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알코올 블랙아웃과 ‘심신상실’

        김성돈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21 刑事判例硏究 Vol.29 No.-

        In medical terms, alcohol blackout is defined as a ex-post failure to form memories, but without impairment in the cognitive function or state of consciousness of the actor at the time of the act-just as normal. The trial court of the target judgment made decision that the victim's condition did not correspond to the condition of the victim's mental loss or inability to protest, as the victim's statement that she could not remember because she was drunk at the time of being victimized. However, the Supreme Court of Korea said that if alcohol blackout was a problem for a victim, it should not be based solely on the statements of the victim and the accused, or based solely on a fragmentary observations of the victim's cond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victim was in a state of mental loss or inability to protest. Rather, it was taken as a starting point that a comprehensive judgment should be followed with various data to confirm how much the victim's state of consciousness and cognitive function were affected by alcohol.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plenty of room to assume that the victim was in a state of mental loss, such as falling asleep from alcohol when the accused was committing the crime. This article affirms that the Supreme Court's conclusions are based on a comprehensive(or zoom-out) approach instead of an approach that only adheres to the medical definition of alcohol blackout. This is because alcohol blackout does not only mean failure of memory formation, but encompasses a wide spectrum, including impairments in cognitive function or behavior control ability, up to a state of ‘passing out’. In addition, this article analyzed how the Supreme Court understands the concept of mental loss in applying the alcohol blackout case to the requirements of quasi-forced sexual molestation in criminal law,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has made and used the relevant legal principles and case formulas. Furthermore, by critically reviewing the concept of mental loss that the Supreme Court is taking as a starting point, the case formula, and the comprehensive judgment method, we proposed interpretive supplementation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to ensure that they can continue to be used without compromising legal stability.

