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NG 운반선에 적용된 독립형 탱크의 균열 진전 해석에 관한 연구

        김범일,모하메드 샤피쿨,Kim, Beom-il,Shafiqul, Islam MD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4

        Membrane-type hull and cargo holds have been designed and built for large ship. However,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pplying the same technology to small and medium-sized Liquefied natural gas(LNG) carriers to meet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LNG as an ecofriendly fuel and for expanding LNG bunkering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IMO Type-B tank to small and medium-sized LNG carriers and verify the safety and suitability of the design. Fatigue crack propag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stall a partial second drip tra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LNG cargo tank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leaked gas in the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the cargo tank. First, a program for fatigue crack propagation analysis was developed, in which Paris' law and British Standard 7910 (BS 79110) were appli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of Equipment and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in Bulk,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LNG carriers. In addition, a surface crack propagation analysis was performed. Next, a methodology for assuming the initial through-crack size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partial second barrier.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r 15 days, which is a possible return time after cracks are detected. Finally, the safety and suitability of the IMO Type-B for LNG cargo tanks required by international regulations were verified. For the accurate analysis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th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direct analysi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 교통부문의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효과에 대한 계량화 연구 동향

        김범일(KIM, Beomil),박지영(PARK, Jiyoung),김해곤(KIM hae go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자율주행자동차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센서기술 등 요소 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자율주행기반 교통수단이 현실화될 경우 교통부문에도 다양한 파급효과가 예상되며 현재 교통체계는 크게 변화하게 될 것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이 도입될 경우 교통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한 선제적인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에 따른 영향 분야와 파급효과에 대한 계량화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한 국내 · 외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교통부문 핵심 연구 주제들을 발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하여 국내 · 외 유수 학술지의 관련 논문을 검색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부문별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전기차 충전인프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수익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범일(KIM, Beomil),안근원(AHN, Geun Won),신희철(SHIN, Hee Cheol)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5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차 보급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인프라 기반시설 구축은 중요하다. 전기차 보급 초기에는 정부 주도로 충전인프라 구축하였다. 최근에는 정부에서 민간으로 충전인프라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충전사업자가 지속해서 충전인프라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충전사업의 수익성은 주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충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민간사업자의 충전인프라 진출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기차와 충전인프라 보급은 특정 지자체와 설치 장소에 편중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로 인해 충전기 이용행태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충전기 이용행태 분석을 기반으로 충전인프라 수익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충전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현재 요금 체계의 완속 충전기는 제주를 비롯한 9개 지자체와 휴게소를 비롯한 일부 장소에서 수익성이 있다. 하지만 급속 충전기는 충전요금 할인 혜택이 있더라도 완속 충전기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충전기 구입비와 설치비용으로 민간충전사업자는 충전사업으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충전요금 할인 혜택이 미적용 시에는 충전기 유형, 설치지역, 설치 장소에 상관없이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충전인프라 민간 전환 정책 추진과 충전인프라 민간투자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급속과 완속 충전기 유형별 이용행태를 반영한다면, 세부적인 충전인프라 수익성 분석을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a policy to expand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a representative eco-friendly vehicle. Building EV charging-based infrastructure is very important to expand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s being promoted to shift from government led initiatives to private sector ones. The profitability of the EV charging business is a important factor for private charging service operators (CSO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he charging infrastructure busin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the private sector entering the charging infrastructure business by examining the charging behavior of EV users. As, currently, the supply of EVs and the construction of charging infrastructure varies depending on regions and plac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ehavior of using EV chargers. Based on the examined charger usage behavior, a profitability analysis of the charging infrastructure business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the current rate system that provides a discount on charging cost, slow chargers are installed in 9 municipalities including Jeju, generating profits in some places including highway rest areas. For fast chargers, although a discount on charging cost is also provided, there is no profit yet due to the relatively high cost of the charger. It was analyzed that losses would be incurred regardless of the charger type, installation region, or installation location if the discount benefits for charging cost were not appli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shifting EV charg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rom the government to the private sector and private investment in charging infrastructure. In future research, if fast and slow charger usage behaviors are updat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of charging infrastructure in detail.

      • 도로 위계 구조를 고려한 동적 최적경로 탐색기법 개발

        김범일(Kim, Beom-Il),이승재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4 No.-

        도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의 기능에 따라서 고 속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고속도로와 간선도로는 이동성 기능이 주 기능이고, 국지도로는 주 기능이 접 근성이며, 집산도로는 간선도로와 국지도로의 중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도로는 그 기능에 따라 각각의 역할이 나뉘어진다. 실제 도로상에서는 그 기능이 정확히 구분되어지지는 않지만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도로의 기능 을 생각한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이런 도로의 위계를 고 려하지 않고, 각 링크의 통행비용만을 이용하여 최적경로를 탐색하여 교통정보를 제 공하고 있다. 이런 최적경로 탐색 기법은 운전자가 이동할 거리가 짧거나, 시간이 적 게 걸리는 경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거리가 점점 멀어지거나 시간이 많 이 걸리는 경우에 사람들은 위계가 높은 도로를 선호를 하며, 위계가 높은 도로를 이용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위계를 고려하여 최적경로를 탐색 기법을 적용하려고 한다. 도로의 위계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더 최적경로정보 제공에 현실적인 접근을 시도하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