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西漢時代 甘肅지역의 회화와 안료

        金炳模(Kim, Byoung-Mo)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20세기에 이르러 감숙성과 요녕성 등 변방지역에서 위진시대에 해당하는 묘실 벽화가 다수 발견되어 그간 공백으로 남아있던 이 시기 회화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위진시대 감숙지역 회화 표현법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진행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에 주목하고 위진시대 감숙지역 회화 표현법의 다양한 분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토대로서 서한시대 감숙지역에 형성된 회화 표현법의 개념 및 발전 양상, 즉 감숙지역에 어떠한 회화 표현법이 형성되어 있는지, 특히 중원지역 회화 표현법과 개념이 유입되어 있었는지, 유입되어 있었다면 어느 정도의 수준과 기반으로 수용, 정착시켜 가고 있었는지 등을 파악하는데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연구 결과, 서한시대 감숙지역은 이미 중원의 회화 주제는 물론이고 회화 표현법을 상당한 수준에서 수용, 정착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한대 중원지역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채색을 위주로 하는 표현 개념, 즉 채색 지향적 표현 개념도 이미 반영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안료의 사용은 흑, 백, 홍 3색에 한정되고, 그나마 홍색의 경우 적극적 사용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안료 수급 기반은 그다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In the twentieth century, because the tomb murals of Wei and Jin Dynasties have been found in the frontier areas of Gansu and Liaoning, they provide valuable data that can fill the painting history of this period which still in blank space. But research on painting expression way of Gansu area in Wei and Jin Dynasties has not been progressed in so much depth and detail so far.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ous differentiated aspects of painting expression way of Gansu area formed in Wei and Jin Dynasties, it has been proceeded with investigating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painting expression way of GanSu(甘肅) area formed in Western Han Dynasty. Thus,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at kinds of painting expressions had been formed in GanSu area, in particular, the concept and painting expressions of Central Districts had been introduced and how the painting expressions of Central Districts had been accepted and settled in GanSu area if they were introduced to painting expressions of GanSu area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Gansu area in Western Han Dynasty had already accepted and settled not only painting themes but also the painting expression ways. Furthermore, as shown in Central Districts in the era of Han Dynasty, the painting expressions focusing on the expression-oriented concept of coloring had been intended. However, in the use of pigment, three colors such as black, white and red were used mainly. Also, it was estimated that the supply of pigment was insufficient because especially, red color was not used actively.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 편액의 체제와 제작법

