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셀 푸코 사회인식론의 정립 가능성을 위한 시론

        김부용(Kim, Boo-Y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20세기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미셸 푸코의 중심주제는 지식-권력이었고 푸코는 이를 위하여 이론적 작업과 아울러 경험적, 역사적 작업을 수행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의 대부분의 작업이 경험적, 역사적 작업으로 이루어져 그에게서 지식에 대한 일반이론 즉 인식론에 대한 부분이 있냐는 논란을 제기한다. 이 글에서는 그의 지식-권력에 대한 해명이 지식의 일반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지식-권력의 인식론을 추구한다. 그러나 푸코에서 정립가능한 인식론은 전통적인 개체주의적 인식론이 아니라 지식의 사회성을 천착하는 사회인식론이다. 그것은 그의 지식개념이 갖는 독특성 때문인데 푸코는 표상과 실재의 일치로서의 지식개념을 거부하고 실천으로서의 지식을 주장한다. 푸코는 지식은 인간의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 실천이며 동시에 실천의 산물이라고본다. 이러한 지식에 대한 일반이론은 지식의 사회적 맥락과 사회적 기능을 주장하는 사회인식론의 형태가 될 것이다. 푸코의 지식이론은 일체의 지식이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특수한 규범성을 가지고 사회에서 필요한 지식을 조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사회인시론으로 정립될 근거를 갖는다. Even though th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focused on the subject of knowledge-power, he did not secure the general theory of knowledge because he gave more weight to the historical and empirical works. This paper was a attempts to show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Michel Foucault’s own theory of knowledge. During the attempt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his theory of knowledge might not be a classical type of epistemology due to his unique concept of knowledge as practice. This uniqueness would make his theory of knowledge a social epistemology. The genuine grounds to give his theory of knowledge a status of social epistemology are as follows: 1) Foucault does not admit knowledge without social context. 2) Knowledge has a certain normality regardless of never having achieved the ideal norm. 3) Knowledge can be organized in order to guide social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of power.

      • KCI등재

        권력의 행사방식 논의에 대한 푸코의 비판과 보완

        김부용(Kim, Boo-Y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8 No.-

        본 논문에서는 푸코의 철학체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권력 개념이 권력의 행사방식에 대한 현대의 논의구도에서 갖는 위치를 파악하고 푸코의 개념이 이러한 논의구도에 줄 수 있는 비판과 보완을 제시하여 푸코 개념의 설명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권력의 행사방식에 관한 논의구도를 ‘∼에게 가하는 권력’과 ‘∼에 대한 권력’의 두 개념의 대비로 이루어지는 구도로 이해한다. ‘∼에게 가하는 권력’의 행사는 행위 능력으로서의 권력이 사물이나 사람에 작용하는 것으로 ‘∼에 대한 권력’의 행사는 능력에 근거한 권력이 관계를 통해서 행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두 행사방식에서 푸코의 권력은 관계적 권력이라는 점에서 ‘∼에 대한 권력’에 가깝지만 ‘∼에 대한 권력’의 행사에서 권력이 지배와 동일시된다는 점에서는 부합하지 않는다. 푸코에서 권력은 지배, 통치, 자유로운 권리들 간의 전략적 관계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푸코의 권력은 두 권력의 행사방식에 대해서 비판과 보완을 제시한다. 두 권력의 행사방식에서 권력은 실질적인 것으로 상정되어 그 기능에서 생산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다. 그러나 푸코의 권력은 행위에 대한 행위로서 명목론적인 것으로 일차적 기능이 생산에 있다. 푸코의 권력은 ‘∼에게 가하는 권력’에 대해서는 가역적 행사의 가능성이란 면에서 보완을 제공하고 ‘∼에 대한 권력’에 대해서는 지배에 국한되지 않고 생산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두 권력의 행사방식에 대해서 모두 저항의 가능성을 확보하고 강화시켜줄 수 있도록 보완해줄 수 있다. 이렇듯 푸코의 권력은 권력의 행사방식과 관련된 현대의 권력논의구도에서 상정되듯이 권력이 실질적인 것이 아닌, 명목론적인 것으로 제시됨으로써 생산성을 확보하고 그리하여 권력의 행사방식과 관련된 현대의 권력논의구도에서 보여주는 것 이상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 된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explanatory force of Michel Foucault’s concept of power by determining its possibility to provide the criticism of and the supplement to the contemporary discussions of power. Among the discussions around power the significant one is about the mode of exercising power when compared to Foucault’s concept since Foucault’s main concern regarding power is the following question: ‘How is power exercised?’ There are two main ways of seeing the mode of exercising power: ‘power to’ and ‘power over’. Even though Foucault’s concept of power is close to ‘power over’, which means the capacity to exert its force through human relationships, it does not correspond to ‘power over’ in the aspect that ‘power over’ is apt to be equated with domination. Foucault"s criticism of the two powers is focused on their inability to secure productivity. Since power is regarded as substantial in these modes of exercising, it is revealed as repressive and cannot guarantee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Foucault’s concept is nominalistic, so it can conduct the productive function. Foucault"s concept can supplement ‘power to’ with the room for reversibility and ‘power over’ with another capacity beyond domination. Thus, Foucault’s concep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and productivity for both. Therefore, Foucault’s concept turns out to have more adequate force to explain the actual phenomenon of power than ‘power to’ or ‘power over’.

