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장유통 조건에 따른 오징어 품질예측 모델링

        김소이,신지영,김현석,양지영,Kim, So-i,Shin, Jiyoung,Kim, Hyunsuk,Yang, Ji-yo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ere are a number of method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quid. However, when purchasing the fish, consumers and retails rely only on the sensory test and flavor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prov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indicator and sensory test. Total viable cell count (TVC), viable cell count of Pseudomonas spp.,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were selected as scientific indicators and mesured during the storage of squid at different temperature. The squid was storaged at 3 different temperature (5℃, 15℃, 20℃). Off flavor determination time was measured by R-index, and kinetic modeling was conducted. Activation energies of off-flavor determination time, TVC, Pseudomonas spp, VBN, and pH were 51.210 kJ/mol, 42.88 kJ/mol, 50.283 kJ/mol, 72.594 kJ/mol and 41.99 kJ/mol respectively. Activation energy of off-flavor determination time was approximated to viable cell count of Pseudomonas spp., TVC, pH and VBN as an order. Especially, viable cell count of Pseudomonas spp. had best match of the activation energy.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ndicator of off-flavor determine time was viable cell count of Pseudomonas spp..

      • KCI등재

        특징적 단어 및 이모티콘 집합을 활용한 모바일 기기 내 성별 예측 프레임워크

        김소이(Solee Kim),최예림(Yerim Choi),김윤정(Yoonjung Kim),박규연(Kyuyon Park),박종헌(Jongh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11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추천 시스템과 같은 개인화 서비스 발달에 도움이 되며, 모바일 사용 데이터는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텍스트 데이터는 성별 예측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바일 텍스트 데이터는 프라이버시 이슈가 존재하여 그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바이스 내 예측 방법론을 제안하여 모바일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면서 프라이버시 이슈를 최소화는 동시에 사용자의 성별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자 한다. 우선, 성별에 따른 특징이 반영된 웹문서를 수집하여 각 성별에 따른 특징적 단어 집합과 특징적 이모티콘 집합을 구성한다. 단어 집합과 이모티콘 집합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데이터와 비교하여 성별을 각각 예측하고, 두 예측 결과를 앙상블하여 최종적인 성별 예측 결과를 도출한다. 피실험자들의 모바일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별 예측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안 방법론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sonalized services such as recommendation systems. Mobile data, especially text data,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prediction of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However, mobile text data has privacy issues so that its utilization is limited. In this regard, we introduce an on-device gender prediction framework utilizing mobile text data while minimizing the privacy issue. Discriminative word and emoticon sets of each gender are constructed from web documents written by authors of each gender. After gender predic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discriminative word and emoticon sets with a user"s mobile text data, an ensemble method that combines two prediction results draws a final result. From experiments conducted on real-world mobile text data, the proposed on-device framework shows promising results for gender predic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에서 경향성 지식 생성 능력에 따른 안구 운동 분석

        김소이 ( Kim So Yi ),신동훈 ( Shin Dong Ho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에서 경향성 지식 생성 능력에 따른 안구 운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3명이 4개의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안구 운동을 SMI사의 i View X<sup>TM</sup> RED를 이용하여 120 Hz로 측정하였다. 과제는 동물과제1 - 식물과제1 - 동물과제2 - 식물과제2 순서로 제시되었으며, 각각의 과제는 3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되었다. 안구운동 측정과 동시에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은 발성사고법으로 수집되었으며, SMI사의 BeGaze 3.6 및 IBM SPSS Statistics를 통해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이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안구 운동을 측정하여 ‘초등학생의 경향성 지식 생성 능력 지수’에 따라 평균을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집단은 하위집단보다 AOI에 대한 응시 시간이 높게 나타난다. 둘째, 상위집단은 도약 횟수와 도약 속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셋째, 경향성 지식 생성에 유효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인 재응시 횟수도 상위집단이 더 높다. 넷째, 경향성 지식 생성 능력에 따라 영역 간 이동 횟수가 다르게 나타난다. 다섯째, 비계 제공 전·후 두 집단의 특징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영역 간 이동에서 하위집단에게 비계 제공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안구 운동 통해 초등학생의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계를 지식 생성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여 낮은 경향성 지식 생성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개별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ye movement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patter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ability to generate pattern knowledge. The eye movem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ur pattern knowledge generation tasks in 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at 120 Hz using SMI 's i View XTM RED. The tasks were presented in order of animal task 1 - plant task 1 - animal task 2 - plant task 2, and each task consisted of three sub tasks. At the same time as measuring eye movements,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pattern knowledge was collected by ‘think aloud’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through SMI 's BeGaze 3.6 and IBM SPSS.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aver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ttern knowledge generation ability inde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bility have higher AOI score than the lower group. Second, the students with high ability shows higher saccade count and velocity. Third, the number of revisits, which is the process of confirming information that is effective in generating the pattern knowledge, is higher in the high ability students group. Fourth, the number of movements between AOIs varies according to the ability to generate pattern knowledge.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providing the scaffold were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feedback to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about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patter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ye move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a personalized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pattern knowledge generation skills by providing a way to use the scaffolding effectively in the course of knowledge.

