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대의 대신과 재상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김수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Centered o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of Silla, this paper focuses on matters regarding two government position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aesin and Jaesang. Then, based on such a review, a new view on the noble gathering council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ill be presented. I hope that this attempt will be an opportunity to call attention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institut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hich is now in a lull.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which was made in the period of king Hyegong, the mentioned word ‘Sin’ in relation to Kim Ong and Kim Yang-sang,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means Daesi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clusive use of word 'Sin'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ir distinction from other people. In addition, through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Daesin, the council of Daesin could have been able to differentiate from the noble meetings. Meanwhile, Kim Ong appears as a Prime Jaesang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On the other hand, Kim Yang-sang, who was also one of the chief supervisor, does not appear as Jaesang.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provides a profound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in and Jaesang. This is because not all Daesin could become Jaesang.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Jaesang was elected from Daesin,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cil of Jaesang could have specifically existed. The fact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noble gathering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emonstrates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even more strengthened during this era. It is also evident that the nobles who participated in those councils of state affairs would have become more bureaucratic.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wers pursued by the Silla regime of the middle period led to a decentralization of power by internal collapse. 이 글에서는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신라 중대로 한정시켜서, 대신과 재상의 문제를 다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어서 그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신라 중대의 귀족회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볼 것이다. 이러한 시도가 현재 소강상태에 놓여있는 신라 중대의 정치제도사연구에 대한 관심을 촉구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혜공왕대 만들어진 성덕대왕신종의 명문에서서 종을 제작한 책임자인 김옹과 김양상과 관련해서 언급된 ‘신’은 바로 대신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만 ‘신’을 사용한 사실은 이들이 여러 다른 인물들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존재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러한 대신의 존재를 통해서 귀족회의에서 대신회의를 새롭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성덕대왕신종명>에는 김옹이 상재상으로 나오고 있다. 이와 달리 역시 최고 실력자의 한 명이었던 김양상은 재상으로 나오고 있지 않다. 이는 <성덕대왕신종명>은 재상과 대신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대신이라고 해서 모두가 재상이 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신 안에서 재상이 나왔다는 사실과 함께, 재상회의가 구체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같이 중대에 여러 형태의 귀족회의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중대의 왕권이 더욱 전제화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이해된다. 그리고 중대의 여러 국정회의에 참여한 귀족들은 더욱 관료화되는 양상을 띠게 되었을 것임이 분명하다. 아울러 중대정권이 추구한 지나친 권력집중이 오히려 내부붕괴에 의한 권력분산을 초래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라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

        김수태(金壽泰)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에서는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새롭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경덕왕이 765년 사망하자 혜공왕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혜공왕은 즉위하자마자 친정을 한 것은 아니었다. 즉위할 때 8살의 나이였기 때문에 모후인 만월부인이 섭정을 하였다. 이때 섭정정치란 섭정이 혼자서 정치를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군신들과 함께 정치를 해나가겠다는 귀족연합정치를 말해주는 것이었다. 이에 혜공왕대의 초기는 만월부인으로 상징되는 전제주의세력과 반전제주의 진골귀족세력이 권력을 분점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이후 이들은 세로운 권력투쟁을 벌여나가야만 했다. 만월부인의 섭정에 합의한 두 정치세력의 관계는 곧바로 어그러졌던 것으로 보인다, 만월부인이 섭정을 통하여 그가 보호하고 있는 혜공왕의 권력기반을 새롭게 강화하려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였던 것이다. 경덕왕 19년 이후 세력을 구축한 김옹과 김양상 등 반전제주의 귀족세력은 만월부인과 왕당파의 이러한 활동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섭정인 만월부인이 물러나고, 혜공왕이 친정을 하게 되었다. 그 시기는 대체적으로 혜공왕 7년 성덕대왕신종이 완성된 무렵이었다. 이것은 섭정인 만월부인과 정치적 대립 갈등을 벌이던 정치세력들의 승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혜공왕 친정기 만월부인의 동향은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힘들다. 그녀는 반전제주의 정치세력에 의해서 섭정에서 물러난 후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데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김옹 및 김양상 등 반전제주의 진골귀족세력이 더욱 강화된 혜공왕 10년 이후에 만월부인은 다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두 차례에 걸친 모반을 통해서였다. 그러나 혜공왕의 왕권강화를 추구한 만월부인의 노력은 실패로 그쳤다. 그리고 혜공왕이 시해됨으로써 만월부인의 정치적 노력은 더 이상 계속될 수 없었다. 그만큼 만월부인과 혜공왕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치적 운명을 함께 하는 세력이었던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라 村落帳籍 연구의 쟁점

