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계(東谿) 조귀명(趙龜命)의 자전적(自傳的) 운문 연구

        김민학 한국고전연구학회 2024 한국고전연구 Vol.- No.64

        본고는 동계(東谿) 조귀명(趙龜命, 1692〜1737)의 운문에 드러난 자전적 면모를 분석한다. 조귀명은 산문(散文)에 치중하였지만 그가 남긴 27제(題)의 시(詩)와 6편의 부(賦)에는 빼놓을 수 없는 사유가 녹아있다. 운문에 드러난 조귀명의 사유는 산문의 언어가 아닌 시의 언어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내면적이며 함축적이다. 그 중에서도 자기 술회 양상이 드러나는 〈차제경술회운〉와 〈유회부〉를 중요한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차제경술회운〉은 5가지 테마를 제시해 자신의 삶과 사유를 읊었다. 5가지 테마는 조귀명이 자신의 인생과 사유를 술회하는 핵심 키워드이다. 〈유회부〉는 질병의 고통으로 인한 갈등을 내적으로 해소하는 경과를 자술한 작품이다. 특히 〈유회부〉에는 조귀명이 앓았던 고질병〔貞疾〕의 실체가 어느 정도 드러나 있다. 조귀명의 사유는 질병을 제외하고는 논하기 힘들다. 이런 점에서 〈유회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산문가 조귀명은 익숙하지만 조귀명이 지은 율어(律語)는 조귀명 연구자에게도 생소하다. 이 두 작품은 조귀명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먼저 조귀명 운문의 형식적 특성을 살펴본 후, 〈차제경술회운〉와 〈유회부〉를 분석하여 조귀명의 삶과 사유가 운문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조귀명 내면의 갈등과 모순을 정합적으로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autobiographical aspects revealed in the poetry of Dong-seok Jo Yeong-myeong(1692-1737). Although Jo Gwi- myeong focused on prose, the 27 poems and 6 chapters he left behind contain indispensable thoughts. Jo Gwi-myeong’s thoughts revealed in verse are more internal and implicit in that they are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poetry rather than the language of prose. Among his works, his most important works can be said to be 〈次際卿述懷韻〉 and 〈幽懷賦〉, which are based on the theme of his own life and thoughts. 〈次際卿述懷韻〉 presented five themes and recited his life and thoughts. 〈Yuhoebu〉 is a work that describes the process of internally resolving the conflict caused by the pain of illness. The prose writer Jo Gwi-myeong is familiar, but the poetic language written by Jo Gwi-myeong is also unfamiliar to Jo Gwi-myeong researchers. Although these two works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Jo Gwi-myeong, they have not been covered so far.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Jo Gwi-myeong’s verse, and then analyzes 〈次際卿述懷韻〉 and 〈幽懷賦〉 to examine how Jo Gwi-myeong’s life and thoughts were expressed in his verse. The analysis of Jo Gwi-myeong’s verse seeks to provide clues to a coherent understanding of Jo Gwi-myeong’s inner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 KCI등재

