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廣州鄕校의 移建과 重修

        김세민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5

        고려시대에 향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고 보았을 때, 현재 하남에 있는 廣州鄕校도 고려시대 어느 시점에 설립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조선 태종 18년(1418)에 前 廣州敎授官 皮子休 등이 왕에게 站夫의 수를 더 정하자고 진언한 내용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廣州敎授官은 향교에 파견된 교관이므로 1418년 이전에 광주향교가 설립된 것은 분명해 보인다. 현재의 광주향교 위치는 처음 설립한 위치가 아니라 옮겨온 장소이다. 그런데 옮겨온 시기나 이유, 그 위치에 대해서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즉 광주향교 移建의 시기는 『重訂南漢志』에서 숙종 29년(1703)으로 기록된 이래 지금까지 모든 자료가 이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고, 移建의 이유나 원 위치에 대해서도 문헌의 고증이 없었다. 그러나 광주향교가 이건한 연대는 『중정남한지』 기록대로 숙종 29년(1703)이 아니라, 경종 3년(1723)일 가능성이 높다. 홍경모는 『중정남한지』에서 숙종 癸未年이 이전한 연대라 기록하고 있으나, 『학교등록』을 검토해보면 경종 癸卯年이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홍경모가 다른 자료를 보고 인용할 때 계묘년을 계미년으로 잘못 서술했을 수도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향교가 고읍터로 옮기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원래의 향교가 건물이 헐고 무너질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당시 터만 남아있던 고읍터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단의왕후 심씨의 아버지인 청은부원군 沈浩의 묘 문제가 제기되는데, 심호의 묘가 원래 향교의 부근에 자리한 것은 사실이고, 또 그가 사망한지 약 20년 후에 터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지금의 양평으로 이전해 가는 것도 사실이다. 다만 전해오는 말대로 향교를 옮기는데 직접 관여했을까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광주향교의 중수에 대해서는 연산군 8년(1502) 지은 『허백당문집』의 「청풍루기」, 선조 35년(1602) 경에 작성된 오산 차천로의 「광주향교중창모재문」, 효종 10년(1659) 첨지중추부사 심광수가 올린 상소문, 정조 12년(1788) 「광주부교궁중수기」, 철종 10년(1859) 「광주부향교명륜당중수기」 등과 광무 7년(1903) 광주부윤 서리 양주군수 홍태윤이 중앙에 보낸 공문, 1956년의 「광주향교중수기 부명」 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 기록을 통해서 향교 건물이 꾸준히 중수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이 기록들을 통해서 향교를 이건한 당시인 경종 3년(1724) 경에는 紅箭門이 있었고, 최근에 복원된 동재는 헌종 12년(1846) 이전에는 존재했으며, 1956년 이전까지는 익랑도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향교 제사에 쓰이는 제향비용에 대해서 전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18세기 초의 경우, 특정 지역, 특정 가구의 民結 所納米로 사용되기도 하고, 19세기 말에는 향교 은행나무에서 열리는 은행으로 석채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송파장이나 사평장에서 세금으로 거두어들인 장세가 향교의 비용으로 충당된 것도 알 수 있다. 광주향교는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서울시의 강동, 송파, 강남 그리고 경기도의 광주, 성남, 하남의 넓은 지역을 아우르는 향교였다. 광주관아가 인조 4년(1626)년 병자호란에 대비하기 위해 남한산성으로 옮겨간 뒤에도 광주향교는 여전히 하남에 남았다. 광주향교는 창건된 이래 기록상 고읍 터로 한 차례 옮겨지기는 했지만, 지금까지 오랜 기간 하남에 남아 존속해 왔던 ... Although it is not known when Gwangju Hyaonggyo(country school) was established, scholars speculate that it was built in the Goryeo period, or more precisely, before 1418, as a historical record shows that Pijahyu, a former Gwangjugyosugwan(廣州敎授官), suggested the King that the number of the school staff should be increased in 1418(18th year of King Taejong). Gwangju Hyanggyo was transferred to a different place after it was founded, but the exact date of when the country school moved to where is controversial. For instance, according to a treatise entitled Jungjeongnamhanji, the school moved to a different location in 1703(29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hile a document entitled Hakgyodeungnok says it was not until 1723 that the school was established in a different location. Hakgyodeungnok also records that the school moved to the site of an old public office because the school building was worn out and about to be dismantled. However, rumor has it that Sim Ho, the father of Queen Sim, had the school moved to a different place in order to raise his tomb on that site. Although we do not know if Sim Ho was really involved in the transfer of the school, it holds true that Sim’s graveyard was near the school. Also, the school filed a complaint with the government several times regarding the matter of transferring Sim’s tomb in around 1724. Gwangju Hyanggyo covered its expenses for the maintenance of the school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okjeon ritual, which was held in spring and fall every year, by asking the local government to provide it with Wonrim and Gwandunjeon and allow it to possess the lot where the school stood before it moved to a new location. It also levied land taxes on Deukgyeong, Sullye, and Jatgeum, who lived in Dunji-dong, and taxes on salt shops and malted wheat wholesalers in the nearby markets including Songpajang and Sapyeongja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letters of appeal by government officials and records on the remodeling of the school building, which kept in the Gwangju Hyanggyo testify that the school had been renovated on a regular basis. Those records make scholars speculate that there was a gate called Hongjeonmun at the school when it was moved to a new site in around 1724 and Dongje, which was recently restored, and Iknang survived until 1724 and 1956, respectively.

