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김상원,남동현,이혜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7 No.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grit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 self-esteem, and depressio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2,607 fourth-grade students (50.4% male) who, responded in the first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 were found to negatively impact self-esteem,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depressive mood.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having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 tend to have decreased self-esteem, which can subsequently lead to depressive mood. Second, grit moderated the aforementioned pathway,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peer difficulties on depressive mood through self-esteem varies according to children’s level of gri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rotective role of grit against depressive mood in children in the context of challenging peer interactions. A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oncludes this study. 본 연구는 아동의 부정적 또래관계, 자아존중감, 우울감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그릿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에서 초등학교 4학년 데이터의 1차년도에 해당하는 2,607명의 응답(남자 50.4%)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정적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아동이 부정적 또래관계를 경험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우울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정적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감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그릿이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시 말해 아동의 그릿 수준에 따라 해당 경로가 변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 방향을 탐색하며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1763~1764년 조선통신사의 해로여정 고찰 - 계미사행록에 나타난 해난사고를 중심으로 -

        김상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60

        1763년의 제11차 조선통신사 사행은 부산과 오사카까지의 해로여정이 포함된 마지막 사행이었으며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기록문화유산의 여정의 기록 중 가장 많은 사행록을 남긴 사행이었다. 또한 1763년의 사행에서 해로여정은 약 석 달 반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 악천후와 선박 건조의 부실함 등으로 인하여 기항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때문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들 1763년의 계미사행록을 중심으로 하여 부산과 오사카까지 해로여정의 왕로에서 발생한 해난사고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고 사건의 개요와 그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당시 발생한 주요 해난사고는 먼저 이기선의 치목이 두 번이나 부러진 것과 이복선의 선장 유진복이 사망한 사건이었다. 두 번째로 일기선의 치목이 부러진 것과 세 번째로 이기선이 침수되어 일본 측에서 제공한 선박으로 대체하여야 할 정도로 긴박한 상황을 맞이한 것이었다. 이들 사고의 원인으로는 조선 측의 경우 선박건조 체계의 문제점과 이기선의 밀무역을 위한 목재의 밀반입 등이었으며 일본 측의 경우 예인선에 관한 규정 위반 등이 고찰되었다. 본고에서는 국내 계미사행록의 여정에 관한 기록물을 모두 범위에 두고 해난사고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In 1763, the 11th journey of the Joseon Tongsinsa was the last one to include the journey to Busan and Osaka, and was the largest record of the UNESCO World Recorded Cultural Heritage. In 1763, the journey to the sea took about three and a half months. It was because they spent a long time at the port due to bad weather and poor ship construction. Based on the records of the Gyemisahaengrok in 1763, this paper classified three major maritime accidents that occurred on the royal road of the maritime Journey from Busan to Osaka, and examined the outline of the incident and the causes of it. The major maritime accident at the time was first the brokes of the second ship(Ikisun) twice and the death of Yu Jin-bok, the captain of the ship(Iboksun). The second was the brokes of the first ship(Ilkisun) and the third was inundated, so urgent that it had to be replaced by a ship provided by Japan. The causes of these accidents were problems with the shipbuilding system and the smuggling of wood for this ship, and the Japanese side considered violations of the regulations on tugboats. It would be meaningful in that this paper considered maritime accidents with all the records on the journey of the Korean genealogical records.

      • SCOPUSKCI등재

        피부사상균의 정상 구조 및 항진균제 노출 후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학적 소견

        김상원,김동석,윤영묵 대한피부과학회 1999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7 No.11

        Background:Dermatophytes are common pathogens of cutaneous fungal infections. Although antifungal agents have been used widely on the dermatophyte infections,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dermatophytes caused by drug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elsewhere. Objective:We compared the ultrastructures of common dermatophytes and their changes after exposure to three antifungal agents, itraconazole, terbinafine and creosote, to inform the effectiveness of drugs on ultrastructures of dermatophytes. Methods:Two strains of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and Microsporum canis were cultivated on Sabouraud dextrose agar(SDA). Conventional electron microscopic specimen preparation was performed and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fter 24-hour exposure of each strain with 100㎍/ml of itraconazole, 50㎍/ml of terbinafine and 100㎍/ml of creosote on SDA,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ir hyphae were investigated. Results:The ultrastructural findings of each dermatophyte were similar. Tube-like hyphae and simple septal pores with Woronin bodies were typical findings. There were one or more than one nuclei and various intracellular organelles between the septa. A greater density of cytoplasm and organelles could be seen in the younger hyphae. Microscopically, destruction of the cell wall, edema and necrosis of intracellular organelle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vacuoles could be seen after drug exposure. After exposure to itraconazole and terbinafine, edema and necrosis of the cell wall and membranous structures were found, as well as, membranous bodies that represented destructive changes in the cell wall. The hyphae exposed to terbinafine showed various sized of lipid globule in the cytoplasm. Creosote exposure lead to a more non-specific and severer necrotic pattern of the intracellular structures. Conclusion:There seemed to be similar features of normal hyphae of dermatophytes. Antifungal agents, itraconazole and terbinafine, affected membranous structures of dermatophytes, whereas creosote acted on internal structures by a nonspecific direct toxic effect.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was a useful tool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ternal ultrastructure of dermatophyte by antifungal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