      • KCI등재

        기후변화 시각자료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안구운동 분석

        김소이(Kim, So Yi),방건우(Bang, Keon Woo),오현지(Oh, Hyun Ji),신동훈(Shin, Dong Hoon)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기후변화 시각자료에서의 안구운동을 분석한 것이다. 기후변화 교육은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구운동 추적기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분석 결과는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시각자료 선정 및 개발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각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안구운동 측정을 위한 과제를 개발한 후 안구운동을 측정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9명이 자발적으로 안구운동 측정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SMI사의 i View XTM RED를 이용하여 안구운동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집단은 글 시각자료에서 집중적으로 정보 의존도가 높았다. 둘째, 동일한 기능 및 범주 내에서 여러 장의 그림 시각자료를 배치했을 때, 왼쪽에 배치된 그림에서 가장 높은 주의가 발생했다. 셋째, 그래프의 데이터 영역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 높은 주의가 발생했다. 넷째, 제목에 붙어 있는 삽화, 캐릭터 시각자료에 대한 주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응시, 도약 횟수와 속도, 점유도, 시선 흐름 등의 측면에서 분석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기후변화 수업의 적합한 시각자료를 선정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eye movements in climate change visual material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ince Climate change education is based on various visual materials, the results of eye movement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eye movement tracker can provide a basis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visual material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is study, eye movements were measur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visual data used in various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developing the task for measurement of eye movement. 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voluntary measurement of eye movements, and during the course of the task, their eye movements were measured by SMI s i View XTM 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 achievers were highly dependent on information only in writing materials. Second, when placing multiple pieces of picture visuals within the same function and category, the highest attention occurred in the pictures placed on the left. Third, in the data area of the graph, both groups were highly cautious. Fourt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visual illustrations and characters attached to the tit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erms of fixation, saccade count & velocity, binning chart and scan path provide implications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suitable visual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식행동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김소이(Soi Kim),류미향(Mihyang Ryu)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식행동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9곳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83명을 대상으로 양육자 식사지도 척도와 유아들을 위한 식행동 척도 및 자기조절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다중회귀 분석 및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식행동은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와는 부적 상관이, 반응성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조절과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 자기조절의 경우에도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와는 부적 상관이, 반응성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 식사지도 중 요구도의 경우 유아 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부분매개효과가, 반응성의 경우 유아 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식행동에 대해 어머니 식사지도와 유아 자기조절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특히 어머니가 애정적이고 반응적인 태도로 식사지도를 하는 것이 유아 자기조절과 궁극적으로는 유아 식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 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eeding guidance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83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ged 3 and 5 years old (attending nine daycare centers in B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Caregiver s Feeding Guidance Scale, Food Behavior Scale, and Self-Regulation Sca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 and Sobel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indicated that young children’s eat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mothers’ demandingness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ir mothers’ responsiveness.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mandingness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for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ponsiveness and their children’s eating behavior.

      • KCI등재후보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과 활성 물질 분리

        김소이 ( So I Kim ),안유진 ( You Jin Ahn ),김은희 ( Eun Hee Kim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 P. ovale, E. coli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13 %, 0.25 %, 0.13 %, 0.25 %로 나타났으며, S. aureus, P. acnes, P. ovale에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50 % ethanol 추출물(12.13 μg/mL) < ethyl acetate 분획(7.07)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6.20)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sub>50</sub>, 1.81 μg/mL) < ethyl acetate 분획(1.70) < aglycone 분획(0.70)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경우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25 μg/mL 농도에서 τ50이 220.0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3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4개의 띠(QA 1 ~ QA 4)로 분리되었으며, 그 중 QA 1은 kaempferol, QA 2는 quercetin, 그리고 QA 3는 gallic acid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50)은 65.67 μg/mL이었고, elastase 저해활성(IC<sub>50</sub>)은 24.50 μ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이 <sup>1</sup>O<sub>2</sub>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상수리나무 잎 성분 분석,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 그리고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tive effects,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nd components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were investigated. MIC valu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Q. acutissima Carruth leaf on P. acnes, S. aureus, P. ovale, and E. coli were 0.13 %, 0.25 %, 0.13 % and 0.25 %,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S. aureus, P. acnes, and P. ovale.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of extract/fractions of Q. acutissima Carruth. leaf was in the order: 50 % ethanol extract (12.13 μg/mL) < ethyl acetate fraction (7.07 μg/mL) <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6.20 μ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some Q.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order of ROS scavenging activity was 50 % ethanol extract (OSC50, 1.81 μg/mL) < ethyl acetate fraction (1.70 μg/mL) <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0.70 μg/mL).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showed the most prominent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Q. acutissima Carruth leaf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Q.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particularly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rominent celluar protective effect (τ50, 220.00 min at 25 μg/mL). Aglycone fractions obtained from the deglycosylation reaction of ethyl acetate fraction among the Q.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showed 3 bands (QA 1, QA2 and QA3) on TLC. TLC chromatogram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Q. Carruth. leaf extract revealed 4 bands (QA 1 ~ QA 4), Among them, kaempferol (QA 1), quercetin (QA 2), and gallic acid (QA 3) were identified. The inhibitory effect (IC50) of aglycone fraction on tyrosinase was 65.7 μg/mL. The inhibitory effect (IC50) of aglycone fraction on elastase was 24.50 μ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fractions of Q. acutissima Carruth. can functionized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O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Extract/fractions of Q. acutissima Corruth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antiaging, antibacterial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