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문 · 사회과학편 : 내 · 외 주의집중 전략과 운동수행 : 메타분석을 이용한 연구의 종합

        김병준(ByoungJunKim) 한국체육학회 1995 한국체육학회지 Vol.34 No.2

        Studies on association and dissociation have not produced consistent findings. While several studies(e. g., Morgan & Pollock, 1977: Acevedo, Dzewaltowski, Gill, & Noble, 1992) reported that elite marathoners used more associative strategies, some laboratory experiments(e. g., Gill & Strom, 1985: Weinberg, Jackson, & Gould, 1984) revealed that dissociative strategies were more effective in performing endurance tasks. Meta-analytic techniques were employed to integrate available literature on the issue. Major findings suggested that dissociative condition was aligned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associative strategies(ES=0.34). Dissociation was also found to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persisting endurance task compared with control condition(ES=0.49). However, subjects employed in the association/dissociation studies were characterized as untrained college students. Thus, limited sampl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studies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s. Future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use of more reliable and controlled research designs, and the link between attentional strategy and peak performance experience.

      • KCI등재

        운동 변화단계에 따른 체육수업 재미 및 스트레스

        박석일(SukIlPark),김병준(ByoungJun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본 연구는 변화단계이론을 중학교 체육수업 상황에 적용하여 운동 변화단계의 분포에서의 성차, 체육수업 재미와 스트레스에서의 성차, 그리고 운동 변화단계와 체육수업 재미 및 스트레스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녀 중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운동 변화단계, 체육수업 재미, 체육수업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변화단계에서 낮은 단계인 무관심, 관심 단계에서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높은 단계인 실천, 유지단계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대부분의 체육수업 재미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고,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운동 변화단계는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는데 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체육수업의 재미 점수도 높아졌다. 반면에 체육수업 스트레스는 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패턴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체육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심리적 준비도라 할 수 있는 운동 변화단계가 학생의 수준을 구분하는 실제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sources of enjoyment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and to examine possible links between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joyment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N =531)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sources of enjoyment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Findings from analyses revealed gender differences in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sources of enjoyment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Specifically, more male students were in the higher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endorsed higher levels of enjoyment and lower levels of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As the stages of changes progresses, perceptions of enjoyment in physical education tend to increas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Conversely, perceptions of stress were negatively corresponded to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 KCI등재

        비만과 체력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체육수업 내적동기 및 스트레스

        임경빈(KyoungBinLim),김병준(ByoungJunKim)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1

        이 연구는 체력 수준이 다른 비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체육수업 내적동기 및 스트레스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 남녀 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BMI 지수와 PAPS에서 제시하고 있는 체력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 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비만 학생들의 심리특성으로는 신체적 자기개념, 체육수업 내적동기,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비만-상위체력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은 비만-하위체력과 표준-하위체력의 학생들에 비해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 높은 내적 동기 수준을 보였으며, 체육수업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체력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과 내적동기, 체육수업 재미 요인의 외모, 자기존중감, 신체전반, 재미노력, 유능감, 체육수업 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에서 높은 체력을 지닌 학생이 비만도에 상관없이 긍정적인 심리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건강과 근력 요인에서는 비만과 체력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건강 요인에서는 비만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건강 인식이 표준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평균차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건강 인식에 대해서 표준학생은 체력 수준에 상관없이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이며, 우수한 체력을 지닌 집단의 경우 자신의 체중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근력이 높다고 인식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of obesity and fitness to physical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17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BMI and PAPS data, the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groups (Fat-Fit, Fat-Unfit, Normal-Fit, Normal-Unfit). The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and stress in physical education were assessed. Fat-Fit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physical self-concept, physical educ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lower level of stress. Results of analyses showed students with higher fitness regardless of their obesity levels had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y reported greater physical self-concept, enjoyment and competnece in physical education and felt less stress dur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tness among obese stud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포츠 지도자와 선수의 행동부합에 관한 개념모형 제안

        최마리(MaReeChoi),김병준(ByoungJun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1

