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지 로사리나,김종연,홍성애,Deasy, Rosalina,Kim, Jong-Yeon,Hong, Seong-A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3
Nowadays, dental tourism becomes phenomenon because of its cost-effectiveness, improvement of quality and technology, dental infrastructure, and attractive tourism. Korea as one of popular destination country had established dental system. On the other hand, Indonesia with high number of population is potential market for dental touris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towards dental tourism among Indonesian and Korean. Two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is study was used one questionnaire in two different languages due to nature of the study population. Data from a total 923 of Indonesian from 33 provinces in Indonesi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hrough July 2010. On the other hand, during May until August 2010 data from a total of 312 Korean were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in both countries had never heard about dental tourism. Among those who had heard about dental tourism, the most common source was internet. Ownership of dental insurance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nowledge of dental tourism among Indonesian while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ternet usage had it among Korean (p<0.05). Attitudes of Indonesian and Korean people about dental tourism were negative due to assumption that dental services in their home country were satisfactory. 100% of Korean had no experience on dental treatment in other countries while 2.4% of Indonesian had experience with it. In conclusion, regarding all these evidences, comprehensive and positive information about dental tourism is needed to enhance people's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유제춘(Je-Chun Yu),손경국(Kyeong-Kook Son),이혜경(Hye-Kyeong Lee),김사리(Sah-Ri Kim),박보아(Bo-Ah Park),강건자(Keon-Ja Kang),이창화(Chang-Hwa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4 사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복지를 위한 가용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효율적인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수행을 위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저소득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과 관련된 지역의 특성,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덕구 정신보건센터에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지역의 전체 가구인 7278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경기도 의왕시 정신보건센터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요구 조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해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635개의 회신을 받아 분석 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 지역은 의료보장 형태나 세대별 월수입 등 여러 측면에서 사회 안전망이 부실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편이었다. 그로인해 지역 주민들은 정신보건 문제의 시급성은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치료는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신보건센터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신보건 서비스 중에서 청소년비행, 치매, 알콜문제 등에 대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에 대한 홍보와 함께 위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