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진남북조 산수화론의 신(神) 개념 - 「명불론」(明佛論)과 「화산수서」(畵山水序)를 중심으로

        김석주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2

        Tsung Ping’s “Treatise Clarifying Buddhism”(明佛論) shows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 through Chinese thought during the Six Dynasties. In particular this essay is the clue to the change of god(神) or spirit(神). the Buddhist concept of the Dharmakaya(法身) and Nirvana(涅槃) chang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body(形) and a spirit(神). This change influences the understanding of Tsung Ping's essay on painting landscapes(畵山水序). This understanding leads to a wider perspective on art theories during the Six Dynasties. 종병의 「명불론」(明佛論)은 중국 위진남북조 불교 수용과 변용에 있어서 중국적 사유를 통한 불교의 이해가 드러난 논문이다. 특히 이 글은 ‘신멸·신불멸’(神滅·神不滅) 논쟁에 있어서 중국의 신 개념의 변화를 보여주는 단서로, 전통적인 형신(形神)의 대비를 통한 신(神) 개념의 이해에서 법신(法身)과 열반(涅槃)으로서의 신 개념의 이해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 개념의 변화는 종병의 「화산수서」(畵山水序)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존의 전통적인 도(道)와 신, 성인(聖人)의 개념은 불교 사상의 영향으로 변화되어, 새로운 「화산수서」의 해석의 토대가 된다. 이러한 「화산수서」 해석의 관점은 위진남북조 산수화론과 예술론 전반의 신 개념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되며, 나아가 이러한 신 개념의 이해는 중국미학사 전반에서의 신의 맥락을 규명하는 시도가 된다.

      • 논문 포스터 발표 : P-04 ; 전자석 관련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의 해결에 대한 연구

        김석주,정성안,박상우,채동현,현동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전자석은 학생들에게 과학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는 학습소재일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 사용하는 전기기구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제2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전류의 자기작용 관련 개념들을 학습하기 위하여 줄곧 다루어 왔다. 수차례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들을 거치면서 전자석에 관련 실험수업에서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어려움의 문제들을 조사한 결과들을 정리해 보면, ``전자석 만들기가 어렵다``, ``전자석의 극을 찾기가 힘들다``, ``전자석 부근에서 철가루가 늘어선 모양이 자석 부근에서처럼 뚜렷하지 못하다``, ``전자석에 붙는 철제 핀이나 철제 클립의 개수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등이다(김상옥, 1983; 박종욱과 김선자, 1996; 강진필, 2004; 이미경, 2007). 이중에서 특히 ``전자석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는 가장 응답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박종욱과 김선자, 1996).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이에 대한 어떠한 개선이나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자석 제작에서 겪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전자석 관련 실험수업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적으로는 실험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자석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자석의 전자기적 특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들이 제시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전자석은 철심으로 기존 전자석의 철못와 에나멜전선 대신 압연강재인 전산볼트(thread rod, SS400, Φ10 mm)와 비닐 피복전선(VFF, 0.75 mm2)을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철심은 자기이력효과가 적고 투자율이 높은 방향성의 압연강재인 규소강을 사용한다. 철속에 포함된 규소(Si)는 자기 이력효과를 낮추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산볼트의 재질인 압연강재(SS400)은 상대투자율 2100인 강자성체이며(김승년, 2012), 규소 함유율이 0.31%로서 자기이력효과가 비교적 적어 철못의 경우와 같이 열처리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것이다. 또한 전산볼트는 직경 10 mm의 굵기와 겉면에 산과 골이 있어 전선을 전산볼트의 축에 따라 촘촘히 감기가 편하여 전자석을 제작하는데 2, 3분의 시간이 소요될 뿐이다. 그리고 비닐 피복전선은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어 철심에 감거나 철심에서 분리하는데 편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철심에 감는 전선의 전기저항에 대한 변인통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개발된 전자석은 전자석이라는 제품이라기보다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 기자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 워크숍 : W-01 ; 전자석 관련 실험수업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전자석 제작 및 특성 조사