        다차원스포츠리더십모형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스포츠리더십 모형은 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을 성과변인인 운동수행과 직접 연관을 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행동부합과 운동수행 사이에 과정변인으로 관계의 수준, 내적동기, 자기효능감을 포함시킨 새로운 리더십 모형을 제안하였다. 배드민턴 선수 752명으로부터 행동부합, 관계의 수준, 내적동기, 자기효능감, 운동수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스포츠리더십 모형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제안한 최초의 연구모형에서는 내적동기 요인이 운동수행과 유의미한 경로가 발견되지 않았다. 내적동기 요인을 삭제하고 2차에 걸친 모형의 수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지도자와 선수의 행동부합이 높을수록 관계의 수준이 높아지며, 관계의 수준은 자기효능감을 거쳐 운동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행동부합에 관한 리더십 개념모형에서는 지도자와 선수의 행동부합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관계의 수준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cluding multi-dimensional sport leadership models, most of sports leadership models associate interaction between coaches and athletes directly with athletic 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d a new leadership model in sport that includes leader-member exchange (LMX),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process variables between behavior fit, which indicates interaction between coaches and athletes, and athletic performance. Data on behavior fit, LMX,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athletic performance were collected from 752 badminton play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no significant path was found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in the initial research model proposed based on sport leadership models and previous studies. We removed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refined the model through two revisions. Finally, a model was adopted in which the higher behavior fit between coaches and athletes is the higher the LMX is, and LMS has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via self-efficacy. In the conceptual leadership model on behavior fit proposed in this study, LMX and self-efficac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that behavior fit between coach and athlete influences athletic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박재영(JaeyoungPark),김병준(ByoungjunKim),김영숙(YoungsookKim)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수 양궁선수와 비우수 양궁선수의 차이를 검증하고,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에 대한 심층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한양궁협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고등부, 대학부, 실업팀 양궁선수 23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양궁선수 5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양적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각도검증에 의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성별과 소속팀별 강점 인식 및 강점 활용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전과 단체전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들이 입상경력이 없는 선수들에 비해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더욱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은 긍정적 경기 운영 능력 및 긍정적 심리 요인과 같은 자신의 강점을 명확하게 인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스포츠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선수 및 지도자뿐만 아니라 스포츠심리상 담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of elite archers. Research participants for survey were 233 archers of high-school, college, and professional levels. 5 archery Olympic medalis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8.0 program.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results were examined by triang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according to gender and level. Secondly, elite archers, who experienced in achieving medals at individual and team competitions, illustrated higher level of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compared to non-elite archers. Thirdly, Olympic medalists perceived their strengths, such as positive competition 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Furthermore, Olympic medalists used their strengths in competi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sport psychology counseling program of strength approach for athletes, coaches, and sport psychologis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운동강도 척도(RPE)의 운동강도 기준으로서의 타당도 검사

        김도윤(DoYounKim),노승수(SeungSooNoh),김병준(ByoungJu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운동강도 척도인 RPE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심박수의 추정도구로서의 타당도, 우리말 표현력이 이러한 RPE의 타당도에 영향 여부 또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TRPE(13, 15) 반응 차이를 알아보았다. 1. 모든 운동단계에서 RPE는 심박수를 저평가(30 beat/min 이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우리말 표현력 점수는 단계별로 RPE 및 RPE-심박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성이 있었다. 3. 동일한 TRPE (13, 15)에서 대상자들의 운동경력, 체지방률, BMI에 따라 신체적 운동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RPE가 심박수를 추정할 수 없었으며 언어적 표현력에 따라 운동강도 척도 타당도가 달라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번역된 RPE는 운동강도를 심박수로 추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때 매우 신중해야 하며 더 나아가 우리말 운동강도 측정도구로서 우리말 RPE는 새롭게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Borg's RPE scale translated in Korean according to the relative language expression, and to investigate how the physical responses were different at the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13, 15 scale according to the subjects' fitness, carrier and so on. For the primary purpose of relation among heart rate, RPE and language expression, 8 subjects participated graded exercise test. For the latter purpose, other 16 subjects joined who were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during the tests, we checked the all response at RPE 13, 15 then we analyzed these data by dividing the groups according their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first te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point of language expression and RPE at 2, 9 stage. Between RPE and heart rate had positive relation at 3, 4, 6, 7, 9, end stage. On the second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2 at RPE 13 and 15 according to the body fat and at RPE 15 in RER.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BMI was different in %O2max, heart rate and duration at RPE 13, moreover O2 and duration at RPE 15. It may be possible to lead the various interpretation even though same word by relatively different level in language expression. In ad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intensity at RPE 13 and 15 might differ according to the subjects' various condition such as body fat, BMI and ages, therefore as the exercise prescription, from RPE 13 to 15 should be modified with the consideration of subject's BMI, ages and body fat.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태권도 경쟁의 결과에 따른 운동정서와 귀인

        이범기(BumKeeLee),한상윤(SangYoonHan),김병준(ByoungJunKim),김광회(KwangHoi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신체활동이 운동정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사실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타인과의 경쟁이 요구되는 과제의 경우 운동이 운동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Berger, Pargman, & Weinberg, 2003). 본 연구는 태권도 겨루기의 경쟁의 결과에 따른 운동정서의 변화와 귀인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겨루기 승리집단과 패배집단을 구분하여 시합 전후의 운동정서 변화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시합직후에 면접을 통해 승패에 따른 정서변화의 원인, 운동정서의 구체적인 체험 내용, 정서 상태 변화에 따른 인지 정서적 반응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시합에서 승리하면 긍정적 행복감이 높아졌으며, 패배하면 심리적 스트레스가 시합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로요인에서는 승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정서 측면에서도 승리하면 재미, 긍지, 정화요인이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활력은 시합 후에 두 조건 모두 낮아졌다. 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합 승패 그 자체보다는 시합 내용에 대한 인식이 정서상태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In general, exercise participants experience more desirable emotional states right after an exercise session. However, growing number of researchers in exercise psychology proposes that some types of exercise or task characteristics (e. g., competition and overtraining) are associated with undesirable emotional states after participation (e. g., Berger, Pargman, & Weinberg, 200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cute effects of Taekwondo competition (i. e., winning or losing) on emotional states. Both quantitative data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Players' emotional states were monitored before and after Taekwondo compet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inners and losers in order to identify in-depth experiences of emotional and their motivation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Results demonstrated that winners experienced increased positive emotional states, while losers reported elevated psychological stress. Analyses of interview attribution data suggested that winners' emotional sta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erceived contents of their competition rather than competition result itself. Losers tend to accept the results of competition and employ motivation-enhanc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