      • IoT와 웹 기반 모니터링을 이용한 스마트 미러

        김세민,정재훈,이순흠 순천향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22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8 No.1

        Mirrors can be found anywhere in our daily lives. Therefore, mirrors are easy and useful tool for conveying information whenever necessary. You can check the news, weather, and fine dust that are updated in real time on a mirror that anyone can use, and because it can also outputs information by voice, you can receive information without facing the mirror. In addition, interest in digital healthcare has also increased due to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and exercise. Apple Watch, whose main functions are ECG measurement, heart rate measurement, arrhythmia notification,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and momentum measurement. has become the world's best-selling watch, surpassing sales of traditional watches as of 2020. Sales of smart watches jumped further as outdoor activities increased due to the so-called endemic effect of COVID-19. Bringing these function of digital healthcare as some of smart mirrors’ functions that is easily accessible in everyday life as well as wearable devices will help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lot people. In this paper, a smart mirror that is convenient to use was implemented and tested experimentally.

      • KCI등재

        내·외향적 성격유형이 자바 프로그래밍 학습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김세민,유강수,Kim, Semin,You, Kangsoo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소프트웨어 분야가 발전하고 주목을 받게 됨에 따라 최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분야의 능력 향상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바 프로그래밍을 학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내 외향적인 학습자들의 성격유형이 회복탄력성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에 필요한 회복탄력성의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외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은 외향적인 성격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에 필요한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향상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내향적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외향적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의 장점을 살려 상호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ealm of software and its getting the limelight, technical-specialized high schools are trying hard to improve their students' ability in terms of the realm of software in the lates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argeting for students who are learning Java program how much the type of personality of learners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As a result, the learners having introverted personality didn't have a meaningful result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which is necessary for the programming learning. Vice versa, the learners having extroverted personality had a meaningful result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through that personality.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seek after the way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resilience which mutually benefits learners having extroverted personality or introverted personality.