        김병모(Kim, Byoung-Mo) 동서미술문화학회 2012 미술문화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조선시대 궁중 편액의 결구 글자의 새김, 단청 등에 관해 궁중유물전시관에 수장된 편액을 중심으로 그 기본적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궁중 편액은 대부분 사각의 가로 편액이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양상이다. 그리고 편액의 형태에 풍수 및 음양오행의 기복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수반된다. 편액의 결구는 기본적으로 글씨가 쓰인 바닥판재와 바닥판재를 사방에서 에워싼 테두리목 및 염우판으로 구성된다. 바닥판재는 하나의 판을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개의 판을 상하 혹은 좌우로 연접시켜 사용하기도 하는데 대개 판재 뒤에 보강판을 사용한다. 테두리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출현하고 있지만 바닥판재 앞쪽으로 튀어나오게 한 입체형이 일반적이다. 염우판은 대개 상단 테두리목 양 끝과 좌우 테두리목 아래 끝 부분에 연접시켜 사용하는데 초기에는 별도로 제작하여 테두리목에 접합시키게 되지만 점차 테두리목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방식을 늘려간다. 편액의 글씨는 왕이나 세자 등이 직접 쓰기도 하지만 문관 신료를 주축으로 임명된 書寫官이 주로 담당한다. 이외에 글씨에 뛰어난 寫字官이 서사관으로 임명되는 경우도 있고, 중국 명필가의 글을 모각하거나 자필을 받아 새긴 경우들도 나타난다. 편액에 사용된 글씨는 한자를 위주로 사용한다. 한자 서체로는 전, 예, 해, 행, 초의 5체가 모두 사용되며 이 가운데 해서체가 가장 많다. 특히 원대에 출현한 설암체와 이를 응용하여 만든 석봉체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글자의 배치는 왕호나 묘호 등 왕과 관련된 글자가 올 경우 다른 글자보다 위로 올려 배치함으로써 시각적 입장보다 정치적 입장을 우선시하는 태도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조형적으로 부조화가 발생하는 경우들도 종종 발생한다. 글자의 새김법은 양각, 음각, 음양각 등이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각 새김법에서 오늘날과 같은 다양한 새김법은 동원되지 않는다. 그리고 글자의 양감이나 운필감이 잘 드러나는 음각보다 돌출형의 양각을 절대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시각거리가 멀기 때문에 음각의 시각효과가 잘 드러나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양각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바닥판재의 채색은 대개 바닥판재 전체를 한 색으로 칠한 후 그 위에 글자만 다른 색을 칠하든가 아니면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바탕을 다른 색으로 칠하여 바탕과 글자를 구분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채색기법은 모두 평도법을 사용하고, 바탕에 특별히 문양을 장식하지는 방식은 동원하지 않는다. 테두리목의 단청은 바탕은 대부분 홍색이며 문양은 오방색을 주로 사용한다. 문양의 종류는 연화문, 당초문, 만자문, 박쥐문 등 길상 위주의 문양들을 주로 사용하며, 문양의 배치는 대개 테드리목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는 일렬식 배치와 대칭적 배치를 선호한다. 이러한 배치방식은 장식의 단순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테두리목의 폭이 좁고, 시각거리가 비교적 먼 상황 등을 고려하면 나름대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해가는 방법을 모색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金炳模(Kim, Byoung-Mo) 韓國古代學會 2010 先史와 古代 Vol.33 No.-

        채도(彩陶)는 중국의 신석기시대 유물 가운데 채색 장식이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유물 가운데 하나이며 시간적으로나 지역적으로 그 분포 범위도 매우 넓다. 따라서 신석기시대 채색에 의한 표면 장식의 여러 특징을 살펴보고자 할 경우 채도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는 이러한 채도를 대상으로 채색 장식의 개념과 목적 등에 관하여 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 결과 신석기시대 채색 장식은 초기부터 일반 장식과는 상당히 구분되는 입장을 갖고 장식을 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양한 도기(陶器)를 장식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일반 장식과 달리 발(鉢)과 같은 특정 도기에 한정하여 장식을 하고, 문양의 종류도 관대문(寬帶紋)과 같은 별도의 문양을 사용하고 있다. 또 도기 표면 전체에 장식을 하는 일반 장식과 달리 도기의 구연부에 한정하여 주로 장식을 하고, 별도의 부호도 표시해 두고 있다. 채도는 출현 이후 상당 기간 동안 그 수량이 소량에 한정되고, 장식이 이루어진 도기의 종류와 문양의 종류 및 위치 등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장식 개념과 관련하여 여러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는 쉽지 않지만 일정한 장식 개념의 출현 사실은 비교적 분명하게 확인된다. 채색 장식은 도기의 기능 향상이나 거친 표면을 감추기 위한 목적에서 장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지는 않으며 장식에도 많은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도를 굳이 제작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분명한 제작 의도가 드러난다. 아울러 일반 장식과는 제작의 목적이 서로 달랐다는 점도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난다. 채도의 용도를 특정한 분야에 한정시킬 수 없지만 무덤, 회갱(灰坑), 주거지 등에서 특정한 의식이 요구될 경우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들이 확인된다. 즉 무덤에서 인골 주변에 안료 편을 뿌려두거나 도기에 안료 편을 넣어두는 행위, 인골에 직접 채색을 하는 행위, 두개골이 없는 경우 두개골 대신 채도를 놓아두는 행위, 옹관(甕棺) 무덤에서 옹관의 뚜껑에 구멍을 뚫어 놓고 그러한 뚜껑에 주로 채색 장식을 하는 행위 등을 통해 채색이 死者의 사후 세계와 연관하여 특별한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회갱이나 무덤을 통해 확인되는 이와 같은 특별한 용도로서의 채색의 쓰임은 당시 채색의 목적이나 용도를 모두 대변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채색을 대하는 기본 입장이나 채색 의욕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e colored porcelains(彩陶) of the Neolithic era appear to have a relatively clear concept of the decoration from the early period and decorate with a considerably different standpoint from the general decoration. That is, the colored porcelains confine the decoration to the particular porcelain such as the bowl while the general decoration is made on the various porcelains, and they use a special pattern such as a band like design(寬帶紋), not the patterns used in the general decoration. The kind of the coloring pattern increases in the period of the YangShao Culture(仰韶文化) and the decoration part expands to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mouth but the standpoint of the early days decorating a band form focusing on the mouth of the bowl continues showing the same standpoint with that of the general standpoint. Though it isn't easy to figure out various contents relating to the concept of the decoration because the colored porcelains is confined to a small quantity for a long time since its appearance and the examples of the kind and part of the pattern is so simple, the fact that a certain concept has appeared is found out certainly. And it is figured out that they have the clear purpose of the production of the colored porcelains from the early stage of its appearance in that they tried to produce the colored porcelains that are thought to have no rel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functions of the porcelain in spite of the various situations in which the coloring was limited. The usage of the colored porcelains can’t be confined to the particular field but it was used so often to give a special meaning when the particular ceremony was needed in a grave, a storehouse(灰坑), a habitation, etc considering the pattern of the excavation. The behaviors like sprinkling pigments around human bones in a grave, putting pigments in the pottery, coloring directly on the human bones and color decorating on the cover of the pottery coffin(甕棺), on which a hole was made in the pottery coffin grave are examples showing that the coloring has a special meaning relating to the life after death of the dead.

