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 레크리에이션 스포츠에서 승패가 기분상태와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competitive sport (Badminton) at the recreational level influences mood state and brainwave activity. Subjects consisted of 16 male university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20 to 27, with a mean age of 25 year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ight teams and each team consisted of two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wo-way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f group (win and loss) time (before and after game). Dependent variables were 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and R-L asymmetry alpha valu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depression, anger, and fatig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winning groups post-match compared to pre-match levels, while losing groups demonstrated a high increase of these factors post-match. With regard to vigor, winning groups showed a higher increase of vigor post-match than pre-match, while losing groups demonstrated a reduction of vigor post-match.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nning and losing groups post-match in terms of tension and confusion. It is known that frontal EEG alpha asymmetry, with the left hemisphere being more active,is indicative of positive emotion. Conversely, the right hemisphere being more active is indicative of negative emotion. Here winning groups showed heightened left frontal activation post-match, whereas losing groups showed heightened right frontal activation post-match.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at winning and losing, which are the results of competitive Badminton, influences changesin emotion with winning causing positive emotion changes and losing resulting in negative emotion changes. This is demonstrated by the heightened brain activation in the left frontal region of the brain in winning groups post-match. Furthermore,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exercise and shows that the competitive nature of Badminton may produce undesirable mood reductions.

      • KCI등재

        단기간의 과훈련이 여자대학교축구선수의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김우철(WooCheolKim),최석립(SukLipChoi)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훈련현장에서 여자대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기분상태검사지(POMS)를 사용하여 단기간의 과훈련이 여자대학교 축구선수들의 심리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사전-사후-추적 단계와 프로파일로 알아보는데 있다. 본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Y대학교 여자 축구선수 14명과 W대학교 8명 총 22명으로 이들은 정상훈련군(11명)과 과훈련군(11명)으로 각각 주어진 훈련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피험자들의 평균 연령은 21.2세이며, 평균 운동경력은 6년 8개월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집단(정상훈련군, 과훈련군)과 시간(사전, 사후, 2시간 후, 2일 후, 그리고 10일 후)에 대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긴장, 우울, 분노, 활력, 피로, 혼란, 그리고 총 정서장애이다. 본 연구결과 평상시보다 훈련 양을 증가시켜 훈련을 시켰을 때 여자대학교축구선수들의 심리적 부정적 정서인 긴장, 우울, 분노, 피로, 및 혼란점수에서 증가되었고, 긍정적 정서인 활력점수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정서장애 점수는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훈련은 부정적 심리상태를 유발시키며, 운동량의 과도한 증가는 심리적으로 심한 정서장애를 유발시키며 이러한 현상은 훈련이 끝난 후에도 여자선수들에게 후유증으로 남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과훈련을 시켰을 때 여자선수들의 기분이 부정적으로 변한다는 것은 경기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overtraining on psychological changes of female university soccer players by using POMS with before-after-follow up steps respectively. Twenty-two female university soccer play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20 to 22, with a mean age of 21.2 years, and mean experience of 6 years and 8 months. Subjects were divide into two group. Data was analyzed using two-way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f group (overtraining and normal) and time (before, after training, 2 hours after training, 2 days after training, 10 days after training). Dependent variables were 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and TMD (total mood disturb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train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normal group in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TMD. The result was that the overtraining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TMD but lower score in vigor, relative to normal train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overtraining induces negative affective state right after training and even this affective state have been maintained even few days after training. This implies that negative affect induced by overtraining would be a potential factor that negatively influence on soccer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운동강도가 우울증세 여자대학생의 뇌파와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ercise intensity influences emotion and brainwave activ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 symptoms of depression. Subjects consisted of 10 female university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20 to 22, with a mean age of 21 years. Subjects were selected by BDI score(over 16 score). EEG asymmetry and POM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ree exercise conditions: 3 intensities (40%, 60% and 80% of VO2max for 3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epeated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were 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TMD and R-L asymmetry alpha valu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two exercise conditions(40%, and 60% of VO2max) compared to the pre-exercise. Anger were significantly altered by exercise conditions(40% of VO2max) compared to pre-exercise. TMD was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two exercise conditions(40%, and 60% of VO2max) compared to pre-exercise. With regard to R-L asymmetry alpha values, post-exercise showed an increase of R-L asymmetry alpha values 60% of VO2max compared to the pre-exercise.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at two exercise conditions(40%, and 60% of VO2max) significantly altered emotion. Specially, 60% of VO2max exercise condition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lessening symptoms of depression.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EG asymmetry scores is a possible measuring instrument for symptoms of depression.