      • KCI등재

        廣州邑治에 대한 硏究

        김세민 서울역사편찬원 2011 서울과 역사 Vol.- No.77

        경기도 하남지역은 고려 태조 23년(940) 漢州에서 廣州로 명칭이 개칭된 후 성종 2년(983)에 광주목이 설치되면서 목사가 파견되었다. 조선 세종 때에는 수원에 있었던 경기도 관찰사영을 광주 춘궁동 읍치로 옮기고, 경기도 관찰사가 광주목사를 겸임하였다. 이후 광주읍치는 병자호란에 대비하기 위해 인조 4년(1626) 남한산성으로 옮겨가게 되었고, 춘궁동 읍치는 古邑으로 표기되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 작성된 모든 지리지와 古地圖는 하남시 춘궁동을 광주부의 읍치가 위치했던 곳으로 기록,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일제시기에 작성된 『조선고적조사보고서』는 춘궁동 읍치 외에 중대면에도 읍치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보고서에서 제기한 중대면 읍치의 근거는 『丙子錄』에 있는 내용 중 인조가 남한산성의 서문으로 나왔고, 고읍을 거쳐 삼전도의 수항단에 이르렀다는 것인데, 실제로 북문이 아닌 서문을 나와서는 동부면 읍치를 지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가 조사해 본 결과, 이와 같은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병자록』(간행자, 연대 미상) 외에도 『承政院日記』, 『南漢日記』, 1928년 朝鮮博文社에서 발간한 『壬辰及丙子錄』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승정원일기』의 기록대로 중대면에 읍치가 설치되었다면, 그 시기는 동부면 읍치보다 이전이거나, 아니면 동부면 읍치 설치 후 어떤 이유로 일시 읍치가 이동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동부면의 읍치 설치는 『동국여지지』나 『허백당집』에 관아나 객사 모두 고려 때 설치되었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고려 어느 시기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따라서 그 구체적인 시기를 고려 태조 23년(940) 광주로 명칭이 개칭되었을 때이거나, 또는 성종 2년(983) 목사가 파견되기 시작했을 때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교산동 건물지의 출토유물 중 ‘광주객사’銘 기와가 출토되는 층이 여말선초 층이고, 광주향교 전사청, 제기고 발굴에서 출토된 유물의 중심연대도 고려 말기인 14세기경이다. 또한 수복사 부지 발굴에서도 ‘泰定廣州’, ‘二年客舍’ ‘泰定二年’명 기와도 출토되었는데, 이 泰定二年은 원나라의 연호로 고려 충숙왕 12년(1325)이다. 따라서 동부면 읍치도 고려 초에 바로 설치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동부면 읍치의 설치 이전에 중대면에 읍치가 있었다고 한다면 이는 고려 초 중기 이전이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인조대 읍치를 남한산성으로 옮긴 후에도 산성 안에는 행궁과 객사만 세웠을 뿐 나머지 관아 건물들, 즉 좌전, 제승헌, 수어영, 좌승당, 일장각 등은 모두 18~19세기에 지어진 것을 볼 때, 남한산성이 읍치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교산동 건물지 마지막 층인 3기층에서는 숙종대 이후의 유물이 출토되고 있고, 광주향교 역시 고읍에 이건하는 시기 역시 숙종 이후인 것으로 보아 행정적인 업무는 고읍에서 어느 정도 계속 되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이는 인조대 이후 광주지방 행정체제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즉 인조 즉위 후 광주는 유수겸수어사 체제가 되었다가 인조 8년(1630) 부윤체제로 복귀되고, 다시 숙종 16년(1690) 유수겸수어사 체제로 환원되었다가 숙종 25년(1699) 다시 부윤체제로 되돌아가는 등 변동이 많았기 때문이다. Chungung-dong, Hanam-si, Gyeonggi-do is the place where Gwangju Eupchi existed in the period from Goryeo to Joseon. However, 『Joseon Historical Research Report』 writt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Eupchi in Joongdae-myeon (present Songpa-gu) in addition to Chungung-dong Eupchi. The evidence for Joongdae-myeon Eupchi presented in the report is that although Injo appeared through west door of Namhan Sansung and passed Goeup to reach Suhangdan of Samjeondo,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pass by Dongbu-myeon (present Hanam-si) Eupchi when exiting from the west door instead of the north door. Such content is also recorded in <承政院日記>, <南漢日記>, <壬辰及丙子錄> in addition to <丙子錄(Byeongjarok)>(publisher, unidentified) cited in the above report. Thus, if the Eupchi installation in Joongdae- myeon is true, the possibility of Eupchi movement can be considered in the period before or after the installation of Dongbu- myeon Eupchi. Although Dongbu-myeon Eupchi is recorded to have been install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 is no mention on which period of Goryeo. Thus, it is assumed as the period of Goryeo Taejo year 23 (940) when the name was changed to Gwangju, or Seongjong year 2 (983) during the sending of pastors. However, the excavation of 'Gwangju Gaeksa'銘 roof tile among excavated relics of Gyosan-dong building was in late Goryeo to early Joseon, while central chronology of relics excavated from Gwangju Hyanggyo Jeonsa-cheong, and Jaegigo was in the 14th century, the latter part of Goryeo. Furthermore, ‘泰定廣州’, ‘二年客舍’ ‘泰定二年’ roof tiles were also excavated in Sooboksa site excavation, and this 泰定二年 is Goryeo King Chungsuk year 12 (1325) in Chinese year. Thus, Dongbu-myeon Eupchi is not regarded to have been installed in the early years of Goryeo. If Joongdae-myeon Eupchi exist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Dongbu-myeon Eupchi, this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before the early-mid period of Goryeo.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Haenggung and Gaeksa were built in Sansung even after the movement of Injodae Eupchi to Namhan Sansung and the fact that remaining Gwana buildings, thus Jwacheon, Jaeseungheon, Sooeoyoung, Jwaseungdang, and Iljanggak were all built in the 18~19th century, Namhan Sansung is regarded to have failed in performing its function as Eupchi. By observing the fact that relics after Sookjongdae in the last building phase of Gyosandong are being excavated, and that the Goeup transfer period of Gwangju Hyanggyo was after Sookjong, considerable administrative duties are regarded to have continued in Goeup. This is regard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Gwangju province administrative system after Injodae. Thus, there have been many alterations, such as Gwangju becoming a Yoosugyeomsooeosa system after Injo ascension, returning to Injo year 8 (1630) Booyoon system, converting to Yoosugyeomsooeosa system in Sookjong year 16 (1690), and returning to Booyoon system in Sookjong year 25 (1699).