      • KCI등재

        魏晉 및 16國시대 酒泉지역의 顔料

        金炳模(Kim, Byoung-Mo)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2 No.12

        河西지역은 위진시대에 이르러 중원지역 벽화가 본격 조성되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술문화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16국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석굴벽화 등이 새롭게 유입되면서 예술 트렌드를 다시 한번 전환시켜간 지역이다. 즉 묘실벽화 위주로 전개되던 미술 트렌드를 불교석굴벽화 위주로 전환시키면서 주제는 물론이고 회화 제작 공간의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회화 제작의 중요한 토대로 작용하였을 안료에 관하여 종류의 변화 및 쓰임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하서 중동부지역의 안료에 관하여는 이미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힌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하서 서부(西部)지역 중에서 주천지역에 한정시켜 검토를 진행하였다. 위진시대에 주천지역은 흑, 백, 홍, 주홍, 황, 녹, 남 등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다만 다양한 안료 사용은 주천군 치소 인근 지역에 한정되며 기타 지역에서는 흑, 백 홍, 황 등 4색에 한정된다.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수급 양상은 동쪽 인근의 고태지역을 포함하여 하서 서부지역에 비교적 양호한 안료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위진시대에 이르러 하서 중동부지역에서 보여주었던 채색문화 중심지의 서부지역으로의 이동 현상을 좀 더 강하게 뒷받침하는 동시에 그러한 변화의 흐름이 하서 서부지역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음을 확인시킨다. 특히 고태지역과 더불어 백운석, 중창석, 인록연광 등 중원지역에서 출현시킨바 없는 안료들, 즉 지역성을 강하게 반영하는 안료들을 다수 출현시킴으로서 하서지역 안료 수급 체계를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내용을 제공한다. 16국시대에도 주천지역은 미술문화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지만 위진시대와 유사한 안료를 지속하며 보다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특히 하서 동단의 난주 및 천수지역 등에서 출현시킨 안료와 전혀 다른 계통의 안료를 출현시킴으로서 난주 및 천수지역과 구분된 안료 수급 체계가 하서지역에 동시에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주천지역이 난주 및 천수지역과 서로 다른 안료 수급 체계에 놓인 배경 및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해야겠으나 묘실벽화와 석굴벽화가 서로 구분된 안료 수급체계에 속하면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내보인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예단해 본다. 기존 연구는 위진 및 16국시대에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출현과 사용양상에 주목하고 있지 않지만 지역별 채색 양상은 물론이고 회화 표현법 변화를 검토하고자 할 경우 안료 수급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근거의 하나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As Hexi region was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it star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rt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before, as the mural in the central area was constructed in earnest. As Buddhist cave paintings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west during sixteen Kingdoms age, Hexi region converted art trend again. In other words, Hexi region was where involves a huge change on the space of the construction of paintings as well as the theme, as the art trend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burial chamber mural was converted to of that of Buddhist cave painting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change on the types and the aspect of the use about pigment which has been serv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inting in this era of change. Since pigments about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 have already been revealed through precedent study, this paper limited the review to JinQuan of the western regions of Hexi. JinQuan area was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made relatively a variety of pigments appear through burial chamber mural and excavated relics during WeiJin Dynasties. Besides, it also confirmed that such the base of pigments were formed over a relatively wide ranging area including Gaotai near JinQuan. In additi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in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s has been identified about moving from the eastern area to the western area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The base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 has supported the aspect of the change 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gain. During sixteen Kingdoms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mural paintings in JinQuan was greatly reduced and these Buddhist cave paintings do not appear. Nevertheless, a variety of pigments which appeared during WeiJin Dynasties continued to emerge. In other words, despite the decline in coloring culture, it has kept on a similar base of pigments for more than 100 years.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in JinQuan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was different from that of Lanzhou and Tianshui of the eastern end of Hexi region. We need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different pigments, but we prejudge if the burial chamber mural and Buddhist cave paintings are the result of different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The conventional study has not focused on the aspect of pigments and use in JinQuan area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but in the case of trying to review, the change on how to express painting as well as the aspect about coloring region by region, The problem of such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will serv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위진(魏晉)시대 감숙(甘肅)지역 안료와 회화 표현법의 분화(分化)에 관한 연구