      • KCI등재

        상대빈도에 따른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 제공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볼링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유성종(SeongJongYu)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빈도에 따른 비디오자기모델링 피드백 제공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볼링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 습득단계에서 100%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집단과 50%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집단이 33%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집단보다 높은 볼링점수를 보여주었고, 파지단계에서도 100%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집단과 50% 비디오 자기모델링 피드백집단이 운동학습의 효과를 계속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일반인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의 안내가설 즉, 빈번한 피드백의 제시는 간헐적인 피드백의 제시보다 연습상황에서 효과적이라는 주장과는 일치하지만, 파지단계에서는 피드백의 의존생성효과 때문에 감소된 피드백제시가 운동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기존의 주장과는 일치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빈도가 낮은 피드백 제공이 파지단계에서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에서 정신지체인들의 파지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주장한 허진영(2003)의 연구결과를 재확인 시켜주었다. 그리고 정신지체아를 대상으로 내재적 피드백 단서에 집중시켜 운동학습을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비디오자기모델링 피드백이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feedback according to relative frequency on the performance of a bowling task. Thirty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 (30 male) whose age ranged from 10 to 14 years (M= 12.6)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1) Video self-modeling feedback 33% group(n=10), (2) Video self-modeling feedback 50% group(n=10), (3) Video self-modeling feedback 100% group(n=10). Dependa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bowling score. Experimental design was 3(frequency) ×5(day)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two factor at acquisition phase, and One-way ANOVA at retention p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bowling score, (a) 100% and 50%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33% condition at practice. (b) A performance of all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1 day (c) 100% and 50% cond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33% condition at retention.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엘리트 여자대학교 축구선수의 경쟁 상태불안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여자대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경기의 승패 및 상대팀에 대한 인지정도에 따른 시합 전 선수들의 인지불안, 신체불안 그리고 자신감 변화를 조사하여, 각 변인들 간의 불안수준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전국 상위권에 있는 한 팀(엘리트 선수)과 중하위권에 있는 한 팀(일반선수)을 정해 주전 선수로 뛰고 있는 여자 축구선수 중 총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설계는 집단과 경기 결과에 대해 이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했다. 또한 상대팀의 인지정도에 따른 경쟁 상태불안의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과 인지정도에 대해 이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인지불안, 신체불안 그리고 자신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엘리트 여자대학교 축구선수와 일반 여자대학교 축구선수 모두가 인지불안은 신체불안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자신감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감은 경기력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recompetitive state anxiety in elite female soccer players influence on performance according to rival cognitive levels and whether or not the result of soccer match changed by the state anxiety. Subjects consisted of 17 female soccer players(elite: 9, genenal: 8) and in age from 20 to 22, with a mean age of 20.4 year.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11 match which were held in three contests and state anxiety was evaluated every 30 minute befo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wo-way ANOVAs of group (elite and genenal) and result (win and loss). And Two-way ANOVA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n sports compe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rival cognitive levels.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anxiety, somatic anxiety, and self-confidence scor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cognitive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somatic anxiety but cognitive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confidence. But self-conf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soccer in elite female soccer player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자기효능감 차이에 따른 인지정보처리 변화: P300

        김성운(SungWoonKim),김진구(JinGuKim),이건영(GunYoung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통해 자기효능감 차이에 따라 유발되는 인지정보처리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남자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후, 중앙치 점수 90점을 기준으로 상위 20%와 하위 20%의 피험자를 선별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피험자(n=10)와 낮은 피험자(n=10)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나이는 19-29세였으며, 평균연령은 24.3세였다. P300의 진폭과 잠재기는 10명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10명의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을 비교하여 얻었는데,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빔 프로젝트 화면에 제시하여 연구대상자는 목표자극이 제시되었을 때만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뇌파는 Fz, Cz, Pz 그리고 O1에서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집단(2)×영역 (4)×자극(2)의 3원 요인분산분석(three-way factorial ANOVA)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P300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보다 P300의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 to high self-efficacy and low self-efficacy using P300. One-hundred fifty university students (male, ages 19-29 years, M=24.3, SD=3.42) completed the Physical Self-Efficacy Scale.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then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High Self-efficacy group (n=10) and Low Self-efficacy group (n=10). The P300 data obtained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Two-hundred stimuli (40 target stimuli, 160 standard stimuli) were randomly presented via a projection monitor and the participants told to press a button to indicate the appearance of a target stimulus. Th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collected from Fz, Cz, Pz, and O1 were used to assess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 Self-efficacy group produced a shorter P300 latency than the Low Self-efficacy group.

