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다기(茶器)에 관한(寬限) 연구(硏究) -다완(茶碗)과 다주자(茶注子)를 중심으로-

        김부귀 ( Boo Gwi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7 石堂論叢 Vol.0 No.39

        오늘날에는 차에 대한 관심과 저변의 확산으로 茶文化, 茶道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차와 관련 있는 茶器에 관한 연구논문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茶文化가 가장 성행했던 高麗時代에 陶磁器로 만들어진 茶器 중 茶碗과 茶注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作例, 類型分類 및 變遷過程을 알아보고 동시기의 중국, 일본 회화 속에 표현된 茶器와 비교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여 고려시대 茶器의 특징과 독창성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음용되는 차의 종류는 2가지로 찻잎을 갈아서 가루를 내어 茶碗에 넣고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말차와 찻잎을 뜨거운 물이 담겨 있는 茶注子에 넣어 차를 우려 낸 후 茶碗에 부어 마시는 잎차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茶器에 관한 史料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고려시대 도자기 중 `茶器`라고 명확히 단정지을 수 있는 것을 찾기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고려시대와 동시기인 중국 宋代 회화 속의 茶器와 고려·조선시대 및 일본 鎌倉時代를 중심으로 한 회화 속에서 표현된 茶碗과 茶注子의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고려시대의 茶器 형태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결과 중국 宋代의 회화에서는 말차의 유행과 관련된 茶器의 표현이 많았고, 고려시대의 회화에서는 잎차용 다완과 금속기형 茶注子가 주류를 이룬다. 이와 같이 회화 속에 표현된 茶器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고려시대 도자기 중 茶碗과 茶注子의 作例들의 유형분류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의 茶碗은 말차용 茶碗과 잎차용 茶碗으로 나누어지며 말차용 茶碗은 다시 제 Ⅰ유형과 제 Ⅱ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제 Ⅰ유형은 구연부의 각이 넓고 저부 폭이 좁으며 器面의 측면이 사선으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제 Ⅱ유형은 器面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제 Ⅲ유형은 잎차용 茶碗으로 器面 측면이 곡선을 이루면서 크기는 작다. 茶注子는 10세기에서 12세기 초까지는 동체부의 어깨부분은 각이 지고 注口가 어깨부분에 붙는 금속기형[Ⅰ유형] 또는 참외형[Ⅱ유형]의 말차용 茶注子가 주류를 이룬다. 이후, 12세기 초기부터 고려시대 말까지는 동체부가 구형을 이루는 잎차용 茶注子[Ⅲ유형]가 등장하여 이 시기에는 말차, 잎차용 茶注子가 함께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금속기형 茶注子는 頸部의 폭이 좁은Ⅰa형과 경부의 폭이 넓은 Ⅰb형으로 세분할 수 있고, 참외형 茶注子도 동체부에 세로의 음각선이 있는 Ⅱa형과 없는 Ⅱb형으로 분류된다. 잎차용 茶注子인 제 Ⅲ유형은 경부가 있는 Ⅲa형과 경부가 없는 Ⅲb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茶碗과 茶注子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특히 고려시대에는 잎차용 茶器보다는 말차용 茶器가 훨씬 많은 것으로 보아 말차가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4세기 말경부터는 우리나라에서 말차용 茶器보다는 잎차용 茶器가 유행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중국 明 太祖가 1391년에 농민들의 노동을 덜어주기 위해 찻잎만을 진상하도록 한 조치의 영향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茶文化는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중국의 茶文化 변화에 고려의 茶文化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 고유한 상감청자로 만들어진 고려의 茶碗과 茶注子는 그 표현에서 독창적인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즉 茶碗의 구연부가 직립한 경우나 구형의 잎차용 茶注子는 중국에서는 그 예가 드문 유형이며 이는 고려시대의 독창적인 茶文化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Tea` means some leaves to drink and tea water infused by tea leaves or tea bushes. Today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ea, but studies about it are not easily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ders about the examples of tea set, type grouping, process of change and connection with China and Japan with the ceramic teacups and teapots in Goryeo period when the tea culture were very popular. The types of tea which had different taste in different times can be divided two types. One is ground tea, which grinds tea leaves to make pieces and puts them in the teacup then pours the boiled water directly. The other is non-ground tea, which puts tea leaves into the teapot with hot water then infuses for a little while and pours it into the teacup. In Korea for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about tea sets we can hardly conclude what tea sets is among the ceramics found in Goryeo period. So we can infer the shapes of tea sets in Goryeo from those in the Song dynasty`s paintings in China and can know from the paintings in Joseon and Japan. As the result, the tea sets concerned with a popularity of ground tea was seen in th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China, while the round and melon shaped teapots rather than teacups were popular in Joseon`s paintings. The teacups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for the purpose of ground tea and for non-ground tea. The purpose of teacups for ground tea have a type of Ⅰ and a type of Ⅱ. The type of Ⅰ got a wide angle in mouth part of teacups, a narrow bottom, and a diagonal line of sides of teacups. The typeⅡ generally gets a curved line in the side of surface and the typeⅢ used for the non-ground tea and had a curved line in the side and a little small. The teapot`s body with a square-shaped shoulder and a spout attached in the shoulder that is, the type of metal teapots(typeⅠ) or the type of melon(typeⅡ) for the usage of ground tea was appeared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Since then from the early 12th century to the end of Goryeo the teapots for the usage of non-ground tea with ball-shaped body(typeⅢ) came up. In this time teapots for ground tea and non-ground tea were used at a same time. The teacups and teapots can be classified by some types for the purpose of their usage and the tea sets for ground tea was used a lot than for non-ground tea in Goryeo. This result can be guessed that the first king of Ming dynasty in China(1391) ordered to offer only non-ground tea to cut down the people`s work. Under the influence of the order of the first king of Ming dynasty, non-ground tea was more popular than ground tea both in Korea and China from the late of 14th century. The tea culture began to regularize in Goryeo, since then kings and noblemen enjoyed it. Also in Goryeo people thought tea was very important. As the tea was used for service of food to Buddha, tribute and reception of guests, tea set for drinking was surely made very well. The well made tea culture formed by high rank society brought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 set, and development of tea set gave a big influence to ceramic products.

      • 급성 지주막하 출혈에 동반된 관상동맥 연축에 의한 심근경색증 1예

        부귀,박근호,양종태,이동민,장성종,건영,장경식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1

        In many cases, acute cerebrovascular disease is accompanied by abnormal electocardiograms. Also, though rather uncommon, acute myocardial infraction is also seen. The mechanism of its occurance is uncertain but i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coronary artery spasms, an abnormal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a catecholamine increase. A female patient of 34 years of age came to the hospital because of sudden headache accompanied by substernal chest pain. A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a cerebral aneurysm rupture had occured, and there was ST segment elevation in lead II, III, and aVF of the electrocardiogram. A cardiac enzyme test, an echocardiography, and a coronary angiography were performed, and she was diagnosed to hav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due to coronary artery spasm. Clipping of the aneurysm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nitrate and an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