        김병모 ( Kim Byoung M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본 논문은 위진시대 감숙지역에 형성된 안료 수급 양상, 즉 안료 종류, 안료 산출지, 안료 교역 및 교역 기반 등을 검토하고, 그러한 안료수급 기반 하에서 전개된 표현법의 분화 및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검토 결과 위진시대 감숙지역은 漢代에 비해 훨씬 다양한 종류의 안료가 수급된 것으로 나타난다. 한대 감숙지역 안료는 중원지역 안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위진시대에는 중원지역에서 출현시키지 않은 상당수의 안료를 출현시킨다. 안료의 산출지 및 래원지도 중원 및 남방지역 뿐만 아니라 아프카니스탄 등 서방으로 확대되고, 일부는 감숙지역에서 직접 생산된 경우도 예상할 수 있게 한다. 안료 수급과 밀접하게 연관된 안료 교역에 관하여는 문헌기록과 출토유물을 통해 일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위진시대 감숙지역에 형성된 소그드 상인들의 교역 기반 확대는 안료 수급 기반의 확대가 어떠한 상황 하에서 전개된 것인지를 설명해준다. 안료 수급 기반의 확대 하에서 묘실벽화라는 표현매체가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증가하며, 주제, 도상 배치, 선묘 및 채색표현법 등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한대에 수용, 발전시킨 중원지역 표현법을 지속하면서도 거친 크로키식 선묘와 터취식 채색법, 그리고 하나의 벽돌에 하나의 도상을 배치하는 표현법 등이 감숙지역 표현법의 하나로 전형화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reviewed the aspects of pigments formed in Wei & Jin Dynasty GanSu province, i.e. types of pigment, pigment producing area, trade base of pigment,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way and change aspect that were developed under such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As the result of review, Wei & Jin Dynasty GanSu region was determined to be supplied with much more various types of pigments compared to Han Dynasty. Han Dynasty GanSu region pigment did not show basic difference from Central Districts pigment, however lots of pigments that had not appeared in Central Districts appeared in Wei & Jin Dynasty. Producing area and origin of pigment also was expanded to the western districts as Afghanistan, etc. besides Central Districts, some of them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directly in GanSu region. Pigment trade closely related to pigment supply and demand can be partly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and excavated relics, particularly, expansion of trade base of Sogdian merchants formed in Wei & Jin Dynasty GanSu region could be understood in respect of under which situation development of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was expanded. Lots of change appeared in respect of arrangement of picture image, drawing and coloring expression method, etc. as the expression medium burial chamber mural greatly increased uncomparable to the previous period under the expansion of pigment supply and demand base. While continuing the expression method of Central Districts which was accepted and developed during Han Dynasty, the expression methods such as rough croquis drawing and touch coloring method, and the expression method to arrange a picture image on one brick, etc. were established as the types of expression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춘추전국시대 안료 기반과 안료 산출지

