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블로흐 철학과 유대주의

        김석수(Kim Suk-Soo)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0 No.-

        인류의 역사는 때로는 종교의 이름으로 때로는 경제의 이름으로 질료를 비하하거나 도구화하기도 했다. 그리고 인간의 폭력과 야만도 이와 함께 해왔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유대주의와 반유대주의라는 굴레 속에 작동해온 ‘지배-차별-배제’라는 구조였다. 유대인으로서 철학하기를 수행해온 블로흐는 누구보다 이 문제에 천착했다. 그는 질료에 폭력을 행사해온 제도 종교와 자본의 부조리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개념과 마르크스의 실천 개념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희망의 철학을 제시한다. 아울러 그는 이를 통해 ‘질료의 역동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칸트의 비판철학과 헤겔의 변증법철학의 한계도 넘어서고자 한다. 그는 이 역동성에 기초하여 추상적 보편성 추구가 낳은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길, 이른바 ‘구체적 초월’을 모색한다. 그의 이러한 철학적 정신이 그의 희망의 철학, 즉 ‘아직-아님’의 철학에 잘 응축되어 있다. 그의 철학은 과거적 완결성이나 미래적 완결성으로 과정 속에 살아가는 질료적 개체들의 삶을 억압·차별·배제하는 잘못된 유토피아를 극복하려고 한다. 분명 그의 이런 철학은 종교와 자본이 결합하여 부당하게 지배해온 전체주의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전투적 낙관주의에 깔려 있는 관점, 즉 질료에 대한 긍정적 관점이나 이에 기초한 그의 저항 정치에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사실 그의 철학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심화된 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 글은 블로흐 철학과 유대교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어, 또한 지면의 한계로 인해,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다루고자 한다. The history of mankind has degraded or instrumentalized matter sometimes in the name of religion and sometimes in the name of economy. And human violence and barbarism have been with it. The representative case was the structure of dominance – discrimination - exclusion that has been operating in the bonds of Judaism and anti-Semitism. Ernst Bloch, who has carried out his philosophy as a Jew, was more committed to this issue than anyone else. He thoroughly digs into the absurdities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capital that have caused violence to the matter, and proposes a philosophy of hope by reconstructing Aristotle s concept of material and Marx s practice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addition, he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ant s critical philosophy and Hegel s dialectical philosophy, which have not fully exploited the dynamism of material. Based on this dynamic of material, he seeks the so-called concrete transcendence(konkretes Überschreiten) that can overcome the violence resulting from the pursuit of abstract universality. Through this transcendence, he tries to overcome the abstract transcendence that has been practiced in the name of religion or capital, and at the same time, overcomes the violence brought about by it. His philosophical spirit is condensed in his philosophy of hope, the philosophy of not yet(Noch-Nicht) . His philosophy of not-yet(Noch-Nicht) contains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wrong utopia that oppresses, discriminates and excludes the lives of the material entities living in the process with past or future perfection. Clearly, his philosoph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otalitarianism, which has unfairly dominated through combination of religion and capital. However, there remains room for controversy over his militant optimism - a positive view of matter and his resistance politics based on it.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his philosophy,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However, this article is primarily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ch’s philosophy and Judaism, an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space, I will discuss this in the next opportunity.

      • KCI등재

        동남아 해적이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

        김석수(Kim, Suk-Soo)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9 동서연구 Vol.21 No.1

        이 글은 동남아 해양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적활동이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동남아 지역에서 해적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의 발전은 아주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해적은 아주 중요한 잠재적 위협으로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동남아 국가들과 한국, 미국,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역외 강대국들이 현재의 협력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고 추진력을 유지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협력은 해양테러리즘, 밀수, 자원절도, 환경오염, 불법이민, 그리고 해양을 통한 핵물질과 화학물질을 포함한 대량살 상무기 확산과 같은 비전통적인 다른 해양안보위협을 예방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In the SouthEast Asia, a significant progress appears to have been made in the fight against piracy. Regional states are displaying greater-than-ever commitments to address both the causes and manifestations of the criminal phenomenon. Regional cooperation is growing and the extra-regional powers that rely on trade transiting the region have expanded their contributions to the fight. Policy makers should sustain the present momentum of intensifying anti-piracy action, expand anti-piracy cooperative networks, and harness the momentum built fighting piracy to address other maritime security threats such as terrorism, smuggling, resource theft, environmental abuse, and illegal migration.