        김수태 한국고대사학회 2001 韓國古代史硏究 Vol.21 No.-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primary historical sources have been considered once again to be of utmost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in recent years. Among the ancient historical documents, the most often and widely utilized case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is the so-called "Shilla Village Documents". This paper aim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f these important documents and to discuss the current disputed issues in their research. Full-scale study of the Shilla Village Documents did not begin in earnest until the 1950s. and it was in the 1990s that we were able to witness the development of serious scholarly discussion of these documents.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ocuments appear to have widened, rather than narrowed,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This situation suggests that it is an urgent necessity for the concerned scholars to reflect upon their methodologies and to try hard to search for new approaches. Some of the most disputed issues in the research of the Shilla Village Doc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per appellation of the documents, (2) the deciphering of some of the disputed characters, (3) the dating of the documents, (4) the nature of the documents, (5) the consisting elements of gongyeon 孔烟, (6) the organization criteria of the nine-tiered household system, (7) the function of gyeyeon 計烟, (8) the meaning of the land records, (9) other issues such as the exact location of the village, the relation between the commandery-county system and the Village Document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of horses and cattle, and so on. In this paper, three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to find a way to construct new methodologies for the study of these documents. First, for most of the studies which are conducted from the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s, it is necessary to explain explicitly how and why such a comparative research is conducted and what is being compared. In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a more substantial discussion of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Shilla Kingdom.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ethodologies of economic historical researches, which are carried out with very few reference to the related studies of other research area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economic factors in relation to the period in question, the society itself, and the diverse human populations at the time. Third, as seen in the interpretation of disputed characters of the documents and the confusion of various terminologies, it is urgent to draw a consensus on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facts of the documents.

      • 외부가압 공기윤활 저어널베어링의 공급구멍의 열수에 따른 부하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태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4 産技硏論文集 Vol.8 No.-

        A study is numerically carried out for the load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ly pressurized air-lubricated journal bearings with the supply holes of one row, two rows and three rows. A numerical analysis is mad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incremental method. The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pressure distributions and load capacities of the externally pressurized air-lubricated journal bearings according to the supply pressures, compressibility parameters and eccentricity ratio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earing with two rows of supply holes has the maximum load capacity. 2. The bearing with one row of supply holes has the maximum increment of the load capacity according to the compressibility parameter. 3. The results of load capacity are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e pressre distributions of the bearings. 4. The attitude angles are decreased under the low supply pressure, high compressibility parameter and high eccentricity ratio.