      •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이 글에서는 『권수정혜결사문』 제7문답에 나타난 지눌 선사의 정토수행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7문답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제7문답에서 지눌 선사가 강조했던 수행의 근본을 파악하여, 이를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으로 정리하였다. 지눌 선사는 제7문답을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선사는 처음에 1) 대심중생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을 상근이라고 구분하였고, 마지막에는 4) 최하근이라는 용어로써 칭명(稱名)만으로도 희유하다고 여기는 이들을 나누었다. 그리고 중간에는 2) 자력과 타력으로 안과 밖이 서로 돕는 수행을 하는 사람 두 종류(①, ②)를 묶어서 설명하고, 또 3) 불법 가운데 마음을 잘 쓰지 못해서 장애에 막힘이 많은 사람 둘(①, ②)을 구분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선사는 최하근 외에 다시 5) 심법의 가르침은 알지 못하지만, 실제의 수행에서는 범행을 이루는 사람과 6) 조종문하(祖宗門下)에 이심전심으로 비밀한 뜻을 전하는 격외선 수행자를 밝혔다. 지눌 선사는 여섯 부분을 수행자의 근기에 따라 나타나는 수행의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지눌 선사는 각각의 근기에서 닦는 정토 수행을 말하는 가운데 선문 수행자가 닦아야 하는 바른 정토 수행을 강조하였다. 1)에서는 대심범부가 불심인 자심․불성인 법성을 신해하고, 신해를 의지해서 이루는 법성정토를 말하였고, 2)․3)․4)․5)에서는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으로서의 정토 수행을 반복적으로 말하였다. 그리고 제5)에서는 고금의 달자(達者)가 구했던 정토는 결국 진여를 깊이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래서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법성정토를 닦는 수행,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 등으로 정리하였고, 이 모두는 결국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으로 돌아간다고 파악하였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Jinul (知訥, 1158~1210)’s theory of pure land practice focusing o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in Gwonsujeonghyegyeolsamun (『勸修定慧結社文』). To this end, first I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then figured out the basis of the practice emphasized by Jinul i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summarized it as Jinul’s theory of the practice of pure land.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consists of six parts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faculties: he classified (1) people with the great mind as the uppermost faculties (上根); (2) two types of people who practice helping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with self-power and others’ help as the second group; (3) two types of people who are blocked a lot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using their minds in Buddha’s dharma as the third group; (4) people regarded as rare only if they invoke a buddha’s name as the lowermost faculties (最下根); (5) people who do not know the teachings of the Dharma of mind but achieve clean acts in actual practice as the fifth group; (6) people who convey secret meanings by the way of transmission from mind to mind in the Zen patriarchy as the sixth group. Jinul classified these six group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faculties of practitioners. Jinul emphasized the proper practice of pure land that zen practitioners should perfor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pure land according to each faculty. As for the first group, he talked about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achieved by the ordinary people with the great mind who believe and understand that the Buddha's mind is their mind and the Buddha's character is dharma nature. About the second to fifth groups, he repeatedly said the practice of pure land which is the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Finally, as for the sixth group, he revealed that the pure land pursued by all the adepts of all ages was to deeply believe in tathāta and devote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To sum up, he summarized these three characteristics: (1) practice of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2)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and (3)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And he concluded that all of these eventually return to the third practice, the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 KCI등재

