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김수지(Kim, Su Sie) 한국영화학회 2013 영화연구 Vol.0 No.55

        A psychotherapy that uses films as a therapeutic tool is called cinematherapy. This therapy can be divided into cinema viewing and movie making therapy. Cinema viewing therapy consists of a counselor and a client, and it can be divided again into a self-help and interactive cinematherapy in the perspective of text. In a self-help cinematherapy, the therapeutic effect occurs automatically in the film viewers or clients themselves who watch and read films. In contrast, in an interactive cinematherapy, a counselor helps a client to integrate certain aspects of his/her life, with locating the film text between them.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therapeutic factors of selp-help and interactive cinematherap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First,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38 participants. Their responses were summarized into a preliminary 135 items, 21 subscales, with 5-point Likert scale format.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70 of selp-help group and 103 of interactive group.As a result, a cinematherapy therapeutic scale was finally developed, with proper validity and reliability. It consists of final 34 items and 6 subscales. After the development, the inter-correlation analysis on the 6 subscales was performed in each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peutic factors of cinematherapy were affective factor(positive and negative), cognitive factor(introspection), identification fact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inter-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positive affective factor and negative affective factor seemed to take quite different psychological pathways. Second, although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e factor were associated to introspection factor, negative factor seemed to have strong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desire early in the stage of self-help cinematherapy. Third, unlike positive affective factor, negative affective factor is gradually related to introspection, through the interactive cinematherapy. Finally, introspection factor i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communication desire in both groups. In summary, the more correlations and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6 factors were discovered in the interactive cinematherapy, although self-help cinematherapy itself has its own therapeutic effects.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with a therapist’s guide and help, more integration and interaction would occur in an interactive cinematherapy. In conclusion, an <Affection-Cognition-Interpersonal Relationship Model of Therapeutic Factors of Cinematherapy> was suggested.

      • KCI등재

        덕후: 자기 지각에 따른 투자 활동과 몰입 수준 차이, 덕후 활동 전후의 정서 변화

        김수지(SU-SIE KIM ),이흥표(Heung-Py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자신을 덕후라고 지각하는 덕후 집단의 덕후 활동 및 몰입 수준이 자신을 덕후로 지각하지 않는 일반 성인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덕후활동 전후에 실제로 정서 변화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인 227명이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을 덕후라고 지각하는 덕후 집단은 비덕후 집단에 비해 덕후 활동에 투자하는 비용 및 1일 투자 시간이 많았고 특히 1주 활동 시간 및 지속기간(년수)가 유의하게 길었다. 둘째 자신을 덕후라고 지각하는 정도 및 덕후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몰입도가 높았으며 덕후 집단은 비덕후 집단보다 몰입 수준이 높았다. 셋째, 비덕후 집단에서는 덕후 활동 전후에 따른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 덕후 집단에서는 덕후 활동을 하기 전보다 후에 행복감, 즐거움, 평온, 쾌감 등의 긍정 정서가 증가하고 분노, 불안, 슬픔, 수치심, 죄책감 등 부정 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덕후 지각 및 덕후 활동에는 몰입 수준을 증가시키며 부적 정서를 완화하고 긍정 정서를 고양시키는 긍정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eokhu activities and the flow level of the deokhu group. We also tested whether there are any real differences in emotion before and after the deokhu activities. The study included 227 adult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okhu group had a high cost of investing and a high rate of one-day investments, particularly for one-week activities and years of duration compare to the non-deokhu group.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deokhu and the level of deokhu activities were higher in flow. and the group of deokhu was more absorbed than the non-deokhu group. Third, there has been no change in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before and after deokhu activities in the non-deokhu group. For the deokhu group, the positive emotions of happiness, joy, tranquility, pleasure increased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xiety, sadness, shame, and guil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deokhu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deokhu and deokhu activities have positive functions that increase the level of flow, relieve negative feelings and enhance positive emotions.

      • KCI등재

        성매매 여성의 외상 경험과 이성 관계 집착

        김수지(Kim, Su-Si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성매매 여성의 이성 관계 집착 양상을 일반 여성과 비교한 후 매매 아동기 외상 및 성매매 중 외 상 경험이 이성 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매매 여성 및 일반 여성 각 42명이었 다. 연구 결과, 성매매 여성은 일반 여성에 비해 이성 관계 집착 중 외로움, 질투, 과민함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거 절에 대한 두려움과 의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성매매 여성의 경우 성매매중의 외상 경험은 이성 관계 집착과 상 관이 없었으나, 아동기 외상은 이성 관계 집착과 관련성이 있었고 특히 방임 및 가족 내 비밀은 이성 관계 집착과 행 동과 유의한 관련성이 높았다. 일반 여성의 경우 아동기 외상이 이성 관계 집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가족 내 비밀과 신체 학대가 이성 관계 집착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 분석결과, 일반 여성의 경우는 아동 기 외상 중 신체적 학대가 이성 관계 집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매매 여성의 경우는 방임 이란 아동기 외상요인이 이성관계 집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obsessive behaviors in romantic relationship of 42 female sex workers and the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s on them. Research result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jealousy, over sensitiveness between the female sex workers group and the controls. But fear of rejection and doubt in the romantic relationship a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 sex workers group than in the controls. Among the subscales, childhood neglect and family secret were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various obsessive behaviors.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control group, with family secret and physical abuse being the most. Finally, in regression analysis, in the control group, childhood physical abuse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obsessive behaviors in romantic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target group, childhood neglec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obsessive behaviors in romantic relationship.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김수지(Kim, Su Sie)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5

