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현금흐름이 자본구조 조정 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은,신민식 한국재무관리학회 2012 財務管理硏究 Vol.29 No.2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cash flow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of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ffect of cash flow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s low and insignificant for chaebol firms but is high and significant for non-chaebol firms. A non-chaebol firm’s cash flow features affect not only the target leverage, but also the speed of adjustment toward the target.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tive leverage deviation() exceeds the absolute value of the cash flow(), all of is available to adjust the passive leverage toward the active target leverage. However, the active leverage deviation beyond the absolute value of the cash flow(-) will be close only if the marginal cost of adjustment in the capital market is sufficiently low. Accordingly, the firm’s adjustment speed toward the active target leverage will be faster for up to than beyond that point. In addi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cash flow() exceeds the absolute value of the active leverage deviation(), the firm’s cash flow needs permit it to attain the active target leverage. However, a firm with the absolute value of the cash flow beyond the active leverage deviation(-) can attain its active target leverage in the course of fulfilling its cash flow needs, so further transactions should leave leverage undistributed. Our results are robust to variations of our cash flow measures by using the change of net working capital and the cash dividend paid. Moreover, we examine both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Financial constraints proxy variables are dividend payment dummy and credit score dummy.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djust more quickly than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현금흐름이 자본구조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벌기업의 경우에는 레버리지 조정속도가 느리고, 현금흐름이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약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재벌기업의 내부자본시장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비재벌기업의 경우에는 조정속도도 빠르고, 현금흐름이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도 더 크게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레버리지 편차가 클수록 조정속도가 빠르며, 레버리지 수준이 높은 과대-레버리지기업은 과소-레버리지기업보다 조정속도가 더 빠르다. 기업의 현금흐름과 레버리지 편차가 모두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상대적 크기에 따라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기업의 현금흐름이 레버리지 편차보다 더 적게 발생하면, 그 현금흐름의 대부분을 사용하여 레버리지 편차 중의 일부를 신속하게 조정하며, 현금흐름이 레버리지 편차를 초과할 만큼 크게 발생하면, 그 현금흐름의 일부를 사용하여 레버리지 편차의 대부분을 신속하게 조정한다. 그리고 현금흐름이 레버리지 편차보다 더 적게 발생하면, 현금흐름으로 그 편차를 모두 조정할 수 없으므로 나머지 부분은 자본시장을 통하여 조정한다. 그러나 현금흐름이 레버리지 편차를 초과할 만큼 크게 발생하면, 현금흐름으로 레버리지 편차의 대부분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자본시장을 통한 추가적인 조정은 불필요하다. 나아가, 현금흐름의 구성항목을 변경시키거나 재무적 제약을 고려하더라도, 분석결과는 큰 차이가 없다. 결론적으로, 재벌기업의 경우에는 조정속도가 느리고, 현금흐름이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약하다. 그러나 비재벌기업의 경우에는 레버리지 수준이나 레버리지 편차뿐만 아니라 현금흐름도 레버리지 조정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현금흐름과 레버리지 편차는 그 상대적 크기에 따라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레버리지 수준이나 레버리지 편차뿐만 아니라 현금흐름과 레버리지 편차간의 상대적 크기를 고려하여 레버리지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 KCI등재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영국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의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은,곽새롬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본 연구는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것으로, 한국어 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태도가 교환학생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국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의 교육과정을 사례로 삼았는데, 영국 셰필드대학교는 총 4학년의 한국어 교육과정 중 1년 간의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 이수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 학부 1~4학년 과정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동기,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하고, 셰필드대학교 및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모두 경험한 4학년 학생에게 보충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의 질적 해석력을 높였다. 연구 결과,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입학 당시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고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에 처음 체류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초 한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학습 맥락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국내외 연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로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교환학생 경험을 통해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구어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적 처치가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환학생 경험을 통해 한국어가 더욱 재미있다고 느끼거나 학습 목표 및 동기가 강화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어, 졸업 전까지 목표를 구체화하고 진로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나 동아리 활동 등을 지원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수강 실태 파악을 통한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광주・전남 지역 소재 한국어교육학 전공 학부생을 중심으로-

