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魏晉時代 河西지역 1磚1畵에 반영된 회화 표현법 변용의 원인-안료 수급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병모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3 No.23

        본 연구는 西漢時代부터 1磚1畵가 출현하는 漢魏 교체기까지 하서지역에서 전개된 안료 수급 및 소비량을 파악하고, 1전1화에 반영된 다양한 회화 표현법 변용의 원인을 안료 수급의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서한시대부터 한위 교체기에 이르기까지 河西지역은 안료 수급 기반이 그다지 양호하지 못했다. 흑, 백 2색 위주에 홍색이 소량 더해진 양상을 일반으로 했다. 新莽 및 東漢時代에 이르러 黃, 朱, 朱紅 등의 안료가 일정량 수급되었으나 홍색에 비하면 크게 미흡했으며, 기타 靑綠, 보라 등의 경우 더욱 미미했다. 실제 소비된 안료의 양 역시 그다지 주목할 만한 규모를 상정하기 어려웠다. 1전1화의 회화 표현법 특징 가운데 하나인 채색 약화는 안료 수급의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상정되었다. 그리고 채색 약화와 함께 수반된 크로키식 선묘와 거친 平塗式 및 터치식 채색법 역시 채색을 적극 반영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개 벽돌에 묘사 공간을 축소시킨 원인으로 제재의 대량 증가로 인한 장식 공간 부족, 독립된 묘사 공간 제공, 제재의 명료한 구분, 일목요연한 도상 배치, 안료 수급의 어려움 등 여러 경우가 상정되었다. 하지만 안료 수급 문제가 가장 폭 넓은 해석 경계를 제공했다. 이상의 검토 내용은 무엇보다도 회화 표현법 변용의 토대로서 안료 수급 문제가 중요한 시대정신의 하나로 작용했음을 새롭게 인식시킨다. 아울러 안료 수급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된 산출 지역, 산출 량, 교역 기반, 경제력 등도 간과할 수 없는 시대정신으로 주목케 한다. 나아가 1전1화의 크로키식 선묘와 거칠고 담한 평도법 및 터치식 채색법에 관해 하서지역 화공의 고유한 미적 정서가 반영된 것, 혹은 寫意的 관점이 반영된 것, 혹은 자유분방한 낭만적 정서가 반영된 것 등으로 해석해온 기존 관점을 재고케 한다.

      • KCI등재

        5-6세기 중국 회화의 채색(彩色) 및 선묘(線描) 분화(分化)

        김병모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6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orm the expression method was differentiated into under which circumstances targeting the paintings in the 5th-6th century, and also the causes that triggered the differentiation. The Chinese paintings in the 5th-6th century pursu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method such as precise and detailed drawing line, elaborate description of objects, delicate coloring, and highly-concentrated thick coloring. In other words, the coloring-oriented position and concept since the period of Qin, Han, Wei, and Jin were continuously accepted by pursuing the thin drawing for delicate coloring. Moreover, by extensively realizing various coloring methods and more sophisticated drawing expression method reflecting dynamics, speed, rhythm, and light/shade of ancestors, more advanced boundary and will of expression were expressed than earlier times. Th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method in the 5th-6th century under the concept of expression method like this was mostly originated from the issue of coloring. The expression method that was mostly differentiated in situations when it was tough to fully realize the coloring-oriented expression was selected and used. In other words, they aimed for croquis-style drawing of rough lines, rather than drawing of fine and delicate outlines for coloring. At the same time, including the weakened and omitted coloring, the coloring method with less exquisiteness appeared. As a constraint factor of coloring-oriented expression, the issue of supply and demand of pigment played the most direct and important role. The research contents above are expected to provide the important basics and perspective for handling and interpreting the cases of differentiation in the early Tang Dynasty that adopted the six theories as the basic concept of painting expression just as the 5th-6th century. 본 연구는 6法論이 주류 표현법 개념으로 등장하는 5-6세기의 중국 회화를 대상으로 표현법 분화가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형태로 구현, 전개되는지, 나아가 그러한 분화를 촉발시킨 원인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5-6세기 중국 회화는 선조의 정세함, 대상에 대한 윤곽 표현의 정치함, 채색의 정교함, 짙은 농도의 채색 등을 표현법의 기본 특징으로 추구했다. 즉 정교한 채색을 위한 세선 구륵의 선묘를 추구함으로써 진한위진시대 이래의 채색 지향적 입장 및 개념을 지속 수용했다. 더불어 선조의 강약, 완급, 장단, 농담 등을 반영한 보다 세련된 선묘 표현법과 평도법, 선염법, 삼백화법 등의 다양한 채색법을 광범위하게 구현함으로써 이전 시기보다 진전된 표현 경계 및 의지를 표출했다. 이와 같은 표현법 개념 하에서 전개된 5-6세기 표현법 분화는 주로 채색의 문제에서 비롯했다. 채색 위주의 표현을 충분히 실현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주로 분화된 표현법을 선택, 사용했다. 즉 채색을 위한 세선의 정치한 구륵의 선묘 대신 거친 선조의 크로키식 선묘를 지향했다. 동시에 채색의 약화 및 생략화를 포함하여 정교함이 줄어든 채색법을 수반, 출현시켰다. 채색 위주의 표현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안료 수급의 문제가 가장 직접적이고 우선적인 고려 대상으로 주목되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은 6법론이 출현하는 5-6세기 화단의 토대를 이해하는데, 그리고 5-6세기와 마찬가지로 6법론을 회화 표현의 기본 개념으로 삼았던 초당시대의 분화 사례를 취급하고 해석하는데 중요한 기초 및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인의 구성 과정과 현대 다문화가정 정책