        본 연구는 대중문화 속에서 낙태가 재현되는 방식과 양상을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 그리고 외국 영화들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기준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살펴보았다. 첫째, 텍스트에서 다루어지는 낙태의 비중, 둘째, 낙태를 결심한 여성 캐릭터에 관한 묘사의 특징, 셋째, 여성 주인공이 낙태를 결심하게 되는 내면적 원인, 넷째, 낙태를 둘러싼 외재적 압력과 대인관계의 소통 양식, 다섯째, 낙태행위가 빚는 죄의식의 양상, 여섯째, 텍스트 안에서 낙태의 실행 유무, 일곱째, 낙태의 재현 양상 등이 그것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의 대중문화에서 소구되는 낙태는 주로 인물들 간의 심리적 갈등을 심화하여 스토리텔링을 흥미롭게 만들기 위한 소재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여자 주인공의 임신은 여성의 캐릭터를 불균질하게 만들거나 여성 캐릭터의 심리적 갈등과 정체성의 혼란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여성 본인보다 제3자가 낙태를 강요하는 상황이 등장하고, 이때 강요자는 대개 주변 여성으로 설정됨으로써 낙태는 ‘여자들 간의 문제’로 개인적인 사안으로 축소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낙태는 임신한 여성에 대한 고려보다 태아에 대한 죄의식이 더 강조되며, 마치 일상적인 일인 것처럼 언급되면서도 매체 안에서 낙태가 그대로 재현되는 일은 드문 모순점이 드러났다. 낙태문제가 일찍이 공론화 되었던 서구의 영화들의 경우 역시 낙태를 핵심 주제로 다루고 있는 영화들이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9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더 월〉, 〈베라 드레이크〉, 〈4개월, 3주… 그리고 2일〉, 〈24주〉 같은 외국 영화들을 중심으로 낙태의 재현양상을 살펴보았다. 외국의 경우 낙태를 윤리와 합법성, 여성간의 연대, 불법 낙태 시술을 조장하는 사회 분위기, 낙태와 연관된 여성의 자기 결정권 등의 요인과 연관시켜 핵심주제로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낙태의 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재현하여 낙태가 여성의 몸과 마음에 미치는 문제를 관객들에게 질문하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려는 태도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들이 낙태를 스토리텔링 전개나 캐릭터를 특성화하기 위한 부수적 도구로 다루는 반면, 90년대 이후 등장한 외국 영화들은 낙태가 내재하고 있는 사회적 개인적 문제를 환기시키고 이를 공론화하려는 경향을 발견하게 되었다. 낙태를 스크린에서 직접적으로 재현하고 다루면서 낙태를 둘러싼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그에 따른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고찰하는 경향은 한국에서 낙태를 다루는 방식과 근본적인 차이를 빚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ways and patterns of abortion in popular culture in Korean Tv dramas and movies with foreign films. For this purpose, I looked at texts focusing on the following criteria: first, the proportion of abortions covered in the tex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 female character who decided to abort; third, the internal cause of deciding abortion; fourth, external pressure and the communication sty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out abortion, fifth, the aspect of guilty feeling caused by abortion, sixth, the execution of abortion in texts, and last, the representation pattern of abortion in text. As results, abortion represented in Korean popular culture was mainly used as a material to make storytelling interesting by deepening the psychological conflict among the characters. A woman’s pregnancy usually was used to set up the woman’s character or to create a sense of confusion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a female character. While a third party forced to abort is emerging, at this time abortion is a matter of ‘problem between women’ and just adds to personal problem. Abortion also emphasizes the guilty about the fetus more than the consideration of pregnant women, and abortion is rarely represented in media even though it is mentioned as routine work. In Western films, where abortion issue was discussed earlier, there are many movies that deal with abortion as a core theme. Among them, I looked at foreign movies such as 〈If these walls could talk〉, 〈Vera Drake〉 〈4 months, 3 weeks and 2 days〉 〈24 weeks〉. In these movies, social atmosphere that promotes abortion procedures, and the right of women for self-determination related to abortion. In addition, representation of the entire process of abortion and asking the audience for rethinking about the problem of abortion on the body and mind of the women, are very prominent. And considering abortion from a social point of view is also main factor in films. Through these studie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dramas and films deal with abortion as a side tool to characterize the storytelling development and characters, while foreign films are more likely to find a tendency to evoke the social and personal problems inherent in abortion and to publicize it. The tendency to actively review women’s self-determination and abortion issue, while directly representing and dealing with abortion on the screen, has been found to b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in Korea.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말라리아 후유증으로 초래된 피질하성 치매 1례

        정효경,이영호,정영조,김수지,박병관,Chung, Hyo-Kyung,Lee, Young-Ho,Chung, Young-Cho,Kim, Su-Sie,Park, Byoung-Kw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5 생물정신의학 Vol.2 No.2

        Subcortical dementia may occur as a complication of cerebral malaria via deep white matter demyelination with encephalitis and diffuse small vessel vasculitis. In subcortical dementia, impairment in attention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 are predominant. Patients are often inert, indifferent, and uninterested. They appear characteristically 'slowed up' with a marked deficit in the retrieval of information. Changes in mood, personality, and social conduct are very common. We describe a case of subcortical dementia, who has definite changes in brain MRI after cerebral malaria.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