      • KCI등재

        조선후기 廣州의 토지매매문서 연구

        김세민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4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조선후기 광주의 토지매매문서에 대한연구이다. 시기는 1698년부터 1898년까지 약 200년간 작성된 명문이다. 범위는 조선시대 광주가 현재 경기도 일부와 서울시 강동, 강남, 송파구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지역 모두가 연구 범위에 든다. 그러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명문 119건 중 98건이 동부면에 집중되어 있고, 그외나머지 지역은 모두 21건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주군 동부면의 토지매매문서를 중심으로 하면서 그외 지역도 함께 살펴보기로한다. 조선시대 광주지역에서 작성된 토지매매문서를 보면 양반과 양인, 노비 등 다양한 신분계층 간에 토지매매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양반들의 경우, 유학, 출신, 생원, 선달, 진사, 첨지, 주부 등으로 표기되었고,나머지는 간혹 良人으로 표기하는 외에는 모두 이름을 쓰고 있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명문에 기재하는 것을 기피하여자신이 직접 매매에 관계하지 않고 노비들에게 대행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광주의 경우에도 노비가 양반인 상전으로부터 일종의 위임장인 패지를 발급받아 매매행위를 대행한 사례가 있다. 그런데 토지매매문서만 남아있고 패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노비도 자신의 토지를 소유, 매매할 수 있었기 때문에 노비 자신의 토지를 매매한것인지, 상전의 토지매매를 대행한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토지매매문서 상에 상전댁의 필요에 의해 토지를 매도한다거나, 이 토지는 상전댁이 매수한 것이라는 등 토지의 매도 이유나 취득 형태를 기재한 경우에는 패지가 없더라도 노비가 상전을 대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토지의 매매문서를 작성할 때 기본적인 형식은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제목은 작성 연월일과 토지 매수자의 이름을 기재하고 明文이라고 쓴다. 다음에는 토지를 매도하는 사유, 토지를 취득한 경위, 토지의 위치, 지번,크기, 토지의 가격을 기재하였다. 그 다음은 토지의 구문서, 신문서에 관련된 내용과 함께 이후 매도 토지와 관련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 문서를 가지고 官에서 증명하라는 내용을 기재한 후 토지주, 증인, 필집이 사인을 하면 거래가 성사된다. 토지매매는 대부분 1회성에 끝나는 경우가 많으나, 장심여, 이문회, 석경석, 안병사댁 노비 백중과 윤오위장댁 노비 분이 등 몇몇 사람은 여러차례에 걸쳐 토지를 사고 파는 모습이 보인다. 물론 기간의 길고 짧은 차이는 있지만 사고 파는 과정에서 매수가와 매도가가 크게는 10배 이상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토지매매 과정에서 증인을 서거나, 筆執으로참여하는 사람도 많다. 그중 최씨댁의 노비 三福이는 7년간 7차례에 걸쳐 증인과 필집을 맡기도 하였다. 대개 노비라고 하면, 남자 노비를 ‘奴’라 하고 여자 노비를 ‘婢’라고 한다. 그런데 토지매매문서에는 여자로 보이는, 즉 한금이나 윤금, 분이, 동이, 복이, 갑덕, 정월, 이월, 얌전 등 모두 奴라고 기재하여 남자노비나여자노비를 구분하지 않았다. 토지매매문서의 작성과정이나 토지거래의 관행이 지역마다 차별되는특성을 갖지는 않기 때문에 광주 역시 다른 지역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않아 보인다. 그러나 토지매매문서에는 당시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양반계층과 양인, 노비들의 명단이 들어 있다. 현재에는 없어졌거나 알 수없는 지명도 나타난다. 이런 정보들을 잘 활용한다면 광주 지역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 This paper addresses the land contracts in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The land contracts was made from 1698 to 1898, for nearly 200 years.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d some part of Gyeonggi-do, Kangdoong-gu,Gangnam-gu and Songpa-gu and these areas are the scope of this study. However 98 of 119 Myeongmun(land contract)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focus on Dongbu-myeon and the rest 21 are for another areas. Thus this paper will address mainly the land contracts in Dongbu-myeon, yet other areas too. The land contracts made in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 the land was traded between various social classes-yangban, yangin and nobi(slave). Yangban was specified as yuhak, chulsin, sangwon, seondla, jinsa, or jubu; and the rest were specified in names or as Nobi of Mr.so-and-so’s family as well as specified as ynagin occasionally. Yangban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want to specify their names in Myeongmum, and thus gave mandates to nobi. In Gwangju,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nobi traded the land on behalf of their masters based on Paeji- a kind of letter of attorney. However, if paeji cannot be identified even if there is land contract,nobi also can own and trade the l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tell whether nobi traded their land or just acted on behalf of their masters. However if the land contract contains the descriptions specifying the cause of the transaction of the land, for example, nobi traded the land acted on behalf of their masters, it proves nobi traded the land on behalf of their masters. The forms of land contract is almost identical. As for the title in the land contract, the date when the contract was made and the name of buyer were described and Myeongmun(明文)was written. Next, the cause of the trade, how the land was acquired, the location of the land, lot number, size and the price of the land were described. Next, the information about old document and new document and the instruction “In case disputes relating to the trading of the land arise, please present the document to the government office to prove the transaction” was described and then the contract was signed by and between land owner, witnesses and piljip. In most cases, the transaction of the land is one-off transaction, yet Jang, Shim Yeo, Lee,Moon hee, Seok, Gyoeng Seok, Beakjung, a salve to An, Byoneg Sa’s family traded the land several times. Of course there were time gaps,yet in some cases there were more than 10 times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selling price and buying price. Some people involve in the transaction as witnesses or piljip. Among them, Sambo, a servant to Choi’s family, involved in the transaction as a witness and jipil 7times during 7 years. In general, male servant is called No and female is called Bi. However, in the land contract, Yoongeum, Bun-ee,Dong-ee, Bun-ee, Gapdeok, Jungwol, Leewol, Yamjeon are described as No, which means the land contract did not discriminate the gender of Nobi. How to write the land contract and the land transaction practice do not vary depending on region, and thus Gwangju will be the same as other regions. Yet the land contract includes the names of yangban,yangin and nobi and even the names of some places which are unknown nowadays. Thus the use of this informa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studying Gwangju.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타자의 출루 관련 경기력과 불쾌지수의 관계 분석 : 투구 수 유도와 출루율을 중심으로

