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중국 여행기

        김수태(Kim Soo T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이 연구에서는 김대건 신부의 서한에 포함되어 있는 두 개의 중국 여행기, 즉 「남경여행기」와 「훈춘여행기」의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은 크게 지리, 문화,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의 여행기에서 먼저 등장하는 내용은 지리이다. 그가 방문하는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동・식물을 비롯해서 교통로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주고 있다. 이때 그의 지도에 대한 관심은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그것은 자신을 비롯해서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로를 모색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서 육로가 아니라 해로를 통한 조선입국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에서 지리 다음으로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문화였다. 그는 어떠한 사람들이 일정한 지리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인종이나 인구, 주거시설과 같은 풍속, 도시에 대한 인상, 원시신앙이나 불교와 같은 여러 종교들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이때 당시 중국이나 조선의 천주교에 대한 동향도 소개하고 있다. 이는 천주교와 이들 종교와의 비교를 시도하면서 천주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를 보면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의 서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국사에 대한 서술이다. 「남경여행기」에서는 중국현대사에 대한 서술이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훈춘여행기」 에서는 만주에서 건국한 이후 청나라의 역사를, 그리고 만주지역의 역사에 대한 그의 설명을 새롭게 찾아볼 수 있다. 이때 그가 만주와 조선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는 점은 인상적이다. 더욱이 그는 만주를 둘러싸고 있는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나 일본 등의 움직임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동아시아로까지 그의 시야를 확대시키는 모습도 드러내주었다. 이러한 점에서 김대건 신부는 조선후기에 한국인 성직자로서 최초의 만주사를 서술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wo travel reports, 「Nanjing Travels」 and 「Hunchun Travels」, which were included in priest Kim Taegon’s letters. The contents dealt in Kim Taegon’s travel reports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mainly dealing the geography, the culture and the history. Contents that appear first in his travel reports are about the geography. Kim Taegon expressed his interest in traffic routes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imals and plants of places where he visited. His interest about routes and map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was the most crucial part for finding the entrance to Choseon dynasty for the French missionaries including himself. Through these travels, Kim decided entering Choseon using sea routes instead of overland route. The next important contents in Kim Taegon’s travel reports were regarding the culture. Kim dealt about what kind of people and how they lived in certain geographical environments. In addition, he described in details about the ethnicity, population, his impression on a certain city, general customs such as residential facilities, and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and primitive beliefs. Also, he introduced about the social trend toward the Catholic in both the China and the Choseon of that time. This can be said that Kim Taegon tried to demand interest in the Catholicism through comparing Catholic with other religions. Above all, it can be said that Kim Taegon’s interest about history was extremely high when looking at his travel reports. Description of Chinese history is the largest proportion of his travel reports. Description of Chinese modern history is the major part of 「Nanjing Travels」. History of the Ch"ing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in Manchuria, and history of the Manchu province can be found in 「Hunchun Travels」. His attention about the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hoseon dynasty and the Manchuria is impressive. Furthermore, he showed expansion of his interest to the East Asian situations through dealing Russian and Japanese movements regarding the Manchu province. In this way, Kim Taegon can be said to the first Korean priest to narrate about the history of the Manchuria.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조선 입국로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9

        김대건 신부는 신학생 때인 1842년에 프랑스 함대를 타고 조선으로 들어오려다 실패하였다. 1845년 부제로서 육로로 조선에 입국하였던 그는 서해를 건너 중국에 들어간 최초의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이후 신부가 된 그는 조선에서 타고 갔던 배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와 함께 다시 돌아왔다. 그러나 귀국한지 얼마 안 되는 1846년에 그는 백령도 부근을 거점으로 해서 조선과 중국을 연결하는 새로운 입국로를 개척하려다가 체포되고 말았다. 따라서 그는 바다와 함께 살다가 순교한 사제였다고 일컬을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김대건 신부의 서해를 통한 선교사들의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최근에 들어와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페레올 주교가 구상하고, 김대건 신부가 개척하였기에 가능하게 되었다고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새롭게 다룰 측면이 있다. 우선 페레올 주교와 김대건 신부의 활동은 그 보다 앞선 선교사들이 시도한 해로 개척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김대건 신부의 활동이 주도적이거나, 능동적으로 제대로 그려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해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던 김대건 신부에 의해서 프랑스 선교사들의 해로 입국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과정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조선배로 조선에 입국하는 문제에 대해서 망설였다. 김대건 부제가 중국으로 타고 온 배가 너무나 작고 초라해서 서해를 건너서 갈 수 있는 배로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이 김대건 신부의 항해 지식이나 해로 개척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이들은 조선배가 아니라 중국배로 조선으로 돌아가고자 희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건 신부는 조선의 배로 두 명의 프랑스 선교사를 태워서 입국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새로운 지도 작성을 바탕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이 백령도 부근을 통해서 조선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길을 개척하였다. In 1842, when Kim Daekeon was a seminary student, his attempt to enter Chosun dynasty on the French fleet was frustrated. In 1845, as a deacon whom already entered Chosun by land, he became a first Catholic who entered China by crossing the Western sea. Later, becoming an ordained priest, he came back to Chosun with Bishop Ferréol and Father Daveluy by a ship which he took from Chosun. However in 1846, just after returning from China, he was arrested near the Baengnyeong island attempting to pioneer a new entrance connecting China and Chosun dynasty. Therefore, he can be called as a martyr who dwelled on seas. Due to this, Father Kim Daekweon"s efforts to pioneer missionary entrance through the western sea are currently gaining more interest. This was identified as a feasible plan because Baptiste Ferréol has conceived and Father Kim Daekweon has carried out. However, there is an another perspective to consider regarding Father Kim"s pioneering entrance through seaway. Above all, Bishop Ferréol and Father Kim"s attemp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efforts of the previous missionaries. Also, another crucial problem is that Father Kim"s activities are not being portrayed as leading, nor active. In this regard, different examination on how French missionaries" seaway entrance took place by the efforts of Father Kim Daekweon and his expert knowledge about seaway is required. In fact, French missionaries were reluctant at entering Chosun through seaway. The boat that Deacon Kim Daekweon took during his voyage to China was considered too small and flimsy to cross the Western sea. Moreover, Father Kim Daekweon"s nautical knowledge and his vision of pioneering a seaway entrance were thought to be reckless. Hence, they hoped to return to Chosun by chinese ship instead of Chosun"s boat. Nevertheless, Father Kim Daekweon managed to enter Chosun riding Chosun"s boat along with two French missionaries. Furthermore, he pioneered new entrance to Chosun for the French missionaries through mapping areas around Baengnyeong isla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30년대 메리놀 외방전교회의 선교활동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敎會史硏究 Vol.0 No.29