        김병모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2013 어린이와 박물관 연구 Vol.- No.4

        Are all Koreans the descendant of single ancestor, Dangun? If Koreans were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 sole mythology that the son of heaven descends onto the earth like Dangun’s ancestry legend must exist. There are, however, different kinds of mythic genealogies such as forefathers born from eggs or emerged from cave. How could we then explain this phenomenon adequately? Anthropologists interpret major characters appeared in forms of mythology as immigrant groups. Various mythologies found in Korean peninsula attests the fact that different ethnic groups have lived together in this land. Human skeletal remains excavated in dolmens both in Jechon, Chungbuk Province 1965 and in Jeongseon, Kangwon Province 2005 had characteristic of western people. In eastern culture, Indians are considered the ethnic group sharing genetic traits of western population. These human skeleton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Indian migration to Korean peninsula in 1,000 BC. Also according to Samguk Yusa (or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 princess from Ayodhya came to Korea and married King Suro of Geumgwan Gaya, and this record has been accepted and verified as historical fact rather than legend or myth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Ethnic composition of Korea identified by archeological excavations along with historical texts illustrates not only genetic factors but crucial processes and outcomes of blending of various other cultures. According to Science magazine, the world’s leading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the genetic components of Korean ancestry have comprised of gene pools of the Northern Central Asian nomads and South Asians (Malaysia, Thailand and etc). Therefore, even if Dangun is still widely regarded as the ancestral father of Korean people, it should recognized that the large-scale race mixing between Koreans and various groups of foreign immigrants had occurred throughout the history.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surpassed 1.2 million in 2010,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Moreover, there are estimated 17 thous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number is growing at a rate of 5,000 households a yea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Korea under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Furthermore, they might become an important figure in the entire Asia. In order to turn this vision into reality, teaching Korean language should be the first step that we need to take.