      • KCI우수등재

        직권남용죄, 남용의 의미와 범위

        김성돈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3

        An unprecedented number of abuse of authority cases are knocking on the door of the court, raising interest in abuse of authority in the Criminal Act. However, while there are complaint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abuse of authority that has been led by the Supreme Court so far, new interpretation options are not appearing visible.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attitude and seeks new interpretability, focusing on ’the meaning of abuse’ of authority and ’the scope’ of authority. The Supreme Court calls "official authority," the subject of abuse, "general official authority" and sets the scope of authority differently depending on individual cases. It is also said that the scope of authority can be set by comprehensively observing the legal system without the basis of statute. In addition, there is an upside-down reasoning in acknowledging the scope of authority if it is sufficient to impede the exercise of rights or allow them to do something without obligation through the assumption of abus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abuse’ concept, the Supreme Court interprets abuse as illegal and unjust conduct within the scope of the mandate based on the logic that it is ’unauthorized and unabused.’ The Supreme Court, however, uses the practical criteria of the purpos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act of authority when it comes to judging abuse, making it no different from the judgment of abuse of discretion under administrative law. As such, the Supreme Court's attitude of interpreting the ’abuse of authority’ not only makes it variable and indeterminate for abuse but also for the scope of authority, jeopardizing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in criminal justice judg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everyday langugage usage and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abuse, abuse involves the overstepping of authority(in the meaning of ’over-use’), in addition to the discretionary abuse of authority and purpose(in the meaning of ’mis-use’).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framework of the components concerning the abuse of authority of criminal law, the concept of abuse of authority under Article 123 of the Criminal Ac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buse of authority under certain conditions. In addition, the scope of civil servants' authority can be divided into "abstract authority" and "concrete authority."  This reconfiguration of the meaning of abuse and the reset of the scope of authority allows civil servants to apply specific task authority beyond the original objective purpose of their authority or in violation of due process and method (discretionary abuse), as well as to include the use of authority in the following cases: In other words, the use of abstract job authority beyond the scope of specific job authority (a case 1 of quasi-authoritative abuse) and beyond the scope of abstract job authority but to the extent that it causes the other party to believe that it is an act of duty within the scope of authority (a case 2 of quasi-authoritative abuse). This interpretation not only protects the public authority of a country entrusted by the people or the law's interest in the fairness of the exercise of state functions according to social meaning, but also harmonizes the concept of abuse with everyday language usage or dictionary definition, and further guarantees the predictability of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whether or not it is guilty of abuse of authority. 유례없이 많은 직권남용죄 사건이 법원의 문을 두드리고 있어서 직권남용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지금까지 대법원이 주도해 온 직권남용죄에 대한 해석태도에 대해 불만도 많다. 그러나 해석론상 새로운 해석 옵션은 여전히 등장하고 있지 못하다. 이 글은 직권남용죄의 ‘남용의 의미’와 ‘남용의 대상’인 직무권한의 범위에 초점을 맞추어 대법원의 해석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해석가능성을 모색한다. 지금까지 대법원은 남용의 대상인 ‘직권’을 ‘일반적 직무권한’이라고 하면서 그 범위를 개별적 사정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 왔다. 법령의 근거가 없어도 법제도를 종합적으로 실질적으로 관찰하여 직무권한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는 판시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남용될 경우라는 가정을 통해 권리행사를 방해하거나 의무없는 일을 하게 하기에 충분하면 직무권한을 인정하는 점에서 거꾸로 된 추론을 하기도 했다. 다른 한편 ‘남용’개념의 해석과 관련해서 대법원은 ‘권한없이 남용없다’는 논리에 기초하여 남용을 직무권한의 범위내에서의 위법·부당한 직무수행이라고 해석해 왔다. 뿐만 아니라 대법원은 남용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직무행위의 목적, 필요성, 상당성이라는 실질적인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행정법상의 재량권남용 판단과 다를 바 없게 만들었다. 이와 같이 ‘직권남용’에 대한 대법원의 해석태도는 남용여부 뿐 아니라 남용의 대상인 직무권한의 범위확정을 가변적이고 불확정적으로 만들어 형법적 판단에서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남용개념의 일상언어적 관점과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남용은 권한과 목적의 지나침이라는 재량적 남용 외에도 ‘범위 또는 한도’의 초과라는 월권적 남용도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형법의 직권남용에 관한 구성요건들의 체계를 보면 형법 제123조의 직권남용죄의 남용개념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월권적 남용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직무권한의 범위도 ‘일반적 직무권한’이라는 가변적인 경계선을 설정할 것이 아니라, ‘추상적 직무권한’과 ‘구체적 직무권한’으로 구분하여 그 권한의 남용여부를 판단하는 일에 모호성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남용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직권의 범위를 재설정하게 되면, 공무원이 구체적 직무권한을 그 권한부여의 본래의 객관적 목적을 넘어서거나 적법한 절차와 방식에 위배되게 행사한 경우(재량적 남용)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경우도 직권남용으로 포섭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체적인 직무권한의 범위를 넘어서 추상적인 직무권한을 행사한 경우(준월권적 남용 1사례) 및 추상적인 직무권한의 범위를 넘어서지만 상대방으로 하여금 외관상 권한범위내의 직무행위인 것으로 오신케 할 정도인 경우도 직권남용으로 볼 수 있게 된다(준월권적 남용 2사례). 이러한 해석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국가의 공권력 내지 국가기능 행사의 공정성이라는 법익을 사회적 의미맥락에 맞게 보호할 수 있게 해 줄 뿐 아니라 남용개념을 일상언어적 용법이나 사전적 정의와 조화될 수 있게 해 주고, 더 나아가 직권남용죄의 성립여부에 대한 법원의 해석에 예측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해 준다.