        김세민,유강수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4

        최근 프로야구에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기, 시즌, 팀을 운영하려는 시도가 일반화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 응용 데이터인 불쾌지수와 같은 경기 외적인 요소를 야구 경기 기록을 수집하고 출루율과 투 구 수 유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3차 기록으로 정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불쾌지수가 75이상일 때 투수의 투구 수 유도가 많이 되었으며, 불쾌지수가 69.9 이하일 때는 출루율이 높게 나왔으나, 불쾌지수가 70 이상 75미만일 때는 타자의 출루 관련 경기력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불쾌지수와 타자의 출루율과 투구 유도 수는 관계가 있으며, 투수의 경기력과 관계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1차 기록이라 정의하는 누적·비율기록과 2차 기록이라 정의하는 세이버메트릭스에 이어서 경 기 외적인 데이터를 연계하는 3차 기록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data to operate games, seasons, and teams in professional basebal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llected baseball game record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base rate and pitching count induction, and this was defined as the third record for non-game factors such as discomfort index, which includes the weather application data.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over 75, the pitcher's induction of pitching was high, and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less than 69.9, the on-base rate was high, but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70 or more and less than 75, the batter's on-base performance was the lowest.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discomfort index, the batter's on-base rate, and the number of induction pitches are related, an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itcher's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defining a cumulative/ratio record defined as the primary record and a saver metric defined as the secondary record, and a third, tertiary record linking data outside the g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