        東谿 趙龜命에 있어서 意의 실체와 세계인식

        김민학 동양한문학회 2024 동양한문학연구 Vol.67 No.-

        본고는 東谿 趙龜命(1692~1737)에 있어서 意가 무엇인지를 논구하였다. 조귀명은 18세기 초 문단에서 가장 정채로운 문인이라는 평을 받는다. 그는 장자와 불교를 깊이 읽어 문장에 응용했고, 그 결과 인간 존재 자체에 대한 실로 짐작하기 어려운 깊은 사색을 남겼다. 이러한 사색은 문장으로 남아 조귀명은 당대에는 물론 구한말까지 생명력을 가지고 읽혔다. 문장가라는 조귀명의 정체성은 현대의 연구방향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처음 조귀명이 연구된 뒤로 지금까지 30여 년간 조귀명의 문장이론은 세부적으로 깊이를 더해갔지만, 변하지 않는 것은 ‘의’라는 개념이다. 조귀명 스스로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라고 강조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비평을 남겼기 때문에 후대의 연구자 역시 자연스럽게 여기에 주목한 것이다. 그런데, 道文分離, 自得, 適意, 主意 등으로 설명되는 그의 문장이론 연구는 언젠가부터 정체되어 있다. 조귀명 연구자들은 이론을 뒷받침할 만한 작품분석이 부재하다는 것에서 이유를 찾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더 큰 관점에서 조귀명의 사유와 세계관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의’는 정신의 기저와 문장의 내용에 광범하고 다양하게 드러나 있는 조귀명의 사유를 일관하는 단 하나의 낱말이다. 조귀명은 ‘의’를 통해 기존의 세계를 넘어 만물의 보편적 진리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문장에 담고자 하였다. 조귀명의 사유는 靜觀을 통한 格物에서 구축되었지만, 정관의 자세와 인식과정은 성리학과 판이하다. 조귀명은 이러한 사유를 『東谿集』 중 「靜諦」에 밀도 있게 담아놓았다. 조귀명이 여타의 문인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글이 바로 이 「정제」이다. 「정제」, 「분향시필」, 「논선제편」은 각각의 편차로 묶여 『東谿集』 권8을 이룬다. 이러한 특이한 편차는 의도된 것으로 조귀명 사유의 근원을 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조귀명은 하늘과 인간의 마음, 신체, 우주까지 그의 사유를 확장시킨다. 그 과정에서 일관되게 작동한 것이 바로 ‘의’이다. 조귀명의 핵심은 만물의 현상과 인간 근원의 문제를 깊이 사유한 것이다. 文論 연구는 조귀명이 이치를 담고자 노력한 ‘도구’만을 연구하는데 그친다. 조귀명이 문장을 쓰는 과정에서 가장 중시한 ‘의’가 무엇인지, 그가 문장으로 추구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 문장가를 넘어 새로운 지평을 연 사유하는 사람 조귀명을 고찰해야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meaning was in Donggye Jo Gwimyeong (1692~1737). Jo Gwi-myeong is evaluated as the most elegant writer in the early 18th century literary circle. He deeply read Chuang-tzu and Buddhism and applied them to his sentences, and as a result, he left deep contemplations about human existence itself that are difficult to guess. This contemplation remained as a sentence and was read with vitality not only at the time but also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identity of Jo Guimyeong as a writer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direction of modern research. For the past 30 years since the first study of Gwimyeong Cho, the theory of sentences of Gwimyeong Cho has been in depth, but the concept of 'will' remains unchanged. Cho Gwi-myeong himself emphas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sentence is meaning, and since he left detailed criticism on it, later researchers naturally paid attention to it as well. By the way, his sentence theory research, which is explained by Domunbunjil, self-reflection, 適意, and main intention, has been stagnant since sometime. Cho Gwi-myeong researchers also found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work analysis to support the theory.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sentences of Jo Gwi-myeong from a larger perspective. ‘Ui’ is a single word consistent with the thought of the precious name, which is widely and variously revealed in the basis of the spirit and the content of the sentence. Jo Gwi-myeong explored the universal truth of all things beyond the existing world through mind, and tried to include it in his sentences. The reasoning of Gwimyeong Cho, like Neo-Confucianism, was built on the concept of tranquility, but unlike that, it is based on observation and exploration of phenomena. Jo Gwi-myeong densely contained these thoughts in his 『Donggyejip』, 「靜諦」. The peculiar deviation of “refining” can be evaluated as being intentional and containing the true meaning of the thought of Jo Gwi-myeong. Gwimyeong Cho expands his thoughts to include the sky, human mind, body, and universe. In the process, what worked consistently was the will. The core of Jo Gwi-myeong is not a sentence, but a deep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all things and the problem of human origin. Sentence research is confined to researching only the 'tool' that Gwimyeong Jo tried to contain the reason. This is the point at which we need to consider what Gwimyeong Cho puts the most importance 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sentence, what he wanted to pursue with a sentence, and Gwimyeong Cho, a thinker who opened a new horizon beyond a writer.

