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측면에서 본 항우(項羽)의 두 가지 판단(判斷)

        김병건 ( Byoung Geon Kim )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3 No.-

        「項羽本紀」를 볼 때 잠시 생각에 잠기게 하는 물음, 鴻門宴에서 項羽는 왜 劉邦을 끝내 죽이지 않았는가? 또, 항우가 垓下城을 탈출하여 烏江에 당도하여 亭長의 배를 앞에 두고 왜 渡江을 하지 않고 자결하였는가? 이에 대한 이유와 그 의미를 우리나라의 문인학자들의 시문을 통하여 탐색하여 漢文敎科의 수업 속에서 論理的 思考力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項羽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否定的인 관점을 보인 경우는, 金宗直이 항우를 전통적인 조소인 `원숭이[沐候]`라고 하였고, 權近은 항우의 실패는 `스스로가 급하게 불러온 것`으로 보았다. 반면 成大中은 "功業으로 말하면 劉邦이 項羽보다 낫지만 人品으로 말하면 유방이 항우만 못하다."라 하고, 宋時烈은 항우의 일생을 仁愛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또 鄭蘊역시 烏江을 건너 훗날을 도모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다. 항우를 주제로 한 시문 가운데 牧隱의 「江東歌」는 항우의 심정을 감동적으로 형상화한 秀作으로 보인다. 項羽가 鴻門宴에서 劉邦을 제거할 기회에 失機한 이유에 대하여 李荇은 `不忍之心`으로, 成大中은 `驕慢`으로 보았다. 이러한 전통적 분석에 더하여 상황판단과 관련한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첫째, 항우의 최측근인 項伯과 范增 두 사람이 相反된 主張과 행동을 함으로써 項羽의 判斷力을 흐리게 한 것. 둘째, 천하를 호령하는 자신이 宴會席上에서 상대를 죽이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항우의 망설임. 셋째, 劉邦의 巧言令色으로 인하여 項羽는 劉邦을 제거할 수 있었던 機會를 놓치게 된 것이다. 鴻門宴에서 항우의 행동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機會를 놓친 자는 승부의 세계에서 성공할 수 없다. 成事의 조건은 內部結束이 가장 중요하다. 판단의 순간에는 未來의 兆朕을 읽어내야 한다. 不渡江의 理由에 대하여 金錫胄는 `치욕을 참아내지 못한 것[忍]`, 郭預나 丁壽崑은 `강동의 부형에 대한 부끄러움[恥]`이라고 하였다. 그의 심적 상황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 다음과 같이 추정해 보았다. 첫째, `狀況의 흐름에 의한 判斷`일 가능성. 烏江에 당도하여 강을 건너지 않는 것은 이미 기울어진 승패에 하등의 영향을 줄 수 없다는 認識 때문이다. 둘째, 現實과 理想의 不一致로 인한 自存感의 破壞. 심리학에서 `자기 불일치(Self-Discrepancy)`라는 개념으로, 황제의 역할을 했던 사람이 조각배를 얻어 타고 목숨을 延命하는 일은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셋째, 亭長을 본 순간의 衝動的인 決定. 정장은 그를 천하의 영웅으로 존경하는 사람으로, 이런 인물 앞에서 비굴하게 혼자서 돌아갈 수는 없었던 瞬間의 衝動的인 判斷일 가능성이다. 항우가 가장 많이 비판받는 문제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일 것이다. 이런 부류의 심리유형은 `어떤 행동이나 일의 원인을 상황적 요구와 환경적 조건 등의 외부로 돌리는 심리[外的歸因]`의 소유자라고 한다. 항우가 오강을 건너지 않은 일은 歷史의 현장에서 指導者가 나름의 責任을 지고 솔직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여준 사건이다. 소위 `烏江自刎`으로 인하여 지금까지도 그를 영웅으로 칭송하는 것이 아닐까. Reading "Hang Woo Bon-gi(項羽本紀)," we have to deal with some questions. Why didn`t Hang Woo kill Yu Bang in Hongmunyeon? Why did Hang Woo kill himself instead of crossing the Oh river with Jeong Jang`s ship escaping from Heaha Castle? There are considerations about the answers in Korean scholar`s poem. In negative point of view for Hang woo, Kim Jong Jik called him typical mockery term "monkey" and Kwon Keun regarded that he brought his failure himself. However, Seong Mun Jung said that even though Yu Bang was better than Hang Woo in fulfillments, Hang Woo is much bigger person that Yu Bang," Song Si Yeul represent Hang Woo`s life as "Humane Affection," Jeong On also appealed that it`s pity that Hang Woo didn`t think about his future, and Lee Seck`s "Gang Dong Ga" is quite impressive works for an imagery of Hang Woo`s heart. The main point of criticism for Hang Woo is usually for he did not admit his fault. Psychologists analyze that kind of person is the man of External Attribution which always blame the external environment, comparing to Choi Buk`s Internal Attribution character which made his eye poked. Hang Woo showed his true veracity as a leader in a historic field for he did not cross the Oh river. That`s why people call him real hero, paraphrasing as "Oh-gang-ja-mun(烏江自刎)".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문교육(漢文敎育)에 있어서 교과서(敎科書) 내용(內容) 선정(選定)의 타당성(妥當性) 고찰(考察)

