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文學全集 編纂의 特徵과 意義

        김선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Joseonmunhakjeonjip(A collection of Joseon literature)" is an anthology of classical literature published in 1936 at the Junganginseokwan. Shin Myeong-gyun, an anti-Japanese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articipated as a compiler. This complete collection was planned in 10 volumes, covering sijo, gasa, classical novel, and history of literature. It is the first coll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at systematically compiled various genres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bove all, this collection has important value in that it was a book designed to break the frame of literary collection culture centering on moder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and to enhance the value of our traditional culture. In this research, I have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the structure of "Joseonmunhakjeonjip(A collection of Joseon literature)" in detail.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specific aspects and implications of how i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collective culture. 김선현, 2019, 조선문학전집 편찬의 특징과 의의, 어문연구, 181 : 129~156 조선문학전집 은 1930년대 중반 중앙인서관에서 발간된 고전문학선집으로, 신명균이 편자로 참여하였다. 이 전집은 시조와 가사(歌詞), 소설, 문학사를 포괄하여 전체 10권으로 기획된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국내에서 발간된 고전문학의 여러 장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실었던 최초의 고전문학전집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전집은 근대문학이나 세계문학 중심의 전집 문화의 틀을 깨고, 우리 전통 문화의 가치를 고양시키고자 기획된 책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며 조선문학전집 의 발간 취지와 방향을 먼저 살피고, 전집의 구성 및 체재를 검토하되, 특히 현전하고 있는 시조집 과 가사집 , 소설집 (一), (二)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그것이 고전문학의 연구 및 전집 문화의 형성, 전개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도랑선비 청정각시>에 나타난 경계 공간의 서사적 함의

        김선현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4

        <Dorangseonbi and Chungjeonggaksi> is a shamanism mythology that is recited in ‘Dorangchukwon,’ as part of Mangmukgut in Hamgyeongdo. Its narrative centers around the tragedy of a delicate woman who faces sudden death of her husband. It can be summarized as ‘marriage between Dorangseonbi and Chungjeonggaksi – death of Dorangseonbi – continuous ordeal of Cheongjeonggaksi, repetition of reunion and parting – deification’. And, this narrative flow moves from the real world to the border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other world, and then to after life. And the main door, and hill, which exist in the real world, i.e., this life, are described as a gap in reality through which death invades li fe, and, show that death does not exist apart from life but it is present in some part of life, by connecting the marriage of Dorangseonbi and Chungjeonggaksi and death of the seonbi. Meanwhile, the grave, which represents repeated ordeals of Gaksi, Geumsang temple in Mount Annae, and bridge, which symbolizes the crossroad of life and death, form a border between this life and the other world, where Gaksi overcomes many ordeals and challenges. The ordeals and challenges she experiences are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hands,’ and the path to this life and the other world is opened by the hands of Chungjeonggaksi, whose search for the path connects the two worlds in the end. In that respect, <Dorangseonbi and Chungjeonggaksi> is a narrative of drawing a border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other world.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함경도 망묵굿 가운데 ‘도랑축원’에서 구송되는 무속신화로서, 남편의 갑작스런 죽음을 마주한 여인의 비극적 서사를 담고 있다. 그 서사는 ‘도랑선비, 청정각시의 결혼-도랑선비의 죽음-청정각시의 수난 중첩, 재회와 이별의 반복-청정각시의 죽음-도랑선비와의 재회-신으로의 좌정’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사적 흐름은 이승 공간에서 이승과 저승 사이의 경계 공간, 저승 공간으로 이동하며 전개된다. 그리고 이승 즉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대문과 고개는 삶의 현실 속에 죽음이 틈입되는 경계로 설정되며, 이를 도랑선비와 낭자의 결혼, 선비의 죽음이라는 사건과 연결 지음으로써 죽음이 삶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저편에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각시의 수난이 반복, 증폭되는 묘, 안내산 금상절, 그리고 삶과 죽음의 갈림길로 형상화된 다리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 공간으로서, 특히 이 공간에서 각시는 수많은 시련과 수난을 극복하고 이승과 저승 사이를 이어간다. 특히 그녀가 겪는 모진 시련과 고난은 ‘손’에 집중되며, 청정각시의 손에 의해 이승과 저승의 길이 열리고, 청정각시를 통해 이승과 저승이 하나의 세계로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 잇기의 서사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자연에서 찾은 건강_알록달록 색 내 몸을 건강하게 - 에코 파트너- 내 몸을 깨우는 컬러 무슨 색일까?