      • KCI등재

        안동 권씨 부인의 유교식 조상제사 거부

        김수태 수원교회사연구소 2016 교회사학 Vol.0 No.13

        1784년 조선에 천주교회가 창설된 이후 신자들이 부딪친 가장 큰 어려움은 유교식 조상제사를 계속해서 거행할 수 있는가의 문제였다. 그러나 북경의 천주교회로부터 조선에 조상제사 금지령이 전달된 지 1년도 못되는 1791년 10월에 진산에서 마침내 유교식 조상제사를 거부한 사건이 일어났다. 어머니가 죽자 윤지충이 유교식 조상제사를 거부하였던 것이다. 권상연 역시 그 뒤를 따랐다. 이에 이들은 한국천주교회사의 전개에서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진산사건의 두 주인공인 윤지충과 권상연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 사건과 관련된 중요한 인물인 윤지충의 어머니이며, 권상연의 고모인 안동 권씨 부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쉽게도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였다. 구베아 주교의 서한에 의하면 안동 권씨 부인이 유교식 조상조사를 거부한 것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진산사건의 관련 사료들을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조선후기 사상사의 흐름과 관련해서 안동권씨 부인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윤지충이나 권상연과 같은 남성들이 아니라, 안동 권씨 부인이라는 여성에 의해서 유교식 조상제사가 거부되었다는 점에서이다. 더욱이 유교이념의 정착과 함께 여성의 지위가 더욱 하락되어 간 18세기 후반 조선사회에서 안동 권씨 부인이 천주교를 통해서 여성의 존재와 활동을 정면으로 부각시켜 주었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서 진산 지역의 천주교 신앙공동체의 성격이나, 초기 한국천주교 여성사의 흐름에서 안동 권씨 부인이 차지하는 위치 또한 새롭게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founding of Roman catholic church at Chosun dynasty in 1784, the biggest challenge that Catholic faced was the matter of continuing Confucian ancestor worship. In Jinsan October 1791, less than one year after the catholic church of Beijing delivered it's message prohibiting ancestor worship at Chosun catholic church, denial of Confucian ancestor worship finally occurred.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Yun Jichung refused of Confucian ancestor worship. Kwon Sangyeon also followed his conduct. Due to this, they became the first martyrs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Yun Jichung and Kwon Sangyeon, two main figures of Jinsan incident, have been subject of study from earlier on. Unfortunately, role of another key figure regarding this incident; Madam of Andong Kwon family, who is the mother of Yun Jichung and the aunt of Kwon Sangyeon, has not been fully revealed. According to letters of Bishop Guvea, it is mentioned that Madam of Andong Kwon family refused Confucian ancestor worship. Therefore, a need to analyz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Jinsan incident in new perspective is required. Also, dealing the matter of Madam of Andong Kwon family in detail, in relation to the flow of history of thought in late Chosun dynasty, is considered necessar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 female figure; Madam of Andong Kwon family, not male figures such as Yun Jichung and Kwon Sangyeon, has refused Confucian ancestor worship. Moreover, this bears significance in perspective that through catholic church, Madam of Andong Kwon family gave prominence to the existence and activeness of a female figure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Chosun society when status of women has been continuously devalued along with the settlement of Confucianism. Thus, through this paper, the nature of the catholic community in Jinsan province and the status of Madam of Andong Kwon family in the early women's history of Korean catholic can be newly discovered.

      • KCI등재

        百濟의 對外交涉權 掌握과 馬韓

        김수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1 百濟硏究 Vol.33 No.-

        百濟가 연맹왕국에서 中央集權的 貴族國家로 성장하는 데에는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요인 등의 대내적인 요인 이외에 대외적인 측면인 對外交涉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내부적 통합과 함께 對外交涉權을 서서히 장악함으로써 연맹왕국에서 귀족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과정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백제는 기리영 전투 이후 연맹왕국을 형성하였는데, 이전의 군현외교와는 달리 중국과 원거리교역이라는 직접적인 외교를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백제는 마한연맹체의 맹주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또한 이후 백제는 서진과의 활발한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동이교위를 통해서 이루어졌다든지, 마한이란 국호로서 교섭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에서 엿볼 수 있듯이 백제의 대외교섭권의 장악에는 일정한 제약이 있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3세기말 4세기초에 전개된 국제관계는 백제의 대외교섭에 새로운 변화를 낳게 하였다. 백제는 이러한 외교상황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근초고왕대에 국가체제의 정비를 추진하여 귀족국가의 성립으로 귀결되었다. 이후 백제는 마한연맹체의 해체에 본격적으로 들어갔는데, 외교활동과 군사활동의 두 가지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360년대 중반 이후 신라, 가야, 왜와의 우호관계를 맺으면서 영산강유역의 마한사회를 군사적으로 병합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국가적 성장은 국호변경을 통해서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그것은 대내적으로 마한 연맹체의 해체를 성공적으로 이루었다는 사실과 함께 대외적으로 백제가 이제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의 개편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근초고왕대 동진의 백제책봉으로 구체화되었다. 이것은 동이교위를 통하여 추진되던 기존의 외교와는 크게 다른 거이었다. 귀족국가의 성립과 함께 백제의 대외교섭권장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Paekche appears to have evolved to become a confederated state after the Giriyeong battle in the late 230s. Since then. Paekche no longer relied on the existing exchange network with the Chinese commanderies and counties, but pursued a direct long-distanc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In this process Paekche was able to claim the hegemonic power of the Mahan confederacy. Afterward, Paekche tried to engage in an activ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Western Jin of China. However, Paekche still had to go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he Command Headquarters Against Eastern Barbarians in northeast China and it could only do so in name of Mahan, suggesting that Paekche s command of diplomatic negotiations had certain limit. However, develop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late third and early fourth century A.D. caused new changes in the foreign relations of Paekche. In order to actively adjust to the changing diplomatic environment, Paekche took measures to consolidate the state structure, which seems to have been completed by the time of King Geunchogo with the formation of aristocratic state. Afterward, Paekche tried to dismantle the Mahan confederacy through the diplomatic as well as military actions. After the middle of 360s, Paekche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Shilla, Gaya, and Wa, and at the same time, militarily subjugated the Mahan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This growth of Paekche kingdom was symbolically expressed with the change of its name. It showed internally that Paekche had successfully dismantled the Mahan confederacy, and it demonstrated externally that Paekche now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arrangement of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Paekche s new role was actively recognized with the enfeoffment of Paekche by Eastern Jin of China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which was a totally different type of diplomacy from the one though the intermediary of the Command Headquarters Against Eastern Barbarians in northeast China. This means that Paekche at the time established the complete and substantial control of foreign negotiations as well as the formations of aristocratic state system.