      • KCI등재

        동남아해협의 해적과 해양테러리즘 및해양안보협력을 위한 국제관계

        김석수(Suk-Soo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8 동서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사활을 결정하는 동남아해협과 해로에서 해협국 가들과 이용 국가들이 협력을 통해서 이러한 위협을 극복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고유가와 치열한 에너지 자원 확보전쟁에서 안전한 해양운송로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에너지 자원 통제보다는 에너지 운송로를 통제해서 헤게모니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의 공장이며 굴뚝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 대국인 중국이 중앙아시아와 카스피해 지역의 에너지 자원 확보에 정책을 집중시키는 것은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에너지 자원이 말라카해협, 순다해협, 그리고 롬복해협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 모든 국가들 이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안전한 운송이 국가의 사활을 결정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이 무역과 에너지와 원료의 주요한 운송로가 되었기 때문에 각국의 해양의존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동남아에 자리 잡고 있는 주요 해협과 해로는 동북아 국가들의 사활이 걸린 곳이 되었다. 따라서 동남아 해협과 해로가 해적과 테러 리즘에 의해 방해를 받거나 봉쇄된다면 동아시아 경제와 세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줄 수 있다 The major sea in the Southeast Asia is constricted at key straits such the Strait of Malacca, the Sunda Strait, and the Lombok Strait. The Strait of Malacca is 600miles long and provides the main corridor between the Indian Ocean and the South China Sea. The major sea lane used by tankers from the Middle East is the Strait of Malacca. Asian economies rely heavily on the sea for transportation. Thus Southeast Asian analysts have warned that disruption of regional sea lanes by terrorists or pirates can serve economic repercuss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focuses on study of the Piracy of the Straits of Southeast Asia, Maritime Terror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or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 KCI등재