        김선현,Kim, Seon-Hyeon 한국건강관리협회 2011 건강소식 Vol.35 No.11

        대부분의 사람은 주변의 색채에 무관심한 듯 보이지만, 우리는 모두 무의식중에 색채에 반응하고 그 영향을 받는다. 사람은 누구나 무의식적으로 선호하는 색상이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주조 색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무선센스를 이용한 집중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임상미술치료 방안 - 활동 피드백을 기반으로 -

        김선현,박서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1 造形敎育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action feedback using wireless sensors on improving concentration and cogni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8 months, targeting 15 cerebral palsy children who visit the A Children's Development Center and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Bundang-gu, Seongnam. A using wireless sensor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used as the study tool. For quantitative research,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K-TVPS-R)',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KISE)', ‘Attention Tes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1: 4758)', ‘Figure Color Copying(FCC)'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PSS 13.0 program was used to statistically compare outcom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igure Color Copying(FCC)' scale was applied to qualitatively analyz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 the experiment group.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uring the process. From results of these study,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action feedback using wireless sensors g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attention and cognitive functions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rection which the new development of clinical art therapy should head for was presented, and evidence of digital art therapy effects was prepared.

      • KCI등재후보

        충격적 사고를 목격한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김선현,장영윤,붕년,권복자,장은희 한국학교보건학회 2010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can be seen in children's paintings,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what role art therapy plays in diagno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hildren who experienced trauma, through an art therapy progra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witnessed the death of parents from a fire drill accident. Methods: A program of three times of art therapy was progressed among 34 children who witnessed a fire accident.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as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art therapy results.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children who had the possibility to develop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found through art therapy. Second,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were given to children who refused psychological tests or treatment through art therapy.

      • 假傳과 小說의 장르복합으로 본 <天君傳>

        김선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2 한국어와 문화 Vol.11 No.-

        <천군전>은 동강 김우옹이 27세(1566) 되던 해에 창작한 작품이다. 지금까지 이 작품의 장르는 가전과 소설의 두 장르 가운데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심성가전’ 혹은 ‘천군소설’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천군전>의 장르적 속성이 먼저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천군전>의 서사구조적인 면과 구성적인 면의 특징을 분석하여 <천군전>의 장르 귀속 문제를 논해보고자 하였다. <천군전>은 ‘인물 및 가계 소개―행적―논평’의 일반적인 가전의 서사 구조를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의 화소가 축약되거나 확장되어 가전의 구조적 변이 형식을 보여준다. 또한 구성적인 면에서 볼 때, 인물의 대립적 구성과 대결 양상의 축조, 사건의 인과적 전개, 공간적 배경의 구체화와 인물간의 긴밀성 등 소설적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특성에 따라 <천군전>을 가전과 소설의 장르복합(genre-complex)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Cheongunjeon(天君傳)> is written by Kim Woo-Ong in 1566 when he’s 27 years old. Until now, its genre could not find an appropriate agreement of Gajeon and novel. Nevertheless, it has been classified as Simseong-gajeon or Cheongunnovel. However, its genre properties have to become quite clear for this classification is valid. Therefore this thesis debated about the question of genre of <Cheongunjeon(天君傳)> through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and composition. <Cheongunjeon(天君傳)> conform with general Gajeon’s form such as introduction to character and family-activities-comment, but story of each part is reduced or extended. And we can confirm novel’s quality in its composition such as oppositional configuration of figures, construction aspect of conflict, consequential development of event, materialization of the spatial background and vertebration among the character. Keeping in mind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that <Cheongunjeon(天君傳)> is genre-complex of gajeon and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