      • KCI등재

        ≪삼국유사≫의 편목구성과 삼한ㆍ삼국통일론

        김수태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1

        Recently, there is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content of Samgukyusa. New arguments are continuously made that the chapter Wang-ryeok and even the chapter Gi-i should be removed from the format of Samgukyusa. This is because, these chapters have difficulty in organically associating with chapters regarding Buddhism, as well as their mutual connection. However, a detailed examination is necessary to verify such arguments. In addition, reflection on research situations, that are caused by few people making claims and the rest going along with the atmosphere, is required. Furthermore, methodologically concrete analysis of concepts and terms used in Samgukyusa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format. Unlike recent trend, this paper re-explains why there isn’t any problem in accepting the content of Samgukyusa, which is composed of 5 volumes and 9 chapters. Ilyeon’s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theory of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Three Hans consistently appears throughout entire chapters of Samgukyusa, including chapters such as Wang-ryeok, Gi-i and that regarding Buddhism. Thus, a new approach is required for currently discussed Silla’s theory of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Three Hans. Therefore, based on these examinations, further diverse analyses on Ilyeon’s view of history and Samgukyusa are hoped to be constantly carried out. 현재 ≪삼국유사≫의 편목구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삼국유사≫의 체재에서 왕력편을, 심지어는 기이편까지 제외시켜야 한다는 새로운 주장이 여러 형태로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이다. 이들 편목이 상호간에도 그러하지만, 불교관련 편목들과도 쉽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입론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검토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몇 사람이 주장을 하면 그냥 분위기에 휩싸여서 그것을 따라서 움직이는 형태의 연구 상황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그리고 방법론적으로도 ≪삼국유사≫에서 사용된 용어의 현상이나 개념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해서 이해해야 한다는 측면에서이다. 이 글에서는 최근의 흐름과는 달리 5권 9편목으로 되어 있는 ≪삼국유사≫의 편목구성을 그대로 받아들여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점을 다시 설명해보고자 한다. 삼한・삼국통일론에 바탕을 둔 일연의 사관이 왕력편이나 기이편을 비롯해서 다른 불교관련 편목들에까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현재 계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신라의 삼한・삼국통일론에 대해서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요구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검토들을 바탕으로 일연의 사관이나, ≪삼국유사≫에 대한 더욱 다양한 분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외부가압 공기윤활 저어널 베어링의 형상변화에 따른 부하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태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0 産技硏論文集 Vol.4 No.-

        A theoretical investication is carried out for the load capacity of the air lubricated plain or noncircular journal bearings which are self-excited or externally pressurized. Theoretical analysis is made using the incremental method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present numerical results for the plain, stepped and noncircular journal bearing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vailable numerical results. For the externally pressurized journal bearing, the present numerical results for the load capacity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plain and the noncircular journal bearing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