        칸트와 헤겔에 있어서 형이상학

        김석수(Kim Suk-Soo)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근대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형이상학은 그 학문성을 의심받게 되었다. 칸트와 헤겔은 형이상학이 위기에 처한 상황을 목격하면서 전통 형이상학을 새롭게 재건하려고 하였다. 칸트는 전통 형이상학처럼 초월적인 존재에 대해서까지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는 형이상학을 일반 형이상학과 특수 형이상학, 자연 형이상학과 윤리 형이상학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바탕 위에서 기존의 특수 형이상학이 다루었던 영혼, 자유, 신에 대해서 이론 이성이 아닌 실천 이성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는 특수 형이상학의 영역을 윤리 형이상학을 통해 풀고자 하였다. 그러나 헤겔은 선가험적 논리학에 기초하고 있는 칸트의 형이상학도 공허한 형식주의에 매몰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칸트의 선가험적 논리학을 변증법적 논리학으로 전환하고, 형이상학에 선행하는 기초논리로서의 '반성의 체계'와 형이상학에 도달하는 논리로서의 '이성의 체계'를 종합하는 사변철학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그는 사유와 존재를 일치시키려고 한 전통 형이상학과 이들 사이의 불일치를 강조한 칸트의 형이상학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토마스주의자들과 칸트주의자들은 헤겔의 이런 입장이 존재의 초월성을 거부하고 이를 내재화함으로써 오히려 독단 형이상학이 범한 잘못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지적한다. 칸트와 헤겔은 기존의 형이상학의 위기를 반성철학적 관점에서 극복하려고 한 점에서는 서로 입장을 공유하지만, 각기 선가험 철학과 사변철학에 입각하여 형이상학을 새롭게 구축하려고한 점에서는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칸트의 형이상학과 헤겔의 형이상학은 전자로부터 후자로의 발전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길로 향해 있다. Metaphysic couldn't maintain its pos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Kant and Hegel also witnessed the crisis of metaphysic, and so tried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metaphysic. Kant criticized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argued for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transcendental being. He distinguished general metaphysic from special metaphysic, and metaphysic of nature from metaphysic of moral. On the basis of distinction, he tried to go toward the soul, freedom, and god with which special metaphysic had relations. He tried to deal with them not through theoretical reason but through practical reason. Therefore Kan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special metaphysic with the metaphysic of moral. But Hegel said that Kant's metaphysic based on the transcendental logic fell into the empty formalism. He turned the transcendental logic of Kant into the dialectic logic, and synthesized the system of reflection as the basic logic prior to metaphysic and the system of reason as the logic going toward metaphysic through the speculative philosophy. He tried to synthesize dialectically the traditional metaphysic argu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ought and being and Kant's metaphysic emphasiz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m. But Thomists and Kantians criticized that Hegel's metaphysic couldn't escape from the faults of the dogmatic metaphysic owing to denying of the transcendental character of being. Kant and Hegel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earlier metaphysic in the viewpoint of reflection philosophy. However Kant tried to reconstruct metaphysic on the basis of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Hegel tried to reconstruct metaphysic on the basis of the speculative philosophy. The relation between Kant and Hegel is not the development proceeding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but each of them is going the other way.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 철학의 대중화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이 글은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그의 철학을 한국적 현실에서 대중화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칸트는 기본적으로 철학적 탐구의 엄밀성을 포기한 채 철학의 대중화에만 몰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당시 대중철학자들은, 가령 가르베, 페더, 멘델스죤 등은 그의 글이 비대중적인 점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런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철학과 대중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학문적 엄밀성을 기본적으로 견지하면서, 동시에 대중을 계몽하는 것에도 깊이 관여하려고 하였다. 그는 단순한 학문주의도 거부하였지만, 대중에 편승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그는 “숙달”을 가르치는 “학교 개념으로서의 철학”을 중시하되 이를 넘어 “지혜”를 가르치는 “세계 개념으로서의 철학”으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성의 기술자”를 넘어 “실천적 철학자”의 길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그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소개하는 데 치중하였지, 이를 생활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는 제대로 노력을 하지 못했다. 실제로 칸트철학이 우리 한국에서는 철학자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교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칸트 원전에 대한 좀 더 친절한 번역 및 해설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철학을 우리의 현실에 적용하고 재창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의 철학이 한국 현실에서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넘어 “생활로서의 철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그가 강조하듯이, 그야말로 “철학하기”가 우리 일상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in Kant`s philosophy, and seeking the way to popularize his philosophy. Kant refuses to his being immersed only in the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without pursuing the strictness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was criticized by the popular philosophers, C. Garve, J. G. H. Feder, M. Mendelsohn, owing to the readability problem of his writings. But Kant couldn`t neglect their criticisms. He also ha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He tried to take part in enlightening the public with keeping the strict scientific attitude. Of course, he didn`t accept not only the academism(scholasticism) without considering the public, but also jumping on the public without considering the scientific strictness. He tried to set importance on the “philosophy as Schulbegriffe” teaching proficiency(Geschicklichkeit). But he was not satisfied only with this philosophy. He advanced toward the “philosophy as Weltbegriffe” teaching “wisdom”. He was also never satisfied with “a technician of reason(Vernunftkunstler)”. He tried to advance toward the way of “the practical philosopher”. But unfortunately, we have concentrated on studying and introducing his philosophy scientifically. We have not made many efforts to implanting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In fact, Kant`s philosophy has been most studied and taught in Korea of philosophers. Nevertheless, his philosophy didn`t have so many influences on the ordinary life of us. Firstly, we have to do the more kind translation and commentation for the read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we have to do the work applying to his philosophy to our ordinary life and recreating it in our study and education field. We have to transcend the level introducing and explaining his philosophy, if we proceed from “philosophy as a science” to “philosophy as a life”. As he always lays emphasis on “philosophizing”, we also have to implant the “philosophizing” with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김석수(Kim, Suk-soo)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현대철학에 이르러 많은 철학자들이 근대철학을 흔히 주체철학, 의식철학으로 규정하고, 이 철학의 유아론적인 면을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이론, 해석학, 해체론 등을 통해 다양한 모색을 하고 있다. 실천철학의 영역에서도 이들, 특히 공동체주의자들은 근대 자유주의 철학이 주체의 자유와 권리만을 정당화하는 고립된 자율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따라서 타자와의 관계도 형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통적인 공동체의 연대성을 붕괴시키고 말았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칸트철학에 대해서도 똑 같은 맥락에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칸트는 자기 이전의 근대 주체철학이나 자유주의 철학을 그대로 추구하지 않고 이들의 한계를 비판하고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주체성에 머물러 있는 철학자가 아니라 주체와 주체 사이의 소통 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로 ‘공통감’을 다루는 부분이다. 그는 이곳에서 상상력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한 지성과의 합치를 취미판단과 연관을 짓고, 또 이 취미판단의 보편적 타당성의 가능근거로서 공통감을 요청하고, 이것을 취미판단에 대한 당위적 원리이자 이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취미판단의 주관적 원리로서의 이 공통감은 ‘판단 주체의 자기 내적 관계’에만 머무르지 않고 ‘공동체적 감각의 이념’으로서 ‘판단 주체들 사이의 소통 가능성’에도 관계한다. 공통감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의 조화를 모색하는 그의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자유주의가 중시하는 자율성과 공동체주의가 중시하는 연대성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특히, 그의 공통감 이론이 ‘비판적 해석학’과 ‘관계적 자율성’의 이론으로 발전될 경우, 그의 이론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고 현대사회의 고립적 자아들 사이의 갈등을 넘어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길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은 현대철학, 특히 자율성과 연대성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오늘날의 실천철학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Many contemporary philosophers argue that modern philosophy is only the philosophy being imprisoned in subject and consciousness without communicating other subjects with language. They criticize that it is solipsistic. Today, those who are taking part in the communication theory, hermeneutics, and de-constructivism are trying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actical philosophers, especially those who advocate communintarianism criticize that modern libertarianism is not free from the isolated autonomy and breaks the solidarity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with treating formally others. They criticize Kant’s philosophy in the same way. But it is unreasonable. Because Kant was not the philosopher who pursued the same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liberalism as the earlier modern philosophers pursued. He tried to criticize its limits and overcome them. Especially he did not remain within the modern subjectivity, but rather tried to come up with the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ng between subjects. He showed this side through the ‘sensus communis’. He thought of a judgement of taste as an effect resulting from the free play between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nd postulated the ‘sensus communis’ as a ground of the universal validity of this judgement. Therefore this ‘sensus communis’ is the subjective principle of a judgement of taste. Furthermore, he did not treat this ‘sensus communis’ merely as a self-relation of a subject, but rather developed it into an communicative relation among subjects. This position of Kant enables us to seek the harmony between the aesthetic sphere and social-moral sphere,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the autonomy of the liberalism and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arianism. Especially, his ‘sensus communis’ can be developed into the ‘critical hermeneutics’ and the ‘relational autonomy’. Therefore his ‘sensus communis’ has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negative points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the modern community,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among the isolated selves occurring in today’s society. Hence Kant’s ‘sensus communis’ has still the important values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especially in the practical philosophy being now discussed over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olidarity.