        김석주,정성안,박상우,채동현,현동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수차례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들을 거치면서 전자석에 관련 실험수업에서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어려움의 문제들을 조사한 결과들을 정리해 보면, ``전자석 만들기가 어렵다``, ``전자석의 극을 찾기가 힘들다``, ``전자석 부근에서 철가루가 늘어선 모양이 자석 부근에서처럼 뚜렷하지 못하다``, ``전자석에 붙는 철제 핀이나 철제 클립의 개수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등 이다(김상옥, 1983; 박종욱과 김선자, 1996; 강진필, 2004; 이미경, 2007). 이중에서 특히 ``전자석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는 가장 응답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박종욱과 김선자, 1996).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이에 대한 어떠한 개선이나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전자석은 일종의 솔레노이드로서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권선밀도에 비례하여 자기장이 커진다. 그리고 투자율(μ, permeability)이 큰 철심을 넣었을 때 철심이 자화됨에 의하여 전자석은 더 큰 자기장을 생기게 한다. 실험수업에서 전자석 제작과정에서의 문제들을 살펴보면, 전자석이 철심으로 사용되는 철못은 탄소(C) 함유량이 0.05 - 0.3 %이고 투자율이 큰 저탄소강인 연강선재(SWRM)로 만들어지지만 함유된 탄소가 자기이력효과를 높이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불에 달구었다가 천천히 식혀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 직경이 1 mm 내외의 탄성이 거의 없는 에나멜전선을 100회 정도를 촘촘히 가늘고 미끄러운 철못에 주의하여 감아야 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험수업을 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도 있어 왔다. 실험목적상 에나멜전선의 권선수가 다른 전자석이 필요할 경우마다 매번 전자석을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들도 있다. 그리고 사용했던 전자석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 자기이력현상으로 인하여 의도하는 실험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또한 전자석의 제작과정도 학습활동의 일환이기 때문에 실험수업에 다시 사용할 수도 없다. 에나멜전선은 탄성이 작은 구리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하여 재활용하기가 어려우며 실험수업이 끝나면 소중한 자원을 폐기처분해야하는 문제도 있다. 강석주 등(2014)은 전자석 제작에서 겪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전자석 관련 실험수업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운 전자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자석은 전자석이라는 제품이라기보다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 기자재로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전류가 흐르는 직선 전선이나 고리전선 부근에서의 자기장 관찰 실험 등 전류의 자기작용의 전반적인 실험에서 활용이 가능한 실험 기자재라고 할 수 있겠다. 개발된 새로운 전자석은 철심으로 기존 전자석의 철못와 에나멜전선 대신 압연강재인 전산볼트(thread rod, SS400, Φ10 mm)와 비닐 피복전선(VFF, 0.75 mm2)을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철심은 자기이력효과가 적고 투자율이 높은 방향성의 압연강재인 규소강을 사용한다. 철 속에 포함된 규소(Si)는 자기이력효과를 낮추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산볼트의 재질인 압연강재(SS400)은 상대투자율 2100인 강자성체이며(김승년, 2012), 규소 함유율이 0.31 %로서 자기이력효과가 비교적 적어 철못의 경우와 같이 열처리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것이다. 또한 전산볼트는 직경 10 mm의 굵기와 겉면에 산과 골이 있어 전선을 전산볼트의 축에 따라 촘촘히 감기가 편하여 전자석을 제작하는데 2, 3분의 시간이 소요될 뿐이다. 그리고 비닐 피복전선은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어 철심에 감거나 철심에서 분리하는데 편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철심에 감는 전선의 전기저항에 대한 변인통제가 가능하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선형행렬부등식을 이용한 정적출력궤환 제어기 설계

        김석주,권순만,김춘경,문영현 대한전기학회 2004 전기학회논문지 D Vol.53 No.11-D

        This paper presents an iterative linear matrix inequality (LMI) approach to the design of a static output feedback (SOF) stabilization controller. A linear penalty function is incorporated into the objective function for the non-convex rank constraint so that minimizing the penalized objective function subject to LMIs amounts to a convex optimization problem. Hence, the overall procedure results in solving a series of semidefinite programs (SDPs). With an increasing sequence of the penalty parameter, the solution of the penalized optimization problem moves towards the feasible region of the original non-convex problem. The proposed algorithm is, therefore, convergent. Extensive numerical experiments are peformed to illustrate the proposed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