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대불일치이론 관점에서 2018평창올림픽 지역자원봉사자의 만족도와 지지도 관계

        김보람(KimBo-Ram),황향희(HwangHyang-Hee)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2

        본 연구는 각종 메가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자발적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 내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평창올림픽 지역자원봉사자의 사전기대, 지각된 성과, 만족도 및 지지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의 강원도자원봉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53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SPSS 20.0 ver, AMOS 20.0 ver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전기대는 지각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성과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기대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지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전기대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성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대와 성과는 만족도와 지지도 형성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2018평창올림픽 지역자원봉사자에게 긍정적인 이벤트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향후 메가스포츠이벤트의 성공적 개최를 위하여 지역자원봉사자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e-expectation (expectation), perceived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pproval ratings of volunteers in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 Paralympic Games; hence, we believe that it helps promoting people volitional participation and increasing their interests into mega-sport events. Five-hundred thirty nine volunteers volitional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the data collected by the end were analyzed with 20.0 version of SPSS and Amos. Specifically, we conducted all necessary analyses (descriptive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the tes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research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volunteers’ pre-expectation positively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which in turn predicted thei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e pre-expectation had a direc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ir satisfaction which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val ratings of volunteers.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ived achieve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pre-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mong volunteers. In conclusion, the pre-expectation and the perceived achievement of volunteers in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 Paralympic Games are further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ains of their satisfaction and approval ratings. We further have no doubt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would be more likely to help promote peoples’ volitional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into mega-sport events.

      • KCI우수등재

        계획행동이론(TPB)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건강인식 및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

        김보람(KimBo-ram),황향희(HwangHyang-hee),백소라(BaekSora)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계발된 여가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여가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인지-행동변화(cognitive-behavioral changes) 집단 간의 시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계발된 여가교육의 제공하기에 앞서 중년여성들을 무선으로 선발하여 중재집단의 중년여성(n=29)과 통제집단의 중년여성(n=28)을 각 집단에 할당하였다. 이에 따라 중재집단의 참여자들에게는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인지-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여가교육을 제공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설계에 기초한 종단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번에 걸쳐 측정(사전, 중간, 사후)을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으로는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참여자들이 통제집단의 참여자들에 비해 계획행동이론의 인지변인인 1) 태도, 2) 주관적 규범, 그리고 3) 지각된 행동통제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행동변인 및 결과변인을 살펴본 결과, 중재집단의 중년여성들이 통제집단의 이들에 비해 의도를 비롯한 건강인식과 생성감에서 더욱더 높게 향상을 보였다. 끝으로 정리를 하면,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여가교육은 중년여성들의 인지변화를 긍정적으로 도모하며, 이러한 변화는 여가시간에 신체활동을 하려는 의도 및 건강인식이나 생성감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Grounded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s(TPB), we developed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to help middle-aged women become more physically active and healthy by increasing their beliefs―namely,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personal control.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on TPB-based cognitive variables and behavioral outcomes, we assigned middle-aged women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p(n=28) or control group(n=29). Then, we provided TPB-based leisure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we did not provide all of it for middle-aged women in the control group. We adopted three-wave assessments (at the beginning, at the middle, and at the end) and used repeated-measure ANOVAs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mentally-based longitudinal effect of leisure education on TPB-based variables and its behavioral outcomes. The result showed that middle-aged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ceived higher level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personal control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middle-aged women in the control group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healthy and more vitalized/energiz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PB-based leisure education increased positive beliefs(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 behavioral control) about physical activity and personal health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women.

      • KCI우수등재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체육수업 내 자기결정동기 간의 상호관계

        천승현(CheonSungHyeon),김보람(KimBo-ram)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유기체통합이론의 관점에서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자기결정동기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체육수업 자기결정동기가 여가시간 신체활동의 변화를 주도하는지 아니면 여가시간 신체활동이 자기결정동기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인지 그 상호적인 관계를 시기별 측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고등학생(N=714)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3월 학기 초 측정과 7월 학기 말 측정을 통해 이론에 기초한 상호작용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측정에 따른 사전-사후의 자기결정동기와 여가시간 신체활동은 모두 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내 자기결정동기는 여가시간 신체활동의 변화를 정적으로 예측함과 동시에 여가시간 신체활동은 체육수업 내 자기결정동기의 변화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체육수업에서의 자기결정동기의 수준이 향후 미래의 여가시간 신체활동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가시간 신체활동 역시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자기결정동기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즐겁고 재미있게 참여하고, 학습활동에 대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때 이들의 여가시간 내 신체활동이나 스포츠 참여율은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동일한 맥락에서 여가시간 신체활동의 참여유무가 학생들이 체육수업 내 자기결정동기 수준의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은 현장의 체육수업 내 지도자 및 유소년 생활체육지도자들이 학생들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부여하고 지도함에 있어 실질적이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Ground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Deci & Ryan,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student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LTPA)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PE) setting. Thus, this study tested whether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at the early semester leads to changes of LTPA at the end of semester or LTPA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leads the change of student’self-determined motivation at the end of semester. A two-wave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over the course of semester was employed. Study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the model of reciprocal effects grounded on OIT. To attain the aim of this stud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714) in Seoul and Kyou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wice during the semester period. Following testing the hypotheses, data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TPA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PE. Theoretically-aligned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LTPA and the change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PE were observed. That is, students’self-determined motivation in PE at the early semester positively predicted the change of LTPA at the end of semester; at the same time, students’LTPA at the early semester postively predicted the change of students’s self-determined motivation at the end of semester. In conclusion, students who are autonomously motivated in PE is more likely to involve in LTPA, while students who are participate in LTPA tend to highly engage in PE lesson. Such findings can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to PE teachers or exercise instructors to effectively motivate their students in their practices.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 참여척도 타당화 검증: 현장적용 및 활용방안

