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 이동환경 자동평가 시스템 개발

        김창기(Changghi Kim),김성필(Seongphil Kim),허재혁(Jaehyeok Heo)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이동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동환경에 대한 정보를 웹 지도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시스템은 세부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이동환경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는 환경정보수집 시스템이다. 둘째는 이동환경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평가를 자동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다. 마지막으로 최종 평가된 이동환경 정보를 웹 지도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환경정보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은 장애인 및 노약자에게 이동환경정보를 제공하여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mobil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utomatically evaluates through development of software program and show information map in the internet webpage. The system could be explained in the three parts. One of the product’s developments is to create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which could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moving environment. Another development is to image assessments of the mobile environment and invent an automatic software system based on the result. The third development is to make a system that provides the evaluated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webpag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environment’s mobility for disabled patients or the elderly so they can find the optimal route to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 운동처방이 가능한 장애인 유산소 운동기구와 처방 관리 시스템 개발

        이승준(Seungjun Lee),김성필(Seongphil Kim),박대성(Daesung Park),이혜림(Hyelim Lee),이범석(Bumsuk Lee)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논문은 환자들의 운동 수행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처방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시스템은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운동기구에 장착할 수 있는 정보수집장치(센서와 인터페이스 보드)의 개발이다. 둘째는 운동의 흥미를 주며, 운동 처방에 따른 시나리오를 화면에 구현하기 위한 비주얼 피드백이다. 마지막으로 의료진이 환자의 운동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처방을 내릴 수 있는 운동처방 GUI와 시스템 구현이다. 이것은 장애인의 운동처방/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장애의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scribed management exercise system for patients with disabled by monitoring their performances continually. One of the development is an exercise data acquisition device(including sensor and interface board),which can connect to the exercise equipments. another one is to build a visual feedback indicating exercise performance for providing both prescription and entertainment. the other is a prescribed exercise GUI(Graphic User Interface) and system that doctors can manage patient's performance effectively, contributing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