      • KCI등재

        交易品으로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 中國 先秦時代를 중심으로 -

        김병모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iverse discourses about the relation points, the correlations of pigments’ enjoyment and possession for society and economy. In addition, it intended to prepare foundation and opportunity to discuss about the awareness about pigments as trading product in new boundary. As a result of examination, possession and use of pigments were possible to secure a certain position of society and economy in the Neolithic era and especially, it’s grasped to realize a strong desire of ownership of pigments and coloring by focusing on the highest class. In addition, it’s confirmed to recognize chroma at the level similar nearly to scarcity of Jade period. And then, while entering Shang Dynasiy through the early Bronze Age, differentiation of pigments possession among classes became more deepened and in Western-Zhou period, the tendency was maintained as it was. In cas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classes less than the status of classical scholar had difficulties in enjoying coloring culture and if there is a problem in economic power, it was nearly impossible to enjoy coloring culture actively regardless of status. In other words, economic power rather than status was decisive factor making an effect on enjoyment of coloring culture. Due to the above contents, it’s expected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of pigments approached the high level as trading product in XianQin period including the Neolithic era. 본 연구는 안료의 향유와 소유가 사회경제적으로 어떤 상관성을 갖고 연계되는지 연계 지점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제시함으로써 교역품으로서의 안료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경계에서 논의해갈 수 있는 토대 및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검토 결과 신석기시대에 이미 안료의 소유 및 사용은 일정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확보한 경우에 가능한 것으로, 특히 최상계층을 중심으로 안료 및 채색에 대한소유욕이 강하게 실현된 것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채도가 옥기의 희소성과 거의유사한 수준으로 인식되는 상황들도 출현시킨다. 이후 초기 청동기시대를 거쳐 상대에 진입하면서 계층간 안료 소유의 차별화가 더욱 심화되고 서주시대에도 그러한 양상을 거의 그대로 지속해간 것으로 파악된다. 춘추전국시대의 경우 신분적으로 士급 이하 계급에서는 채색문화의 향유가 쉽지 않았고, 경제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신분에 관계없이 채색문화의 적극적 향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신분보다 경제력 문제가 채색문화의 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기능한다. 이상의 내용은 신석기시대를 포함한 선진시대에 이미 교역품으로서의 안료의 사회경제적 지표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었음을 읽게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魚膠)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김병모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7

        This study reviewed the production area of fish glue and the type of fish glue produced based on the collection of fish glue and the types of fish recorded in various geography book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the Gyeongsang-do area, Gyeongju-bu, Ulsan-gun, and Gijang-hyeon were added to the fish glue production areas in addition to Dongnae-hyeon, Gimhae-dohobu, Changwon-dohobu, Goseong-hyeon, Sacheon-hyeon, and Jinhae-hyeon, which were recorded as collected areas in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addition, several areas adjacent to the sea were also assumed to be areas with very high production potential. In addition, the inland region also included many cases in which the production of fish glue had to be considered constantly. As a type of fish glue produced,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production of Nibe croaker glue generally expected. Next, the expected production of Croaker glue was also considered limited to the jurisdiction of Jinju-mok. Instead, based on the types of fish produced and the manufacturing cases of fish glue produced in other regions,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of Salmon glue, Sea cucumber glue, and Sweetfish glue was newly considered. The above review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was expected,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research perspective that can not be overlooked if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production areas of fish glue and the types of fish glue produced in other region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the discourse structure and boundaries on the place of production of fish glue and the type of fish glu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본 연구는 세종실록 지리지를 포함하여 경상도지리지 , 경상도속찬지리지 ,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에 기록된 어교 공납과 각 군현별 산출 어종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경상도 지역의 어교 생산지는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언급한 어교 분정 지역 이외에 다양한 지역이 생산지로 상정되었다. 즉 분정 대상으로 언급된 동래현, 김해도호부, 창원도호부, 고성현, 사천현, 진해현 이외에 경주부, 울산군, 기장현 등이 생산지로 추가 파악되었다. 이외에 바다에 인접한 여러 군현 역시 생산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고려되었다. 뿐만 아니라 내륙에 위치한 군현 역시 어교 생산을 일정하게 고려해야 하는 경우들을 상당수 포함했다. 산출 어교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민어교의 상정을 개진하기 어려웠다. 그 다음으로 기대되는 석수어교의 경우도 진주목 관할 군현에 한정해서 고려되었다. 대신 산출 어종 및 기타 지역에서 전개된 제조 사례 등을 토대로 연어교, 해삼교, 은어교 등의 산출 가능성을 새롭게 상정했다. 이상의 검토 내용은 예상했던 것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서 향후 기타 지역의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간과할 수 없는 연구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조선시대 어교 생산지와 산출 어교에 대한 담론 구조 및 경계를 새롭게 하는데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