      • KCI등재
      • KCI등재

        추상과 실재의 관계에서 본 화폐 - 칸트와 고진(柄谷行人)의 이론을 중심으로 -

        김석수 ( Kim¸ Suk-so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5 가톨릭철학 Vol.0 No.24

        인간은 추상작용을 통해서 우연성과 특수성이 안겨주는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해왔듯이, 화폐를 통해 직접 물물교환이 안겨주는 불편함을 극복하려고 해왔다. 그러나 추상을 통해 성립된 세계가 실재를 지배하는 결과를 낳았듯이, 오늘날 화폐가 물건 자체를 압도하며 물신화를 낳고 있다. 칸트는 이 점을 이미 간파하고 있었다. 그는 인간의 인식의 한계를 긋기 위해 물자체를 한계개념으로 설정하였으며, 또한 도식과 상징에 관한 논의를 통해 감성의 직관과 지성의 개념, 그리고 이성의 이념 사이에 ‘하나 됨이 없는 매개’를 강조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기본 입장에 기초하여 화폐 역시 물건 자체를 압도하지 않는 교환일반의 형식적 조건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그는 인간이 수단으로 취급받는 상업주의를 넘어 모든 인간이 목적으로 대우받는 도덕의 나라로 나아가려고 했으며, 이를 위해 세계공화국이라는 이념을 규제적으로 설정하려고 하였다. 칸트의 이런 생각은 고진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그는 칸트의 이성비판과 마르크스의 자본비판을 종합하는 트랜스크리틱의 길을 추구하였다. 그는 화폐의 물신화를 극복하기 위해 화폐를 칸트의 “선가험적 통각X”나 마르크스의 “연합된 지성” 차원에서 바라보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런 정신에 입각하여 그는 “소생산자 연대”나 “생산자-소비자 협동조합”을 통해 “자본제=국가=네이션”의 등식이 낳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의 이런 시도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그렇지만 칸트에 대한 그의 사회주의적 독해에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실제로 헤겔주의자들이나 사회주의자들은 칸트의 능동시민과 수동시민의 분류 및 그의 소유권론이 자유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진이 주목한 칸트의 이성비판과 그로부터 마련된 화폐비판에 대한 논의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Our humans have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direct barter through money, just as they have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contingency and particularity through abstraction action. But the money led to the fetishism overwhelming products themselves, just as the abstracted world dominated the real world. Kant had already penetrated to this point. He defined ‘thing in itself’ as ‘Grenzbegriff’ in order to set the limit of our human knowledge. He also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intuition of sensibility,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and the idea of reason have to be mediated without being unified into one in the analysis of scheme and symbol. Therefore he said that the money must be the formal condition of an exchange general. Furthermore, he tried to proceed from the commercialism dealing with our humans as a means to the moral world regarding them as ends. He posited regulatively the idea of the world-republic to accomplish this. Gojin accepted positively this thought. He sought the way to synthesize Kant’s critic of reason and Marx’ critic of capital. He defined money at the level of the “transzendentale Apperzeption” of Kant and the “assoziierter Verstand” of Marx in order to overcome the fetishism of money. He also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apitalism=state=nation” with the “small producers solidarity” and the “producer-consumer cooperation” basing on this view. These efforts of Gojin are still important in our society. However, in his socialist reading of Kant’s philosophy,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question. In fact, Hegelians and Socialists have criticized that his classification between the active citizen and the passive citizen, and ownership theory are not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liberalism. Nevertheless his sayings about Kant’s critic of reason and the capital critic given from it have a value that cannot be ign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