        『계초심학인문』의 수행론

        김부용(Kim, Boo Yong)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지눌(知訥, 1158-1210) 선사의 일생은 정혜결사로 대표된다. 선사는 팔공산 거조사와 조계산 수선사 두 곳에서 정혜결사를 이어갔다. 선사가 다시 시작했던 수선사 결사는 이전과 달랐다. 선사의 비문에 언급하지 않은 수선사 정혜결사의 변화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청규에 의거한 대중의 일상 수행이 가르쳐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계초심학인문』은 결사에 참여한 대중의 일상 규범을 담은 수선사 청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초심학인문』의 성격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지눌 선사가 찬술한 목적을 중심으로 새롭게 바라보면, 이 책은 선사의 여타 저술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돈오수행으로서의 정혜수행과 자리이타의 보현행 등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임을 알 수 있다. 『계초심학인문』은 출가자와 재가자 누구나가 참여할 수 있었던 정혜결사의 성격에 맞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책은 결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지켜야할 내용과 특별히 출가자를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모두에게 해당하는 내용은 서언과 결어 부분, 그리고 ‘주사당’ 이하 ‘종사의 설법’과 관련한 내용 등이다. 출가자에게 경계한 본문은 출가자의 마음가짐과 계행의 근본을 나타낸 부분 그리고 대중생활의 일상을 경계한 내용으로 구분되며, 대중생활의 일상은 다시 여섯 가지 내용으로 나누어진다. 다시 모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주사당’ 이하의 내용을 ‘사당에 머무를 때’의 경계와 ‘종사께서 설법 할 때’ 유의해야할 내용으로 나눈 것은 이 내용이 지닌 의미가 특별하기 때문이었다. 『계초심학인문』에서 지눌 선사의 수행법풍이 담겨있는 내용은 ‘종사의 설법을 들을 때’와 ‘법당에서 내려와서 자기 점검을 할 때’의 경계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기발(機發)’과 ‘정혜원명(定慧圓明), 견자심성(見自心性), 환도중생(還度衆生)’ 등의 구절이 담긴 문장이다. 이들 용어는 『계초심학인문』을 통해서 지눌 선사가 이루고자 했던 수행의 이상을 표현한 것이었다. 또한 이 이상은 선사가 정혜결사를 통해서 이루고자했던 수행의 목적이었다. ‘기발’하는 순간이 바로 ‘정혜원명’의 순간이며 ‘견자심성’의 순간이기 때문이다. 돈오견성이 바로 이 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는 지눌 선사의 돈오 수행의 근본을 담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환도중생’으로 인천의 복전이 되는 데까지 나아가면, 자리와 이타로 보현행을 성취하는 불교의 이상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초심학인문』은 단순한 규범서에 그치지 않는다. 이 책은 지눌 선사의 돈오수행, 정혜수행의 법풍이 온전히 담긴 수행서라고 할 수 있다. Seon master Jinul(知訥, 1158~1210)’s life is represented by the Compact of the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he master continued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Geojosa on Palgongsan(八公山居祖寺) and Suseonsa on Jogyesan(曹溪山修禪寺). One of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is not mentioned in the epitaph, is that the daily routines of the public were taught based on Qinggui(淸規, the Clean Rules). It is because Gye-chosim-hagin- mun(誡初心學人文, Admonitions to Neophytes, GCHM) is Qinggui of the compact of the society at Suseonsa which has the common norms of the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ct by referring to the important points. However, the nature of GCHM does not stop at mere normative books. Looking back at Jinul’s purpose for this book, it can be seen that this book is a book on the practice that contains his whole dharma tradition. The GCHM was tailored to the nature of the compact, where renunciant monks and lay people could participate altogether. The book consisted of content that everyone in the compact should obey and specially targeted at renunciant monks. In this book, the contents for everyone are preface, conclusion, and the parts related to ‘the preaches by a genuine master(宗師)’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The part that gives attention to renunciant monks is divided into the part representing a mental attitude of renunciant monks and the basis of the precepts and the daily life of the public life and The daily life of public life is divided into six contents again. The reason why the contents for everyone after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住社堂)’ are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the realm when residing in the retreat-society hall and the contents to be careful when a genuine master preache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se contents is so special. In the GCHM, the part on Jinul’s practice tradition is the part of the realm ‘when hearing preaches of a genuine master’ and ‘when he comes down from the dharma-hall and self-checks’. This is especially true of sentences containing phrases such as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in turn ferry across sentient beings [to salvation](還度衆生)’. These phrases represent the ideal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GCHM. This ideal is also the purpose of practice that Jinul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compact of the society. Because the moment of ‘arousal of spiritual faculties(機發)’ is the moment when ‘samādhi and prajñā become consummately bright(定慧圓明)’ and it is the moment when ‘[you will] see [your] own mind-nature(見自心性)’. Sudden awakening(頓悟) by seeing the nature(見性) takes place at this very mo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basis of Jinul s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Moreover, if you go to the state of becoming a great field of merit(福田) for humans and divinities(人天), it is the completion of Buddhist ideals that fulfill Samantabhadra’s practices with benefitting yourself and benefitting others. Therefore, GCHM is not just a book on norms. This book can be said to be a book on the practice completely containing Jinul’s traditions about practice on sudden awakening and practice by samādhi and prajña.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