      • KCI등재

        보안처분의 합목적성과 정당성

        김성돈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4

        Neudings wird eine sprunghafte Zunahme von Massregeln zur Sicherung und Besserung(=Massregeln) in den Vordergrund von koreanishen Kriminalpolitik gestellt. Diese Erscheinung ist darauf zurueckzufuehren, dass in den letzten 10 Jahren mehrere neuartige Massregeln in die koreanische Rechtsordnung eingefuehrt geworden sind. Bekanntlich ist Massregeln als eine kriminalrechtliche Sanktion dadurch von Strafe zu unterscheiden, dass sie Mittel zur Abwehr gegen kuenftige Gefahr von Betroffene aufgrund von unsicherliche Vermutung aufgelegt wird, waehrend Strafe aufgrund von vergangene sicherliche Unrecht und Schuld aufgelegt wird. Massregeln hat aber eine grosse Schattenseite gerade deswegen, weil sie fuer die kollektive Interesse die Opferung von individuellen Betroffene verlangt, obwohl sie einen Vorwand von Praevention und Verteidigung von Allgemeinheit sucht. Deswegen geht die vorliegende Arbeit davon dass, Massgeln sich nicht nur mit kriminalpolicher Zweckmaessigkeit befriedigt sondern auch mit dem starken Legitimationsgrund begruedet. Als Ergebnis laesst sich festhalten: Erstens, Aus dem verfassungrechtlichen Gesichtspunkt muss Massregeln legitime Zwecke versuchen. Dazu soll sie sowohl Sicherungszweck fuer die Sicherheit von Allgemeinheit als auch Besserungszweck bei der Vollsreckung haben. Aber die Massregeln muss niemals allgemein Praeventionszweck versuchen. Zweitens, fuer die Massregeln muss die Gesetzlichkeitsprinzip als rechtsstaatliche Garantie in der gleichen Mass wie fuer die Strafe, weil Massregeln nicht anders als Strafe in dem Sinne, dass sie beide mit gleichem Eingriff in die Freiheitspaehre einhergehen. Dazu soll die Bestimmtheitsgebot und Rueckwirkungsverbot auch fuer die Massregeln angewendet werden. Drittens, Die verfassungsrechtliche Vorgabe zur Einschraenkung der Freiheit(§37②KorGG) muss fuer die Massregeln angewendet werden. Diese Vorgabe ist als Ausdrueck von staatlichen ethischen Pflicht, die nicht die Opfergrenze der Eingriff in die Freiheit ueberschreiten soll. Um die Massregeln und Massregelrecht materiell bzw. inhaltlich einzuschraenken, soll die 3 Kriterien von Verhaeltnismaessigketsprinzip(Geeignetheit, Erfordlichkeit und angemaessne Verhaelnis) konkreter und ausfuerlicher als frueher ausformuliert werden. 최근 한국의 현실 형사정책의 영역에서 보안처분의 약진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차적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의 형사입법 분야에 위험방지수단으로서 다수의 신종 보안처분 종류가 생겨난 것에 기인한다. 주지하다시피 보안처분은 형벌과 달리 과거의 행위책임을 근거로 하지 않고 대상자의 장래의 위험성이라는 단순한 예측을 근거로 투입되는 형사정책적 수단이다. 하지만 보안처분과 보안처분법은 집단의 이익을 위해 그리고 예방이라는 합목적성을 구실로 삼아 대상자 개인의 희생을 강제하는 어두운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보안처분이 만들어내는 예방적 형사사법의 어두운 그림자를 없애거나 줄여가기 위해 보안처분의 합목적성외에 보안처분의 정당화의 근거를 찾는 시도를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보안처분이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보안처분이 추구하는 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방위라는 보안목적 외에도 집행과정상 대상자의 치료와 교육 등을 내용으로 하는 개선목적이 추구되어야 하며, 일반예방목적을 보안처분의 목적으로 추구해서는 안된다. 둘째, 이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보안처분도 대상자에 대해 기본권을 제한하는 국가에 의한 강제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형벌과 동일하므로 헌법상의 보안처분법정주의가 형벌에 관한 죄형법정주의와 동일한 수준으로 법치국가적 안전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명확성의 원칙과 소급금지원칙이 보안처분법에 대해서도 타당하여야 한다. 셋째, 보안처분에 대해서는 헌법 제37조 제2항이 선언하고 있는 기본권제한의 한계에 관한 헌법의 지침이 적용되어야 한다. 보안처분은 재범의 위험성에 기반 한 장래의 예측을 근거로 삼아 대상자의 기본권을 제한하기 때문에 국가는 대상자의 희생한계를 지켜야 할 윤리적인 책무를 가지는 바, 이러한 국가의 책무가 규범화된 것이 헌법 제37조 제2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비례성원칙이 보안처분과 보안처분법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통제원리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합성원칙, 필요성원칙, 그리고 균형성원칙의 내용을 보다 정밀하고 섬세하게 다듬어야 한다.

