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 척도개발 및 타당화

        김사라,김유숙,이윤선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job stress scale of fire-fighters.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job stress of fire-fighters was newly set up, questions were written, and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and main tests of 700 fire-fight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other areas. Th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obtained factor structure was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sych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job risk" (13 items), "Organizational system" (8 items), "Uncertainty" (10 items), "Workplace environmental stress" (7 items) ), "Interpersonal relation conflict", "Excessive job demands" (6 items), a total of 50 items and 6 factors. Six sub-factors accounted for 69.02% of the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was .925, sub-factor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was .905 to .920, split-halves reliability was .964, sub-factors split-halves reliability was .826∼.931.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good fit (GFI = .888, CFI = .949, TLI = .935, RMSEA = .088, x2 (120) = 776.871, p <.001). In addition, to verif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Korean version of the Job Stress Scale (KOSS), the Korean version of the Incident Impact Scale (IES-RK),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구성개념을 새롭게 설정하고 문항을 작성하여, 서울, 경기,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소방공무원 7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요인구조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업무위험성에 따른 심리적 요인’(13문항), ‘조직체계’(8문항), ‘불확실성’(10점), ‘업무 환경적 스트레스’(7문항), ‘대인관계 갈등’(6문항), ‘과도한 직무요구’(6문항) 50개 문항 6요인으로 확인되었다. 6개 하위요인은 전체 분산의 69.02%를 설명했으며,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는 .925, 하위요인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는 .905∼.920, 반분신뢰도는 .964, 하위요인 반분신뢰도는 .826∼.931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적합도 지수는 양호하였다( GFI= .888, CFI=.949, TLI=.935, RMSEA=.088, x2 (120)=776.871, p<.001).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KOSS), 한국판 사건충격척도(IES-R-K), 우울척도(CES-D)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김사라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job stress and experience of coping with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n depth how the experiences of various job stresse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working in the field were revealed in their lives, and the meaning and process of overcoming job stress were deeply illuminated. Results: Using the case study of Stake (1995), three categories, ten subcategories, and 27 semantic units were driven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The three categories are ‘fatal things as a firefighter’, ‘pride in one’s job as a firefighter’, and ‘family supports during hard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efighters witness suicide, death and injury of colleagues and experience death and injury at the site of the exodus. Firefighter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job stress and are exposed to many traumatic events, but they accept these as part of the job. Second, relating to pride and responsibility, rewarding, and social recognition from others positively affects overcoming job stress. Third,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such as a child’s being proud of their father's work or a spouse’s understanding of the firefighter’s job characteristics, minimizes the stressors and supports acceptance of stressful condi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t to have an in-depth look at the job stress experience among firefighters.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job stress using a family based approach, rather than focusing on segregated personal factors that cause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이 겪게 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경험이 그들의 삶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 경험을 극복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심도 있게 조명하였다. 연구방법은 Stake(1995)의 사례연구를 적용하여 6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진술로부터 3개의 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와 27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범주는 ‘소방공무원이 겪게 되는 숙명적인 일들’, ‘소방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 ‘가족은 힘들 때 나를 버티게 해주는 버팀목’이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극복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은 출동현장에서 자살, 사망 및 상해, 동료 및 선후배의 사망과 부상경험을 목격한다. 또한, 화재, 구조, 구급 출동현장에서 직접적인 생명의 위험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소방공무원은 다양한 종류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여러 외상사건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이를 소방공무원이라면 겪을 수 밖에 없는 숙명적인 일들로 받아들이고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 보람,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는 사회적 인정은 직무스트레스 극복 경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족들은 소방공무원이 힘들 때 버티게 해 주는 힘으로 힘든 시간을 같이 견디고 아버지의 일을 자랑스러워하는 자녀들, 남편의 일을 이해해 주는 아내로 인해 그들은 자신의 직무스트레스경험을 극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에만 머무르지 않고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과정과 요인들 중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가족에 대한 접근을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미술교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교원양성대학 강의개선 연구

