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맥동 추출탑내에서의 축방향 분산

        김상돈,노중석 한국화학공학회 198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18 No.3

        맥동 추출탑 내경 10.8㎝ 내에서의 축 방향 분산계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계수의 측정은 산-알칼리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연속상의 지시약이 변화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탑판으로서는 별모양의 판과 다공관 판의 두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공기 맥동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시간 조절 장치를 이용하였다. 맥동의 진폭과 진동수의 변화 범위는 각각 0.5∼8㎝, 0.5∼2.0.㎐이다. 축 방향의 분산계수는 진폭의 제곱과 진동수의 곱에 비례하였고, 판의 자유 행로 면적과 판간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였다. 판의 두께와 액상의 유속은 축 분산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측정된 계수는 진폭, 진동수, 자유행로 면적과 판간의 거리의 변수들의 상관식을 갖는다. Axial dispersion coefficients have been measured in the continuous phase of a 10.8㎝ diameter pulsed plate extraction column. The measurements were made by observing the course of an instantaneous chemical reaction between acid and base in the continuous phase, using phenolphthalein as an indicator. Two different plates were employed, namely perforated and star-shaped plates. The air pulsing was generated by means of solenoid valves and a timing controller. The pulsation amplitude and frequency were varied from 0.5 to 8.0 ㎝ and from 0.5 to 2.0 ㎐, respectively. Axial dispersion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product of the square of amplitude and frequency, however, it decreased with free opening area of the plate and plate spacing. The flow rates of each phase and the plate thickness have insignificant effects on the axial dispersion. The data have been correlated in terms of amplitude, frequency, plate spacing and free opening area of the plates.

      • 근대국어의 원순모음화에 대하여

        김상돈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0 牛岩斯黎 Vol.10 No.-

        지금까지 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원순모음화를 순행 원순모음화와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논의된 내 용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1)근대국어 시기의 중앙어 문헌에 나타나는 사적 음운변화로서의 원 순모음화는 순자음 뒤에서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변화하는 ‘순행 원순모음화’와 순자음 앞에서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변 화하는 ‘역행 원순모음화’로 나눌 수 있다. 2)순행 원순모음화는 중앙어에서 17세기초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8 세가중반에 완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 원순모음화의 진행과정은 형태소 내부에서 먼저 일어 나서 형태소 경계로 확대되었으며, 그 시기는 대체로 전자는 17세기 말엽에, 후자는 18세기 중반으로 추 정된다. 그리고 형태소 경계에서의 경우에도 용언의 활용에서 먼저 나타나서 체언의 곡용으로 확대되었다고 본다. 3)역행 원순모음화는 순행 원순모음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세이 지만 어두와 비어두의 환경에 상관없이 두루 나타난다.

      • SCOPUSKCI등재

        Downer 반응기에서의 축방향 압력 및 고체체류량 분포

        김상돈,김용전,방진환 한국화학공학회 200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8 No.4

        Downer 반응기(0.1 m-I.D.×3.5 m-high)에서 축방향 압력과 고체체류량분포에 대한 기체유속, 고체순환속도, 입자크기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축방향의 압력구배는 고체순환속도에 비례하고, 기체유속에 반비례하였다. 주어진 기체유속과 고체순환속도에서 입자크기는 축방향 압력 구배와 고체체류량에 큰 영향이 없었다. 완전 발달흐름영역(H〉2.0m)에서는 기체유속이 낮을 때(<3.0 m/s)단일 입자의 속도로부터 예측된 압력 구배가 실험결과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높은 유속에서는 실험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이는 입자의 뭉침(cluster의 형성)때문으로 slip velocity와 단일입자의 종말속도의 차이로 확인하였다. The effects of gas velocity, solid circulation rate, and particle size on the axial pressure profiles and solid holdup in the downer reactor have been determined. The axial pressure gradients increase with increasing solid circulation rate but decrease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However,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pressure gradients and solid holdup is insignificant at the given gas velocities and solid circulation rates. In the fully developed flow region(H>2.0 m), pressure gradients calculated from a single particle motion are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values at lower gas velocities(<3.0 m/s), whereas they a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s at higher gas velocities(>3.0 m/s), due to the particle agglomeration or cluster formation that was confirmed by the comparison of slip and terminal velocities of a single and cluster particles.