        김수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2 언어와 문화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ideas for the design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actual status of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16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king Gwangju and Jeonnam as an example, where most of the students are international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major selection and motivation, desired career path, status of taking cours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and learner requirements. In particular, as for the status of lectur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ubject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ubjects, it was confirmed to the Likert level such as voluntary motivation, content comprehension, communication comprehension, academic achievement, communication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김수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mulated results and to seek new directions of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order to do that, reviewed 19 Korean dissertations and 56 articles, either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or presented at con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se 75 articles by year, extracted common themes in the research, and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embrace the key words of spoken language research: What is spoken language (grammar)?; What aspects of spoken language can be analyzed?; How can spoken language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 can spoken language be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issues, the concerns and views of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esented.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making actual developments in the 2000’s, and has show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since 2009, which is in alignment with the recent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ertain implications while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First, elaboration on the function of spoken language in communication and the acceptance range is needed. Second, although research on aspects of learners’ usage of spoken language and application of spoken corpus has actively been conducted, the themes and range of the analysis were limited; and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more various and specifie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by learners and by levels. Finally,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valuation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as a result, specific principles, tools, and standards of evaluation should be prepared.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18편과 학술 저널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 55편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이 73편의 연구를 연도별로 분석하고, 연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 주제를 추출하여 구어 연구의 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한국어 구어(문법)의 특성은 무엇인가’, ‘무엇을 대상으로 구어를 분석할 것인가?’, ‘한국어교육에서 구어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구어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네 쟁점을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가 어떤 관심사와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정리했다. 한국어교육에서 구어 교육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2009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최근 의사소통과 실제성을 강조하는 한국어교육의 시류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 동향을 파악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의사소통에서의 구어의 역할과 수용 범위에 대해 상세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구어 사용 양상과 구어 말뭉치 활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나, 분석의 주제와 범위가 제한적이었으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구어 교육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학습자별, 수준별 목표와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구어 평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했으므로, 평가의 원리와 도구, 기준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튜브 BJ 속성이 정보의 유용성, 정보탐색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스포츠콘텐츠 중심으로

        김수은,이희화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attributes of YouTube BJs, specifically those dealing in e-sports content, affects information usefulness,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achieve this purpose, data from 229 students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of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iendliness of the BJ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formation usefulness, the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BJ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formation usefulness, the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hird, the information useful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Information search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trategy for e-sports content produc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BJs. 본 연구의 목적은 e-스포츠 관련 유튜브 BJ 속성이 정보의 유용성과 정보탐색 만족도 및 행동 의도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편의표집하여 수집된 22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첫째, BJ의 친밀성은 정보의 유용성, 정보탐색 만족도 및 행동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BJ의 신뢰성은 정보의 유용성, 정보탐색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정보의 유용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지만 정보탐색 만족도는 행동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BJ의 주요 속성요인인 친밀성을 기반한 e-스포츠 콘텐츠 제작에 대한 전략 수립에 기여하며, 추후 다양한콘텐츠를 중심으로 BJ 및 관람자의 속성과 소비행동을 위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Anti-Melanogenic Effect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in Melan-a Cells

        김수은,이채명,영철 한국독성학회 2017 Toxicological Research Vol.33 No.1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Oenothera laciniata methanol extract (OLME) in vitro by using melan-a cel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OLME was 66.3 and 19.0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OLME (500 μg/mL) were 94.5%, 95.6%, and 63.6%, respectively.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 μg/ mL significantly decreased melanin content by 35.5% and 14.2%,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and arbutin treatment at 50 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by 22.6% and 12.6%,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OLME (50 μ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 (MITF-M) mRNA expression by 57.1%, 67.3%, 99.0%, and 77.0%,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Arbutin (50 μg/mL) significantly decreased tyrosinase, TRP-1, and TRP-2 mRNA expression by 24.2%, 42.9%, and 48.5%,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 < 0.05). However, arbutin (50 μg/mL) did not affect MITF-M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OLME showed a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elanogenic effect in melan-a cells that was superior to that of arbutin, a well-known skin-whitening agent. The potential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OLME wa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M mRNA expression.

      • 신기후체제에서의 원자력 연구개발의 전략적 추진 방안

        김수은,정익,양맹호,이영준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신기후체제 대응’ 이라는 범국가적 미션 뿐 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의 원자력계 입지를 고려할 때 원자력계의 적극적인 대처와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후기술과 기술협력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연구기관 및 관련 기업이 현재 보유 혹은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에 활용 가능한 기술과 연구분야를 발굴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및 연구원 Family 기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자력발전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기여 외에도 원자력계 내에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기술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였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가 주도의 기후기술 연구 전략이 성공적으로 수립·이행되기 위해서는 연구 및 정책 분야 전문가들의 기후기술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술 활용 혹은 개도국으로의 이관 시 국가 NDC 달성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성과 측정 기준이 확정 된다면 향후 고도화된 연구개발 전략 수립은 물론, 연구자들의 참여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