        김사라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3

        교사의 전문성 발달이라는 입장에서 교사의 교직 이전 시기인 학령기는 그 중요성에 비해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 예비교사들은 학령기 미술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에 관한 인식을 갖고 있고, 교원양성대학에서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미술교과를 다시 만난다. 예비교사들이 진정한 미술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사로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미술강의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학령기와 대학에서의 미술 경험 및 인식을 탐구하고, 미술교육론 강의 실행 및 수정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목적은 교사 전문성을 위한 교원양성대학의 미술강의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A대학교의 예비초등교사 25명으로, 개별 대상자의 말과 텍스트에 주목하여 문화에 대한 의미 구성을 이해하는 담화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미술에 대한 정의,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 중 강의계획서를 10회 이상 수정하였다. 최종 미술교육론 강의계획서는 미술교육의 다양한 쟁점에 대한 토론주제를 제시하였으며, 조사, 의견 교환, 감상 등의 수업 형태가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대학 미술강의 개선에 대한 본 연구의 논의와 시사점을 밝히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What Does a Mathematical Model Tell About the Impact of Reinfection in Korean Tuberculosis Infection?

        김사라,최서윤,김준성,남산가,신연,이선미 질병관리본부 2014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5 No.1

        Objectives: According to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ew active tuberculosis (TB) cases have increased since 2001. Some key factors explain and characterize the transmission dynamics of Korean TB infection, such as a higher ratio of latent individuals and a new reporting system implemented in 2001, among others. Methods: We propose a mathematical TB model that includes exogenous reinfection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cent trend for TB incidence. We divide the simulation time window into two periods, 1970-2000 and 2001-2012,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date of a new TB detection system. Results: Two sets of parameters, including the transmission rate, the latent period, the recovery rate, and the proportion of exogenous reinfection, are estimated using the least-squares method and calibrated to data on the incidence of active TB. Conclusion: Among some key parameters in the model, the case finding effort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impacting component on the reduction in the active TB cases.

      • KCI등재후보

        연금술과 ‘털북숭이 공주’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여성 사례의 모래놀이치료

        김사라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융의 분석심리학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그림형제의 동화책 속에 나오는 ‘털북숭이 공 주’ 의 내재된 심리적 요소를 연금술의 3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모래놀이치료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동화 ‘털북숭이 공주’에서 연금술의 1단계인 nigredo의 단계는 공주가 왕인 아버지로부터 도망 쳐 부엌데기로 신분이 바뀌고, 외형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상처를 입는 단계다. 2단계 albedo에서는 자신을 신분을 숨긴 채 ‘털북숭이 공주’는 더럽고 궂은일을 하면서 비참한 시간을 보내는 과정을 겪으며, 점차 자 신의 자아를 강화해 간다. 마지막 3단계인 rubedo의 단계에서 ‘털북숭이 공주’는 그동안 숨겨졌던 공주를 본 모습을 알아 본 왕과 결혼함으로써 통합의 단계에 이른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사례에서도 모래놀이치료 를 통해 연금술의 3단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단계 nigr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아버지의 폭력에 대 항하는 자신을 지지해 주지 않는 가족과 주변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삶에 대한 의지를 잃어버리며, 자아는 지속적으로 상처를 받는다. 2단계 alb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여러 가지의 성취과정을 통해 가족이 아니라 자신을 생각하고 돌아보면서 상처받은 자아를 치유해 간다. 마지막 3단계 rubedo의 단계에서 내담자는 아버 지를 다시 만나게 되고, 아버지에게 자신의 분노와 감정을 폭발한 후, 비로소 자신을 찾고 자신을 독립된 주체로 사랑하는 모습으로 변화한다. 본 연구는 연금술의 3단계로 그림형제의 동화를 분석한 후, 이를 모래 놀이치료 사례에서 이해하고 분석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모래놀이치료가 가지는 심리 치료적 효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