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능 성적에 대한 지역 여건의 영향력 분석

        김성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analyzed the gap of student's score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that is, Korean SAT) between municipals, and discussed the issues that could be addressed when test scores are used to evaluate school quality. It has investigated how school mean scores of Korean SAT change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regional factors, such as the self-reliance ratio of municipal finance, the ratio of poverty population, and private tutoring. The regional information was matched with the four years dataset of Korean SAT, and three level hierarchical model method was applied. In result, about 25.2% to 32.1% of total variance of student achievement was found at the school level. And the 47.2% to 54.4% of such variance was explained by school and region variables. This shows that between-school difference of student's achiev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school and region. But, the growth rate of school mean score were not related with school and regional fa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of school mean scores could not be regarded as school's educational competency, and that student backgrounds and region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if we intend to use students' test scores in order to evaluate school performance. 이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대한 지역 여건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성과의 근거로서 수능 성적과 같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의 수능 성적이 시군구 단위의 지역 여건을 나타내는 재정자립도,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비율, 학원수 및 학원비 수준 등의 변인들과 어느 정도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3-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능 성적의 학교 간 차이는 전체 변량의 25.2%에서 32.1% 정도이었으며, 이 차이는 투입된 학교와 지역 변인으로 47.2%에서 54.4% 정도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업 중단자 비율이 높은 학교, 저소득 계층 비율이 높은 지역, 학원수가 적은 지역, 그리고 도시보다는 읍면 지역에서 5년 간 평균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시군구별 재정자립도는 예상과 달리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학교 및 지역 변인들은 5년 간 학교별 수능 점수의 변화율과는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수능 성적의 학교 간 차이가 상당 부분 학교와 지역 여건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나 지역 여건이 좋다고 해서 수능 성적이 매년 더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수능 평균 점수 차이가 학교의 교육력 차이로 곧바로 해석될 수 없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여 학교의 교육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학생 배경이나 지역 여건을 고려하는 분석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불만족과 특목고 진학 경쟁이 사교육 시간과 비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성식,송혜정 한국교육사회학회 2009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4

        This study has dealt with one of the most debated issues in Korea: What factors boost students' expenditure of time and money on private tutoring? In this study, school dissatisfaction and competition were selected as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fluctuation of time and expense of private tutoring that students have invested in from 7th grade to 10th grade were examin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the four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result, the competition for entering selective schools, such 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the science high school,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in terms of time and expense. The school dis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didn't so much influence the change of students' private tutoring during middle school years. It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with increase of private tutoring at the 10th grade. These results imply that competition for entering upper schools could caus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dditional private tutoring, and suggested that a government policy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it includes controls to manage students' competition for selective schools. 이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가 경험하는 학교 교육에 대한 불만족과 진학 경쟁이 사교육 시간과 비용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차년도부터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4년 동안 표본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과 비용이 학교 불만족 여부와 진학 경쟁 여부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기간 동안 학교 불만족 변인은 사교육 시간이나 비용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진학 경쟁 변인은 중학교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교육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불만족 변인은 고등학교 1학년 시점에서 사교육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학교 시기 특목고 진학 경쟁을 하였던 학생들은 경쟁이 종료된 고등학교 1학년 시점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시기 과도한 사교육 유발 요인이 학교 불만족보다는 특목고 진학을 위한 경쟁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결과는 사교육 경감 정책이 학교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을 흡수하고자 하는 데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상급학교 진학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함께 고려되어야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골동에 발생한 골모세포종 1예

        김성식,김영수,이종우,위성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2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5 No.3

        Osteoblastoma is a benign bone tumor which commonly occurs in the vertebral column and the long bone of extremities, although the paranasal sinus involvement is very rare. We are reporting a case of benign osteoblastoma of the ethmoid sinus extending maxillary sinus and nasal cavity in a 66-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progressive exophthalmos and intractable epiphora. The tumor was successfully removed via extended medial maxillectomy through lateral rhinotomy approach. Histologic features showed the central zone of edematous vascular fibrous tissue with scattered trabeculae of osteoid surrounded by the outer layer of dense mature bone. A differential diagnosis is necessary for various kinds of fibro-osseous lesions such as osteoid osteoma, ossifying fibroma and fibrous dysplasia. (Korean J Otolaryngol 2002;45:296-9)

      • SCOPUSKCI등재

        Photoaddition Reactions of p-Quinones to Conjugated Diyne

        김성식,유동열,김애란,조인호,심상철,Kim Sung Sik,Yoo Dong Yeol,Kim Ae Rhan,Cho In Ho,Shim Sang Chul Korean Chemical Society 1989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10 No.1

        Irradiation of solutions of p-quinones and conjugated diyne, 1,4-diphenylbutadiyne, with 350 nm UV light gave the photoproducts such as quinomethane in good yields (70-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