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웰빙인식과 웰빙행동

        김새한별(Kim SaeHanByeol) 한국뷰티산업학회 2007 뷰티산업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웰빙인식과 웰빙행동이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웰빙인식과 웰빙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웰빙인식 의 정신지향 요인과 웰빙행동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지향 요인과 웰빙행동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외모지향 요인은 웰빙상품구매경향과 외모관리 특성과 유의미한 관계였으며, 자아지향과 웰빙상품구매 경향은 부의 상관관계를, 여가특성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연령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물질지향, 자아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에서 는 웰빙상품구매경향, 미용관리경향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학력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자아지향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직업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물질지향, 외모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에서는 웰빙상품구매경향과 여가특성 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소득에 따라서는 웰빙인식의 정신지향 하위요인이, 웰빙행동 에서는 웰빙상품구매경향과 미용관리경향, 여가특성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well-being, well-be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factor. In orde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activities,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ntal intention factors and well-being activiti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Material intention factor and well-being activit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ance inten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duct purchase tendency and appearance care tendency; self-intention and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had negative correl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isure tendency. Depending on the ag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mental intention, material intention, and self-intention of well-being perception, well-being goods purchase tendency showed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 subordinate factors of mental intention and self-intention in well-being perception and appearance interest, beauty care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nterest. Depending on the occupation, subordinate factors of material intention and appearance intention in well-being perception, and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and leisure tendency in well-being activities showed of significant result. Depending on the income, mental intention factor, and in well-being activities, well-being product purchase tendency, beauty care tendency, and leisure tendency showed significant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