 자기분화가 딸과 사위의 성장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d by a middle-aged woman in her early 60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and son-in-law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of temporality, sociality, place (Clandinin & Connelly, 2000).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calls, text messages, observations, and research journal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 as ‘growing as a timid child’, ‘financial problems and unhappy triangular relationship after the wedding’, ‘the similarities in the life of her husband and son-in-law and the life of her daughter and her’, ‘resentment and anger accumulating while raising a grandchild alone’, ‘letting go of hatred towards her son-in-law and handing over parenting responsibilities to her daughter and son-in-law’, and ‘happily helping child care for her grandchild and enjoying more leisure time.’ Th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the meaning of her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 as ‘Finding the root of conflict’, ‘Becoming aware of herself who used to live like withering weeds and bushes’, ‘Finding the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connection as an individual being’, ‘Dreaming of living as a big zelkova tre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a middle-aged woman’s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 with respect to her relationship with her daughter and son-in-law from her whole-life perspective.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 및 가정연계에 대한 부모의 인식

        정혜욱(Chung, Heowook),김순환(Kim, Soonhwan),윤해수(Yoon, Haeso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프로그램 및 가정연계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보건복지부, 국가금연지원센터, 2015) 시범운영에 참여했던 유아의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집단 및 개별)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들은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들은 유아흡연예방교육을 유아기에 실시해야 하는 필요성 및 시기 적절성을 인식하고,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하였다. 둘째, 부모들은 가정연계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효과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들은 자녀와 함께 참여할 수 있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가정연계 유아 흡연예방교육이 실시되길 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 및 부모, 더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위해 가정과 연계한 유아 흡연예방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parents’ perceptions on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its home-school collaboration. 10 parents of the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inked to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were interviewed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were awar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suggested thing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implementing the program. Second, the pare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the home-school collaboration in the program and were eager to take part in the program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with home-school collaboration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children, their parents and even their communities from smoking.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효림(Lee, Hyorim),김순환(Kim, Soonhwa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 실행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는 교사 9명이며,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교사의 인식은 의사소통 부재의 원인으로 바라보기, 적응을 목적으로 이중언어 배제하기, 이중언어 발현을 수용하기, 미래의 자산으로 바라보기, 성장의 가능성을 인식하기로 분류되었다. 이는 교사가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잠재된 언어의 지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적 정체성이 우세한 언어에 압도되는것을 주의하며 개방적으로 인식을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정서적 지지하기, 자립하도록 일과를 배치하기, 상호문화경험 계획하기, 의사소통 확장하기, 가정과 연계하기로 교육적 실행을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는 다문화가정의 유아에게 기관에 적응이나 권리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미래적 인식을 가지고, 유아의 언어, 인지, 정서발달까지 고려하며 교육적 실행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이중언어환경을 개방적으로 인식하고,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위한 교육적 전략을 확장하여, 미래의 다문화 정체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nine teachers who worked with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Gyeonggi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The research results categorized by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seeing as the 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excluding bilingualism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embracing the manifestation of bilingualism,” “seeing as a future asset,”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growth.” This means that teachers need to be sensitive about the potential status of language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to note that the dual ident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s overwhelmed by the prevailing language, and to expand and open their minds. Second, the educational practices for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consisted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rranging routines for children’s self-reliance,”“planning intercultural experiences,” “expanding communication,” and “connecting with families.” Through this, the teachers are able to carry out educational practic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 future awareness going beyond providing education for coping with the problem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or improving righ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an open mind to the bilingual environment while our society is rapidly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nd to promote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oster future talents with a multicultural identity.

      • KCI등재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을 통한 유아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검토

        박은혜,김희진,엄정애,이승연,김순환,정혜욱,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임용시험과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 및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4년에 걸쳐 이루어진 임용시험 문항의 유형 및 형태, 출제 자료 등의 기초적인 분석을 토대로 동일 기간에 서울에 소재한 4년제 유아 교사 양성기관 1곳(이화여대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임용시험과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의 유형 및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과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임용시험의 교직 논술 영역과 전공 교육과정 영역의 문항을 문항 유형, 문항 형태, 문항 출제 근거 등으로 분석한 결과 두 영역 모두 원리나 기준을 기술하는 형태의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으며 종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항보다 암기한 내용을 기술하는 형태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화여대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치원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개설된 교과목은 교사자격 이수기준에 적합한 과목이 개설되고 있었으며 임용시험에서는 다양한 과목의 내용이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의 문항도 출제되고 있어 이와 같은 부분은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re have been continuous discussions on connectivity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valuate this connectivity by analyzing the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 same period and comparing it with the type/form of questions and question data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during the four years of 2013 to 2016.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question type and contents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econd, how connected ar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 type, forma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general education essay questions and the overall questions in major curriculum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both areas, the most frequent type of questions were about describing educational principles or standards. Rather than assessing comprehensive thinking, the questions focused on testing memoriz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met the completion standard required for teachers and the questions appearing i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ncluded questions of diverse subjects. However, certain questions were not included in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should be reflected to the composition of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