      • KCI등재

        염화(鹽貨)세륨 수용액(水溶液)으로부터 탄산(炭酸)세륨 결정화(結晶化) 특성(特性) 고찰(考察)

        김성돈,김철주,윤호성,Kim, Sung-Don,Kim, Chul-Joo,Yoon, Ho-S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6

        본 연구는 염화세륨 수용액으로부터 중탄산암모늄의 첨가에 의한 탄산세륨 합성시, 반응 조건(염화세륨 농도: 0.5-2M, 반응온도: $20-60^{\circ}C$)에 따라 형성되는 탄산세륨 결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반응성 결정화 과정에서 반응물의 농도 및 반응온도에 따라 lanthanite 형태의 결정상[$Ce_2(CO_3)_3{\cdot}8H_2O$]과 tengerite 형태의 결정상[$Ce_2(CO_3)_3{\cdot}2.5H_2O$] 등 두 형태의 탄산세륨 결정을 얻을 수 있었다. 염화세륨의 농도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산세륨의 결정상은 lanthanite에서 tengerite형태로 변하였으며, 함수의 탄산세륨은 건조 조건에 따라 무수의 수산기가 함유된 탄산세륨의 결정상 구조로 전이되었다. Lanthanite와 tengerite 구조의 탄산세륨은 판상의 결정립들이 서로 간에 응집된 상태로서 크기나 형태가 두 결정상 모두 같은 형상을 가지며, 결정립의 크기는 lanthanite구조가 약 $3{\mu}m$, tengerite구조가 약 $5{\mu}m$이었다. 그러나 수산기가 함유된 탄산세륨[$Ce(OH)(CO_3)$]은 침상의 결정립이 응집되어 있는 상태로서 결정립의 크기는 장축이 약 $7{\mu}m$이었으며, 결정수가 함유되어 있는 탄산세륨과 무수의 수산기 함유 탄산세륨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rystallization of cerium carbonate from cerium chloride solution by addition of ammonium bicarbonate was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such as cerium chloride(0.5-2M) and ammonium bicarbonate, and reaction temperature($20-60^{\circ}C$) have a great effect on the crystal types of cerium carbonate such as lanthanite-type cerium carbonate[$Ce_2(CO_3)_3{\cdot}8H_2O$] and tengerite-type cerium carbonate[$Ce_2(CO_3)_3{\cdot}2.5H_2O$]. The crystallinity of cerium carbonate changed from lanthanite to tengerite as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and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Transformation of cerium carbonate hydrate was transformed to cerium hydroxy carbonate depended on the drying conditions. Cerium carbonate of lanthanite and tengerite has the shape of aggregates with plate type crystal, and the size of lanthanite and tengerite crystal was $3{\mu}m$ and $5{\mu}m$, respectively. Cerium hydroxy carbonate has the shape of aggregates with needle type crystal, and the crystal size was about $7{\mu}m$.

      • 램제트 연소기의 보염기 장착에 따른 연소기 특성 변화에 대한 수치적 연구

        김성돈,정인석 한국추진공학회 2008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1

        A nume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flame holder which could be added to the inlet duct of Integral Rocket-Ramjet. Two different types of flame holder installations, flame holder without sudden expansion region and flame holder with small sudden expansion region, were compared and showed different flame shapes and pressure rise in the combustor.

      •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법이론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김성돈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성균관법학 Vol.25 No.4

        Punitive damage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on March 29th 2011 through the amendment of '하도급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On May 28th 2013, the amendment of the aforementioned legislation further extended the sphere of the punitive damage. Since then, there has been much debate in the assembly involving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adoption of this legislation into the '가맹사업공정화에 관한 법률'. Despite the general consent that punitive damage carries the advantage of deterring illegal conducts and protecting the economically weak, there are still much objection to the actual adoption or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The main reason is that the punitive damage bears the characteristic of quasi-criminal sanc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purpose of criminal law in the form of integration of the punishment of criminal law and compensatory damage of civil law. This paper intends to find measures that will allow punitive damage system to be established as an effective and valuable system in this country. For this purpose, the legal characteristic of punitive damage adopted in Korea is investigated. Nex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re proposed to remedy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punitive damage in Korea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problems the legislation possesses: Firstly, the 'severe negligence' must be included in the legal requirement at the very least. Secondly, higher level of proof than the preponderance of evidence must be demanded. Thirdly, the subject that will receive compens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victim, but also the state or public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