      • SCOPUSKCI등재

        고속유동층에서의 기체혼합특성

        김상돈,남궁원 한국화학공학회 199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6 No.5

        고속유동층 반응기(직경 0.1m, 높이 5.3m)에서 층물질로 silica sand 입자를 사용하여 기상유속과 고체순환속도가 기체의 반경방향혼합 및 기체역혼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반경방향의 기체분산계수(D_r)는 고체체류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반경방향의 분산계수(D_r)에 대한 상관식을 Froude number와 무차원군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벽면 근처에서는 입자의 하강흐름으로 인하여 상당한 양의 기체역혼합이 관찰되었지만, 중심영역에서는 기-고의 높은 상승흐름으로 인하여 기체의 역혼합은 크게 감소하였다. Peclet number의 항으로 기체혼합계수에 대한 상관식을 무차원군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gas velocity and solid circulation rate on the radial gas mixing and backmix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determined in a fast fluidized bed(0.1 m-I.D. ×5.3 m-high). Radial gas mixing coefficient(D_r) increases with increasing solid holdup. Radial gas mixing coefficient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Froude number and the pertinent dimensionless groups. The considerable amount of backmixed tracer gas near the wall region is observed due to the downflow of solids. However, at the center region of the bed, gas backmixing is negligibly small due to high upward flow of gas-solid mixture. Gas backmixing coefficient in terms of Peclet number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dimensionless groups.

      • SCOPUSKCI등재

        기포탑에서 기-액 흐름계에 내재한 질서의 추적

        김상돈,강용,고명한,조용준,우광재,송평섭 한국화학공학회 199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5 No.5

        기포탑(직경 0.152m, 높이 2.5m)에서 기체-액체 흐름 거동에 내재한 질서의 추적을 위하여 기체-액체 흐름계를 통과하는 laser intensity변동 신호를 결정론적 chaos 이론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즉, 간 실험조건에서 기포탑의 기체-액체 흐름계를 통과하는 레이저 광선의 강도변동 자료들로부터 Kolmogorov 엔트로피, Lyapunov 지수 그리고 위상공간 투영과 같은 동적계의 chaos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기포탑에서 기체-액체 흐름 거동을 해석한 Lyapunov 지수는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양수였으며, Kolmogorov 엔트로피는 기체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액체 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국소적인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기포탑에서 기체-액체의 무작위적이고 chaotic한 거동을 time-delay 방법으로 재구성된 attractor로 추정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그 거동을 해석할 수 있었고 기체-액체의 흐름 거동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기포탑에서 laser intensity 변동 특성은 한정된 양수의 Kolmogorov 엔트로피 값으로부터 결정론적 카오스 거동이라 특정 지울 수 있었다. 기포탑에서 기체-액체의 접촉과 흐름 거동을 나타내는 레이저 강도 변화 자료의 Lyapunov 지수와 Kolmogorov 엔트로피가 양의 유한값에 접근하는 것으로 보아 기보탑에서의 기체-액체 흐름 거동은 결정론적 chaotic 거동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Laser intensity fluctuation signals from a bubble column(0.152 m ID and 2.5 m in height) have been analyzed by resorting to the deterministic chaos theory, to search for the intrinsic order of gas-liquid flow in the column. Some typical chaotic parameters such as Lyapunov exponent and Kolmogorov entropy and attractor in the phase space portrait from the time series of laser intensity fluctuations have been obtained with the variations of operating variables. The attractor which has been constructed with the optimum choice of time lag has been utilized to predict the chaotic behavior of gas-liquid flow in the bubble column. The values of Lyapunov exponent were small but positive; the Kolmogorov entropy increased gradually with an increase in the gas flow rate, however, it exhibited local minimum with the variation of liquid flow rate. It has been foun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dynamic phenomena of gas-liquid contact and flow in the bubble column could be quantified easily. The gas-liquid flow in the column showed the deterministic chaotic behavior in that the Lyapunov exponent and Kolmogorov entropy were finite and pos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