      • KCI등재

        자연과학편 : 태극권 운동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성운(SungWoonKim),김한철(HanCheolKim)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극권 운동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뇌파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 D구에 소재한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태극권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지적장애 청소년 24명이다. 피험자들의 연령은 만 13에서 16세이며, 사회성숙도(Social Maturity Scale) 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가된 SQ(Social Quotient) 지수가 60~70 사이였다. 대상 지적장애청소년들은 부모의 동의를 받아 무선 표집으로 (1) 실험집단(12명), (2) 통제집단(12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결과 태극권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한 저적장애 청소년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주의집중력 즉 능력치수, 품질통제치수, 그리고 연속성치수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파분석에서 태극권 운동집단이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SMR파워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태극권 운동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H-베타파워가 낮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태극권 운동 프로그램은 결핍된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전략의 방법으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되며, 특히 SMR파의 증가는 지적장애청소년의 주의집중이 이루어지면서 학습준비를 위한 정서적인 차원에서 각성 준비상태 또는 주의집중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높은 충동성과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상태 등과 관련이 있는 H-Beta파의 감소는 태극권 운동 프로그램이 학습 시 높은 각성수준에 의해 주의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적장애청소년의 정서적 조절을 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ai chi exercise on attention and brain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wenty-fou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13 to 16, with a mean age of 15.2 year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Data was analyzed using two-way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f group (tai chi excise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ime(pre and post).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ive attention score(P), quality control score(Q), continuation score(R), and left and right brain relative powers of theta, slow-alpha, mid-alpha, SMR(sensory motor rhythm), beta-low and beta-high wav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ai chi exercise train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elective attention score, quality control score, continua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brain activity analysis, the tai chi exerci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MR wave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H-beta wav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enefits of using a the tai chi exercise training for improving the attention capac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현실요법상담을 활용한 심리기술훈련이 남자중학교 테니스 상해선수의 자신감 회복과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

        박혜주(HyeJuPark),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William Glasser의 현실요법상담은 개인의 바램과 욕구가 무엇인지를 탐색하여 자신의 삶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도록 하는 이론이다. 최근에는 스포츠 분야에 까지 현실요법 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지금-여기 상황에서 내담자는 스스로 자신의 책임감을 인식하여 보다 효율적인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현실요법은 운동선수 상담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운동 상해로 인해 심리적 좌절을 겪게 되는 선수들에게 현실요법은 잃어버린 책임감을 되살려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게 해 줌으로써 선수의 재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상해를 입은 중학교 테니스 선수를 대상으로 현실요법상담을 활용한 심리기술훈련을 적용하여 운동 상해를 극복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상담사례를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상담을 의뢰한 내담자는 남자 중학교 2년생 1명으로 운동경력 4년째인 테니스선수였다. 상담은 매주 1회 60분간 총9회로 진행되었다. 상담의 목표는 심리적 자신감을 회복시켜 부상으로 인한 좌절감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상담초기 내담자는 운동 상해로 인해 상당한 심리적 위축에 있었으나 9회의 상담을 통해 수행향상과 자신감이 증진되었음을 보고함으로써 현실요법상담이 운동 상해 선수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접근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illiam Glasser's reality therapy counseling explores the wants and needs of the individual which in turn helped to control effectively their lives. Recently, reality therapy widely applied on sports setting by psychologists. At here and now, client recognize a responsibility theirselves and can choice more efficient lives. This indicates that reality therapy can suits for athlete as well. Specifically, for the injured athletes who feel difficulty in recovery due to psychological frustration. Researcher assume that reality therapy can be effective for injured athletes to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again and chose their lives theirselves.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applied to an athlete who had loss of confidence through injury and examined recovery process. Counseling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9 session, in 60 minutes. In this research, counseling was applied to a middle school tennis athlete who had 4 career. The goal of counseling was recovery of frustration from injury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initial counseling stage, athlete was daunted by injury. But though 9 session, he said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covery of self-esteem. Therefore, reality therapy counseling demonstrated a good method for psychological recovery of injured athlet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프로 스포츠구단 브랜드 인지에 대한 스포츠팬의 뇌 생리적 변화: fMRI 연구