        김병건 ( Byoung Geon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한문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저는 敎科書라고 할 수 있다. 교과서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그 誤謬나 敎育課程의 問題點을 지적하는 데에 주안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성과와 전문화된 검정으로 인하여 교과서의 完成度는 매우 높아 졌다고 하겠다. 반면, 정작 일선학교에서 수업하는 교사와 학생이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인 敎科書의 具體的內容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홀히 해 온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6차와 7차 高等學校 漢文敎科書의 本文과 補充資料 [읽고 생각하기 류]의 妥當性에 대하여 主題를 중심으로 考察하였다. 그 내용을 개괄해보면, 교과서의 본문으로 인용한 부분이 原文의 主題와 相反되는 내용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경우[錢論]가 있었다. 또, 전체 문장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싣지 못하고 도입부의 사소한 이야기를 선정하여 筆者의 意圖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海遊錄]도 있었다. 집필자는 원문의 主題와 一致하는 내용을 본문으로 인용해야 할 것이고, 심사과정에서도 이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과도하게 封建的이고 敎條的인 주제로 현대적인 의의를 살리기 힘든 경우[遜順埋兒]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하여 명확한 價値判斷을 하기가 곤란한 경우[際厚婚約]도 있었다. 이런 내용을 교과서에 채택하는 것은 성장하는 학생들에게 가치관의 혼란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만큼 신중히 고려 할 사항으로 보인다. 漢詩의 선정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女性的이고 纖細하며 柔弱한 부류의 시의 선정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圃隱鄭夢周의 시는 대체로 호탕하고 씩씩한 경향의 시가 상당수 있으며, 그런 류의 시가 好評을 받아왔음에도 교과서에는 여성스러운 시가 다수 채택되고 있다. 이를 지양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정이 필요하다. 補充資料선정은 東洋의 古典에서 本文과의 관련성이 많은 題材를 채택하고 그 質的水準을 높이고 誠意있는 記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본고에서 고찰한 것은 실상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이나 ``검정기준`` ``집필상의 유의점`` 등에 제시된 基準에는 言及되지 않은 것이지만, 집필과 심의 과정에서 중요한 考慮事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시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작업 및 심사기준에 이러한 내용을 追加하여 집필과 심사과정에서 尺度로 삼아 同一誤謬가 反復되지 않기를 기대한다. The textbook is the most basic part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some macroscopic points for contents and systems of former junior high and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 It aims to rearranging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writings and evaluation, helping to solve current issues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for similar subjects, but usually they are just pointing errors with a microscopic view. These are former cases: Misunderstanding from ignoring context just for an excerpt, focusing only a beginning part without a whole prospect, Being partial to some feudal and too instructive contents without considering modern implication, Confusing students with uncertain directions about virtue and vice, Choosing too far delicate and feminine poems even if there are many masculine poems like Jung Mong Ju`s.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idering above issues, proper choices should be made for relevance in textbook material choosing and its experti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2) : 尹(윤)기 文學(문학)의 動物形象(동물형상)과 寓意(우의)

        김병건 ( Byoung-geon Kim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무명자 尹.(1741∼1826년)의 문학은 ‘史家的 眼目으로 진실을 추구하고 음풍농월을 지양하고 지배층을 풍자하며 세태를 경계하는 風謠’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윤기의 문학에서 동물을 소재로 한 시문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윤기의 문학에서 묘사한 다양한 동물형상에 대하여 다수의 연구에서 寓言散文으로서 주목하였다. 실제로 無名子集을 살펴보면 제목에 직접 나타나거나 동물을 소재로 쓰인 작품이 약 66편 정도로 파악 된다. 이 가운데 연작시나 잡설 같은 경우에는 제목은 하나이지만 작품 내부로 들어가 살피면 편수가 더 늘어난다. 개략적으로 보아도 70편 이상의 시문에서 동물을 주제나 소재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윤기의 시문에서 동물형상을 다룬 작품을 예시하고 표현 방법을 살폈다. 둘째, 기존에 다소의 연구가 이뤄진 우언산문에 대하여는 좀 더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셋째, 기존에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운문에 나타난 다양한 동물형상을 살펴보았다. 넷째, 시문에 묘사하고 있는 다양한 동물의 의미망이 단순하지 않음을 밝혔다. 특히 한 동물에 대해서 동일한 상징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동일 동물내부에서도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섯째, 동물의 형상화를 통하여 만들어낸 寓意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의 우언 작가로서 능력과 작품의 品格을 밝히고자 하였다. 윤기의 문학적 경향은 寓言의 특성과 일치하는 바가 있다. 그가 그려낸 동물형상의 한시와 우언산문은 대체로 대상을 묘사할 때 典型性을 확보하였다. 또 한 역사 시기의 특수한 정신 현상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Perspective in Yoon Ki(尹기)’s literature is known to be as follows: The purpose of poems and writings is not to entertain readers with description of the nature such as bright full moon but to satirize the upper echelons of society by recording the reality as it appears. Instead of criticizing the upper class directly, Yoon Ki made his pieces with animals, figurative characters. To understand his intentions, we’ll look through how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are described and what they stand for. First, for those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s, many researches focused on a fable prose(寓言散文). In fact, when looking into a collection of Yoon Ki’s works, approximately 66 works are considered to be shown in the title directly or use animal as the subject. In the cases of serial poetry(連作詩) or idle talk(難說), they show a single title but develop into several different topics, as it goes deeper. Roughly, there are more than seventy work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as a subject matter or the subject itself.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f animals in Yoon Ki’s literature in this follows: First, Took examples of poetry that address animal description and Looked into how Yoon Ki described them. Second, Analyzed concretely a fable prose which had been studied to a certain degree. Third, Looked into various animal description that was neglected for discussion. Fourth, Demonstrated that animals’ network of meaning is not simple as it may seem, especially, the meaning of certain animal could be varied accordance with situation. Fifth, Delved into the emblem(寓言) rooted from the embodiment of animals. Through these steps, I’d like to demonstrate Yoon Ki’s ability to write a fable and his literary grace. Yoon Ki’s literary tendency corresponds with that of a fable(寓言). For the conclusion, he tends to accord typicality to animals described in his chinese poem, and a fable prose; moreover, he regularly shows certain mental phenomenon on specific period of time. Wish discussion develops further, lightening the true value of his literary grace in fable literature.