        The advance of Maryknoll foreign missionaries into Korea implied the new encounter of American catholic churches with Korean catholic churches. Korean catholic churches entered into a direct relation with American Catholic churches by sending Maryknoll priests to Pyongyang areas, which foresaw remarkable change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es at the center of Paris foreign missionaries in France. The first and foremost noteworthy missionary work is the reformation movement of lay believers. They endeavored to help Korean catholic society reappraise the important role of lay believers above all things in its development. Therefore, they started Catholic Action. Their second remarkable point in the missionary work is the emphasis on the documentary evangelicalism To achieve this, Pyongyang Diocese had keen interest in the periodicals such as Catholic Yeongu and Catholic Chosun and promoted to publish them Such interest in the documentary evangelicalism was an attempt to let Catholic known to all Koreans properly as well as to reform the lay believers. The newly recognized fact in the missionary work is that they also had huge interest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They believed that the lay believers should know Korean Catholic history and equipped themselves not with abstract but with concrete knowledge of it.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started to be carried out not in Seoul but in Pyungyang area. The most prominent Maryknoll foreign missionary in 1930s was the rejec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which criticized religious policy and further into colonial policy of Japan in Korea. It also corresponded to the ultimate wish of the missionaries in Pyungyang Diocese for Korean independence. Therefore, the rejection of Shinto shrine wor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The last thing to be noted concerning the missionary work in 1930s is substantial interchange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Maryknoll missionaries put more weight on interchange than confront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Protestants, which was proved by the attempt for the movement of rejecting Shinto shrine worship. Such policy toward Protestants. Such protestant policy brought considerable changes into protestants-prevailing Pyungyang Dioces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연의 삼한 · 삼국통일론

        김수태(Kim Soo T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3

        한국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한 역사가 가운데 아마도 처음으로 통일의 문제를 중요한 주제로 부각시킨 인물은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일 것이다. 신라 중심의 한국사를 강조한 김부식의 『삼국사기』에서도 신라의 삼국통일은 ‘일통삼한’ 혹은 ‘삼한일가’ 라고 하여, 삼한의 통일을 중심으로 매우 간단하게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삼국사기』 와 달리 『삼국유사』에서는 일통이나 통합 등 여러 용어들을 사용하면서 통일의 문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일연이 삼한의 통일만이 아니라, 삼국의 통일까지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일연은 삼국유사 를 통해서 신라만의 그것이 아니라, 고려의 삼한통일론 및 삼국통일론까지를 상당한 비중으로 다루었던 점도 크게 주목된다. 일연이 『삼국유사』의 저술을 통해서 한국 역사상의 통일이란 주제를 정면에서 다룬 것은 그의 당대사, 즉 고려시대사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이었다. 무인집권기에 신라로부터 시작하여 고구려, 그리고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는 반란이 계속해서 일어났던 것이다. 이에 일연은 고려라는 국가의 통일과 함께, 그 구성원의 단결을 어떻게 도모하느냐의 문제에 대하여 깊이 고민하였다. 따라서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고려의 후삼국통일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드러내는 한편, 고려의 통합을 새로이 강조하고자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Among the historians who have tri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trends of Korean history, Iryon, who wrote Sanguk yusa, or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ay be the first person to discuss the issue of the unification as an important topic. In Samguk sagi, written by Kim Busik and with Silla as the main focus of Korean History, the unification by Silla was referred to as “unification of Three Hans” or “one family of Three Hans” and mentioned very simply as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s. In contrast, the issue of unification was discussed more specifically in Samguk yusa, using such various terms as unification and integration. Iryon presents not only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s but als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t is also noteworthy that Iryon further discusses in his book not only the unification by Silla but als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s and Three Kingdoms by Goryeo Dynasty. Iryon’s earnest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in Korean history in his writing of Samguk yusa reflects his interest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his time, or the history of Goryeo. During the time of the military rulership, a series of revolts and uprisings broke out and proclaimed to restore Silla, Goguryeo, or Baekje. Facing these events, Iryon was deeply concerned with the unification of the state of Goryeo and with the issue of how to promote the solidarity of its members. Thus, it is understandable that Iryon in his writing of Samguk yusa tri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by Goryeo and to highlight the integration by Goryeo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