        김진구(JinGuKim),김성운(SungWoonKim),김준수(JunSooKim)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팀 충성도에 따른 프로 스포츠구단브랜드 인지에 대한 스포츠팬의 심리를 fMRI의 연구를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KBO H구단의 팬 12명으로 모든 피험자는 오른손잡이이며 22.4세였다. 블록 디자인을 사용한 이 연구과제에서의 자극은 H구단과 S구단의 엠블렘 및 마트코트를 이용한 기념품 사진을 fMRI의 head coil에 설치된 LCD 모니터를 통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MATLAB 6.5 프로그램 환경에서 구현되는 SPM2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 연구결과 자기와 관련되는 정보를 처리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인 내측전두이랑, 친숙한 브랜드 제품을 선택할 때 활성화되는 상전두이랑, 과거 자신의 즐거운 경험을 떠올릴 때와 대상들 간의 관련성이 있을 때 활성화가 되는 해마옆이랑, 그리고 행복한 개인적 사건의 회상에 의해 행복한 정서상태가 되었을 때 또는 기쁨 자극을 경험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상측두이랑이 유의하게 활성화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성도가 높은 팬은 자기가 좋아하는 팀의 브랜드 이미지가 자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상으로 인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가 좋아하는 팀의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가 높은 팬들에게 큰 긍정적 자극으로 인지되어 호감과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팬의 충성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자기가 좋아하는 팀 경기의 반복입장과 팀 관련 상품 구매 등 팬 충성도에 따른 다양한 호감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프로 스포츠구단은 팬의 팀 충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적 접근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ffection on professional sports team influences the team brand recognition and the brain activation of fans.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12 male fans of the Hanwha (H) Team in the Korean Baseball League. All the subjects were right-handed and their average age was 22.4 year. To examine the cerebral activation during the observation of the manufactured goods with the team mascot and logo, twelve home team fans of the Hanwha Eagles professional baseball team were instructed to observe with their attention six different images presented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ctivation of medial frontal gyrus activated in self-referencing, superior frontal gyrus activated when choosing familiar brand products, parahippocampal gyrus activated when there is contextual association among objects, and superior temporal gyrus activated while experiencing pleasant stimuli. This suggests that sport fans with high affection perceive their favorite team`s brand image to be closely relevant to themselves and that the brand image of the favorite team is recognized as a strong positive stimulus to the fans with high loyalty and induce positive emotions such as good feeling and intimacy.

      • KCI등재

        단기간의 과훈련 시 여자중학교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하태호(TaeHoHa),김성운(SungWoonKim)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훈련현장에서 단기간의 과훈련 시 여자중학교 축구선수들의 기분변화에 성취목표성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N지역에 동계훈련에 참여한 126명의 여자중학교 축구선수 중 성취목표성향 검사를 통해 과제성향 소유자인 여자 축구선수 12명과 자기성향 소유자인 여자 축구선수 12명을 선정하여 과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피험자들의 평균 연령은 15.3세이며, 평균 운동경력은 4년 2개월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집단(과제성향, 자기성향)과 시간(사전, 사후, 그리고 7일 후)에 대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긴장, 우울, 분노, 활력, 피로, 혼란, 그리고 총 정서장애이다. 본 연구결과 과훈련 시 과제성향 과훈련 집단이 자기성향 과훈련 집단보다 심리적 부정정서인 긴장, 우울, 분노, 피로, 및 혼란점수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총기분장애 점수도 낮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정서인 활력점수는 과제성향 과훈련 집단이 자기성향 과훈련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제성향 선수집단이 자기성향 선수집단보다 과훈련후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과훈련이 끝난 후에도 나타나는 선수들의 부정적 정서장애 수준이 동기성향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많은 선행연구결과들이 주장한대로 과제성향의 긍정적인 측면이 과훈련 후 유발되는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acute overtraining on psychological changes of female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by using POMS with pre-post-follow up steps respectively. Methods: Twenty-four female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14 to 16, with a mean age of 15.3 years, and mean experience of 4 years and 2 month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ata was analyzed using two-way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f 2 groups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and 3 times (pre, post, post-7 days). Dependent variables were 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and TMD (total mood disturba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ask orienta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the ego orientation group in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TMD. Furthermo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vigor were shown with the task orientation group compared to the ego orientation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ask orientation group showed that alleviated the negative emotion than the ego orientation group and affected the female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negative emotional tendencies after acute overtraining. And the task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emale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mood in acute overtraining as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nd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