        송용관(SongYongGwan),천승현(CheonSungHyeon),김보람(KimBo-ram),존마샬리브(JohnmarshallReev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Reeve, 2013)에서 활용된 수업참여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수업참여척도를 국내 체육상황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 체육수업 참여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참여의 구성요인은 정서참여, 행동참여, 인지참여, 그리고 주체적 참여로 학습자의 수업참여의 질을 측정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및 고등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n=488)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새롭게 적용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의 초기 신뢰도와 타당도는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수업참여의 4요인에 대한 구인과 모형의 적합도 역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구인이 검증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와 관련변인들과의 상관에 기초하여 예측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체육수업 참여는 기술발달과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방과 후 신체활동 의도)를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설명력 역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 참여척도는 체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개념적으로 이해 및 파악하고, 실제적으로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들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sychometrically evaluate and validate a measure of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PE)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lassroom Engagement Model by Reeve (2013). Ultimately, our goal is to offer newly-developed classroom engagement scale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engagement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factors-namely, emotional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which measure the quality/degree of student classroom engagement. For this study, 4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Kyounggido in South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cale (CEPES). Each of four classroom engagement scales on the CEPE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cale as a whole demonstrated good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In conclusion, CEPES will be usefu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E teachers) to understand PE classroom engagement conceptually and to observe students‘ in-class engagement practically as well as to develop better motivationa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engagement in PE learning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긍정적 사고와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송순자(SongSunja),황향희(HwangHyang-hee),김보람(KimBo-ram)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긍정적 사고와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요가운동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올바른 외모와 신체관을 정립하고 요가의 지속적인 성장과 활성화와 함께 현대인들에게 있어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건강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는 근거 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전국에 소재한 상업체육시설 7개의 요가원에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 표집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367부를 실제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수치심이 높을수록 목표추구는 낮게 나타났으며, 감시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만족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통제신념이 높을수록 긍정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목표추구와 주관적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하위요인인 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자기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가수련 참여 성인여성의 긍정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만족이 자기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현대인들에게 신체적인 목적에서 더 나아가 심리적인 부분까지 접근할 수 있는 요가와 함께 성인여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요가프로그램의 신체적인 부분을 통해 정서적 심리적 접근을 통한 요가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지속적인 요가수련 참여자들이 더 많은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요가 활성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f grown-up women participating in yoga training affects optimism and self-expression, and emphasized on importance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of yoga training, hence aimed to set up the right appearance and a view of body, continuously develop and vitalize yoga,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base data that helps lead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th for modern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study aim, grown-up women aged over 20 who were taking yoga training at 7 yoga centers of commercial sports facilities located in Korea in 2015,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67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ly, as higher the shame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f grown-up women participating in yoga training, pursuit of goal appeared to be low, and as higher the monitoring, subjectiv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high. In addition, as higher the control belief, pursuit of goal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hich are sub factors of optimism, appeared to be high. Secondly, as higher the control belief which is a sub factor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f grown-up women participating in yoga training, self-expression appeared to be affected. Thirdly, subjective satisfac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optimism of grown-up women participating in yoga training, appeared to affect self-expression. Based on this, on top of yoga that can approach modern people not only with a physical goal but also with psychological aspects, enthusiastic yoga vitalization is necessary, for diversity of yoga programs throug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pproach through physical aspects of a yoga program that grown-up women can approach easily, and for more activ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yoga training participants.

      • KCI등재

        스포츠심리 연구에서의 심박변이도 활용 문헌고찰

        황승현(HwangSeung-hyun),오원석(OhWon-seok),김보람(KimBo-ram),정지혜(ChungJi-hye),이규리(LeeKyu-ri)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신경계의 안정도를 통하여 선수들의 심리생리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평가하는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에 관한 심리생리적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는 것이다. 심박변이도, 바이오피드백, 경기력 향상을 주요어로 사용하여 국내·외 출판물들을 검색하여 주요문헌을 선별하였다. 최종 17편의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심박의 변이와 자율신경계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이를 적용한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심박변이도는 선수들의 각성 및 불안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사용되며 다양한 과제와 환경속에서 선수들의 각성과 불안 검사지와의 비교를 통하여 심박변이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려 하였다.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하나로 호흡을 통하여 심박변이도 통제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유도하는 연구들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박변이도의 측정과 바이오피드백 활용 시 고려할 점에 대하여 논의 되었다. Purpose: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 variable to measure stability of autonomic nerve system, which has been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tool to evaluate athletes’ psycho-physiological stress and anxiety, and biofeedback training.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and publication on HRV, and to suggest an application to psychological program for performance enhancement. Methods: We used key words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athletic performance, etc.) to search publications among major peer-reviewed journals. Results: We reviewed a total of 17 publications. The studies using HRV for stress, anxiety, and a biofeedback training of athletes were carefully reviewed. Conclusion: This review article suggest content validity of HRV as a tool to measure psycho-physiological arousal and anxiety, and a biofeedback training for performance enhan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