      • KCI등재

        육서(六書)와 자형(字形)을 이용한 한자교육(漢字敎育) 일고찰 -「육서책(六書策)」과 「육서경위(六書經緯)」를 중심으로-

        김병건 ( Byoung Geon Kim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3

        본고에서는 「六書策」과 「六書經緯」를 통하여 육서의 개념을 재점검하고 한자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육서책」은 정조가 육서와 함께 전반적인 문자학에 대하여 답을 구한데 대한 학자들의 `對策`이다. 자학과 관련한 개념으로 춘추이전에는 文이라고 칭하던 것을 文字로 합쳐서 부른 것은 진시황제 이후에 文과 字를 같이 썼다고 한다. `낳다`, `키우다`라는 字의 의미대로 기존의 文이 합쳐져서 소리와 뜻이 늘어났기 때문에 字라고 부른 것이다. 대개 獨體字를 文이라 하고, 合體字를 字라고 분류하였다. 독체자를 여덟 가지로 나눈 것은 주로 글자의 의미로 나눈 것이고, 합체자를 다시 여섯으로 나눈 것이 六書이다. 상형을 따른 것은 文, 자라서 늘어난 것을 字, 대나무와 비단에 기록한 것을 書라고 한다. 육서를 이용한 한자교육에서 교육과정에 會意形聲字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 회의자와 형성자의 구별법은 聲部의 존재로 파악하고, 회의자와 상형자의 구별법은 상형자는 대부분 `독체자[文]`라는 사실을 기준으로 삼아야 하겠다. 「육서경위」는 이계 홍양호의 文字學 저술로써 체제는 『周易·繫辭』와 유사하고 설명하는 방법은 『釋名』을 본받아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今文 1,700여자를 形象을 위주로 서술하였다. 고문이 아니라 금문으로 간명하게 설명하여 평범한 愚夫愚婦도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형상에 나아가 이치를 밝힌다.`라는 말대로 그 형상에 따라 그 자의를 설명하였는데, 이것이 「육서경위」의 특징적인 면모이다. 또, "同類"의 글자들을 미루어 類型으로 한자를 익히도록 하였다. 「육서책」은 정조의 질문 수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대책은 많지 않은 듯하며, 「육서경위」는 `글자의 정미한 뜻과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는` 문자서이지만, 다소 주관적인 서술도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 한자의 의미와 자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Six forms measures" is ordered many vassals to suggest the solution related with "Six forms" by king Jeong-jo in 1792. Among them, comparing the suggesting document by 4 scholars, Lee Deok-mu, Lee Seo-gu, Yoo Duk-gong and Park Je-ga, investigating recognition and conception on "Sis forms" of those days, through this, current established conception on "Six forms"-especially the order and designations, are reconsidered. A lot of investigations on "Six forms"- the six ways forming characters, have been progressed, however, students have had difficulty recognizing how the characters are formed as they meet some strange characters. Hence, the way to tell how characters were formed, operated by students at the school and the simple way helping them not to get confused as similar nature are suggested here. Finally, the usage of educating method at Chinese characters teaching by separating characters wit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ix forms details` by Ligye Hong Ryang-ho and "Chinese charters dictionary" by Heo shin. The teaching method to explain characters by separating part by part seems to be helpful to learners as they can learn the more complex characters easily using easier ones which they aleady have 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