        김병모(Kim, Byoung-Mo) 고조선단군학회 2012 고조선단군학 Vol.26 No.-

        This study is made by reviewing of the excavation material and the documentary records of the foundation and the production area of the pigment developed in HuaBei(華北) area and HuaNan(華南) area of Warring States are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big change on the foundation of the pigment in HuaBei area. In case of the pigment of three colors of black, white and red having been used most widely since the Neolithic era, the rate of the usage had increased a lot and for the other pigments, the steady foundation of the pigment had started to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past. That is, in case of the yellow the certain usage had appeared since the beginning of Warring States era and for the blue it had done since the middle of Warring States era. For the green, the usage had increased a lot compared with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 HuaBei area it is difficult to find objectively the foundation of the pigment because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the colored wooden vessels such as lacquerware is poor than HuaNan area. But it was found that the foundation of the pigment was confined to the three colors of black, white and red and the usage was very lower than HuaNan area. Rarely the usage of the other colors were founded but it was also too lower than HuaNan area. For the production area of the pigment, cinnabar(HgS, 朱石少) was centered on mainly HuBei(湖北) and HuNan(湖湖南). copper ore(銅鑛) relics shows that malachite(Cu2(OH)2)CO3, 孔雀石) and aurite(Cu3(OH)2(CO3)2, 藍銅鑛) spread widely in the area near the Zhang River(長江) of HuBei and AnHui(女徽) ruled by Chu(楚)? Especially, the size of copper ore relics seems to have spread widely with the start of Warring States era. And it also supports the big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the pigment. And the amount of the pigment such as hematite(Fe2u3) of red, lodestone (Fe3O4) of purple and limonite(including Fe2O3 of combined water) of brown earned through the refining of the oxidation belt mineral and rough stones could be considerable that the expansion of the foundation of the pigment having appeared in the Chu(楚) area could be expected easily. The above provides the material not to overlook in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he coloring culture in the HuaNan area developed more actively than HuaBei area. In particular, it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ing culture and the production area of the pigment, thinking of the fact that the foundation of the blue and green pigment was expanded widely in HuaNan area with the center of Chu(楚).

      • KCI등재

        중국 신석기시대 陶器에서 표면 장식을 대하는 기본 입장

        金炳模(Kim, Byoung-Mo)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3 No.-

        In case of the study of the basic point of view on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Neolithic era, the pottery belongs to the most useful material.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Neolithic era’s pottery has a variety of way818, such as the way to press or scratch a pattern, the way to grind the surface smoothly, the way to express the pattern by using the pigment, etc. Among them the first two ways are used most actively. This thesis, considering mainly the pottery of the relatively earlier period, studied the standpoint on the surface decoration with the desire of the decoration, the aspect of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and the case that the pottery was used differently from the natural purpos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The interest in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pottery was so high from the early Neolithic era and it seems to have been more expanded around 5000 B.C. that the kinds of the decoration pattern increased so much and the decoration condition became more sophisticated to decorate even the pottery bottom with the fine geometric design, to dress the surface of the pottery after polishing the surface and to decorate one pottery with many patterns. With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pottery of the Neolithic era, the intention to improve the function and deliver the special meaning doesn’t appear considerably. So based upon what appears superficially, the intention is found to make the surface look good. Because of the limit of the material on the decoration concept, it isn’t easy to check the details. But it can be checked clearly that the certain decoration concept appeared and was being applied already in a relatively earlier period. Especially with the diversion of the use of the pottery, the interest and desire of the surface decoration looks to increase more. These facts become the grounds supporting that the purpose of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Neolithic era wasn’t confined to making the surface good simply. And they become the important grounds i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behind the active appearance of the interest in the dec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