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씨름의 세계화 방안

        기탁(Ki-Tak Kim),홍설(Hong-Seol Kim),강호정(Ho-Jung Kang),선환(Sunhwan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씨름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세계화를 위한 기본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 행되었다. 문헌 분석, 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내·외국인 인터뷰 등을 통해 씨름의 특성과 현황, 이미지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씨름의 세계화 방안은 제도화를 통한 스포츠로서의 세계화와 문화정체성이 강한 전통문화유산으로서의 세계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스포츠로서의 세계화를 위해 제도화, 학교체육을 통한 교육, 외국인 선수 육성, 이벤트 가치 극대화, 씨름 조직의 전문화, 국제지도자 양성, 자연적 확산 유도 등을, 전통문화유산으로서의 세계화를 위해 세방화(glocalization), 문화코드화, 의식(ritual)의 강화, 정신적 가치 발굴, 축제와의 연계, 씨름관련 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Ssireum and to investigate a basic direction for globalization of Ssireum. Examining disposition, situation, and image of Ssireum through literatures analysis, survey,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 detail, its recognition and image perceived by customers and general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and its perception and related image of foreigners were analyzed. We examined the situation and the various problems of Ssireum on the base of site and customers. We made a conclusion that Korea has to make a great deal of effort for globalization of Ssireum both as a sport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alternatives for the globalization and as a heritage which has a strong identity. As detail alternatives for the globalization of Ssireum,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bringing up foreign athletes, maximization of event values, specialization of Ssireum organization, international instructor, glocalization, culture coding, enhancement of ritual, connection with festival and so 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여가만족척도(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미량(Mi-Lyang Kim),이연주(Yeon-Ju Lee),선환(Sunhwan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1

        이 연구는 Beard와 Ragheb[9]에 의해 개발되고 국내에서는 이종길[7]이 사용한 여가만족척도의 번안적 절성에 그에 따른 타당도를 검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여가만족척도의 문항과 각 요인의 조작적 정의를 번안 및 역번안을 수행하고 여가학 전문가들이 내용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하여 총 515명(대학생 290명, 일반인 2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던 여가만족척도의 요인의 명칭(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긴장이완)과 문항을 수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 결과 6개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요인과 긴장이완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재 번역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여가만족 척도는 향후 국내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and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the L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LS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9] has been used for about 20 years without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since it was utilized in Lee[2]'s study in Korea. First, all items of the original LSS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factors were translated and then inversely translat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leisure studies. A total of 515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item-total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4.0 and AMOS 5.0 program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names(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physical, esthetic, and relaxation) and items were modified. Second, modified operational definition of factors were presen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SS consisted of 24 items and five factors were very high. Psychological and relaxation factors of LSS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The new LSS would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associ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Program on Self-Leadership and Career Locus of control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Mijong Kim(미종),Sunhwan Kim(김선환)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진로지도준비교육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내외통제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스스로를 통제하고 이끌어 가는 능력인 셀프리더십과 진로 및 취업결과에 대해 가족 및 환경 등 외부의 탓으로 여기거나 스스로 역량이나 준비 등 자신의 능력 등 내부의 탓으로 생각하는 진로내외통제위는 취업에 대한 중요한 변수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 대한 목적과 참여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대학생 58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진로준비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자료수집은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D시에 위치한 H대학교에서 수행되었다. 진로준비프로그램은 취업 준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구직을 준비하는 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자기탐색 및 자기주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 시점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자기통제위가 측정되었고 SPSS 21.0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자기탐색과 자기주도기반의 진로준비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을 높였고(t=-4.45, p=. 00), 진로내외통제위 중 특히 내적통제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3.26, p=. 00). 따라서 본 연구결과 추후 자기탐색을 기반으로 하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적극적으로 적용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areer preparation program (CPP) on self-leadership (SL) and career locus of control (CLOC)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Self-leadership is the ability to control and lead oneself to achieve goals. CLOC is that attribute own"s success of failure to own"s effort and ability internally or luck or environment externally. Both have been known to strongly affect variables associated with career planning. We also explored SL and CLOC based on the variable related subjects" characteristics. Method: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58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area in Korea from March to June 2016. CPP was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who agreed to join this study, which consisted of a 15 week career development program. During the program, recruitment information was provided as well as encouragement and motivation. The program also focused on self-exploring and self-initiating experiences by themselve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post CPP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 self-leadership increased from 3.02±0.36 points to 3.23±0.35 points after CPP (t=-4.45, p=0.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nd in internal attribution (t=-3.26, p=0.00). The CPP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neself was effective to cultivat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Moreover, the CPP increased internal attribution of the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from 2.96±0.35 points to 3.15±0.32 points (t=-3.26, p=0.00). CPP was also found to effectively influence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lthough external attribution was reduced from 2.19±0.31 to 2.13±0.35, this different was not significant (t=1.68, p=0.09).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PP based on understanding of oneself should be actively applied in career education.

      • ADDIE 모형기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박선희(Sunhee Park),김선환(Sunhwan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ADDIE모형을 적용하여 진로교육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 설계, 개발 단계에 따라 교과목 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이후 2013년 2학기 진로교육 교과목 수강생 6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진로교육 교과목 적용 후 학생들의 만족도는 4.5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긍정적인 평가로는 유익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었고, 스스로 계획을 기획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스로 변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꿈과 목표를 다시 고민하게 되었으며 직업에 대해 많이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제언을 하면 진로교육은 교과목만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교과 과정에서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현장체험, 현장견학 등 진로교육 연계프로그램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Education’ course based on ADDIE. The development of this subject is accompanied b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stage. Application stage, the target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are 61 students at H university who registered for career education course during the second semester in 2013.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ly,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education scored 4.5, highly favored scored, from the participants. Secondly, from the analysis of open-ended question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produce useful and specific plans. Moreover, they reported that conducting the course allowed them to come up with their career plan independently as well as self-resolution. Also, they were able to consider their dream and career goal, ultimately, seek their potential career profe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nect Career Education Course and intra-curriculum with fiel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