      • KCI등재

        格物致知章의 구성에 대한 조선 후기 학자들의 입장 ―東谿 趙龜命의 <大學說>을 주요 자료로 하여―

        김민학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격물치지장은 『대학』이라는 텍스트의 이해에서 매우 중요하다. 주희는 격물치지장을 없어졌다고 하고, 그 자신이 창작해서 『대학』에 편입하였다. 경서의 내용을 개인이 창작하였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은 의문을 가졌다. 동계 조귀명 역시 격물치지장은 애초 사라지지 않았고, 뒤섞인 순서를 바로잡아서 그 내용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조귀명의 그와 같은 주장을 담은 새로운 자료인 <大學說>의 내용을 소개하고 의미를 생각해본 결과물이다. 이 논문에서 자료로 사용한 조귀명과 이헌경의 저술은 아직 학계에서 거론된 바가 없었다. 조귀명은 그 이전의 자료를 폭넓게 섭렵하고 자신의 새로운 학설을 주장하였다. 조선조 경학의 역사에서 유사한 사례가 많지 않고, 내용 또한 대단히 독창적이다. 조귀명의 <大學說>은 문장 쪽에서 조귀명의 독창과 궤를 같이 하는 저작으로, 중요하게 연구되고 기억되어야 할 자료라고 판단된다. Gewuzhizhi chapter is very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Great Learning(大學)』. Ju-hee said that the Gewuzhizhi chapter was disappeared, and he created it himself and transferred it to 『The Great Learning(大學)』. Many people questioned that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classics were created by individuals. Donggye Jo Gwi-myeong also argues that the Gewuzhizhi chapter did not disappear in the first place, and that the contents can be restored by correcting the mixed order. This paper is the result of introducing the contents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Daehak Seol(大學說)>, a new material containing Donggye Jo Gwi-myong's arguments. The writings of Jo Gwi-myeong and Lee Heon-kyung, which were used as data in this paper, have not yet been mentioned in academia. Jo Gwi-myeong widely reviewed the previous data and insisted on his new theory. There are not many similar cases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dynasty, and the contents are also very original. Donggye's <Daehak Seol> is a work that coincides with Donggye's original work in terms of sentences, and i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to be studied and remembered.

      • KCI등재

        歸鹿 趙顯命 ≪風樹庵續漫錄≫의 내용과 의의

        김민학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4 No.-

        <風樹庵續漫錄>은 영조조 문신 歸鹿 趙顯命의 저작으로, 일본 교토대 가와이문고본 ≪歸鹿集≫에만 실려 있는 자료이다. 문학 쪽에서 조현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거니와, 더구나 이 자료는 그 동안 거론된 바가 없었다. 모두 53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 25번 조목까지는 戊申亂(李麟佐의 난)에 대한 기록이고 이후는 기타 잡록이다. 이러한 공적, 사적인 기록은 정치상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간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조현명의 여러 면모를 밝히는데 긴요한 자료가 된다. 필자는 최근 ≪만록≫을 일독하고 완역하였다. 이는 별도의 책으로 간행될 예정이지만, 우선 본고를 통해 ≪만록≫의 내용을 소개하고 자료로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만록≫의 가장 큰 의의는 직접 무신란 진압에 참여하여 그 시말을 생생하게 기록한 조현명의 저작이라는 점이다. 조현명은 무신란 발발 직전부터 난의 진압까지 전 과정을 당시 정국의 한가운데서 또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지켜본 후에 중요한 이벤트를 놓치지 않고 기록하였다. ≪만록≫은 영조 초 가장 큰 사건이었던 무신란을 상세하게 재구성하는데 긴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만록≫은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조현명이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며, <자저기년> 등에서 보이는 회고적 글쓰기 역시 여러 조목에서 드러난다. ≪만록≫은 조현명이 만년에 자신의 삶을 어떻게 돌아보는지를 가감 없이 솔직하게 필사하여 엮은 원고로 추측된다. 개인 조현명을 탐구하는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Pungsuam sok Manrok is the work of Jo Hyeon-myeong, a civil official of King Yeongjo, and is a material contained only in the Kawai Bookstore of Kyoto University in Japan. In literature, the study of Gwirok has not yet begun in earnest, and moreover, this material has not been mentioned so far. It consists of 53 articles, and up to Article 25 of the first half, it is a record of Musinan (Iinjwa's Rebellion), and after that, it is a miscellaneous record. These public and private records are important data not only to grasp the political situation but also to reveal various aspects of Cho Hyun-myeong that have not been revealed in detail. The author recently read and translated Pungsuam Hermitage Mannok. This will be published as a separate book, but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Manrok in Pungsuam Hermitage> and examin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data. The biggest significance of “Manrok in Pungsuam Hermitage” is that it was written by Cho Hyun-myeong,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suppression of Musinan and recorded the words vividly. Cho Hyun-myeong watched the entire process from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Musinan to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from the middle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closest distance, and recorded an important event without missing it. The Mannok in Pungsuam Hermitage is important in that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reconstructing the Musinan in detail, which was the biggest event in the early days of King Yeongjo. In addition, <Manrok in Pungsuam Hermitage> is a material that can understand how Cho Hyun-myeong acted in this political turmoil, and retrospective writing seen in <The Year of the Dead> is also revealed in various items. It is presumed that “Manrok in Pungsuam Hermitage” is a manuscript compiled by honestly transcribing how Cho Hyun-myung looks back on his life in his later life without any additional adjustment. It is a valuable material for exploring individual Cho Hyun-myung.

      • KCI등재
      • KCI등재

        東谿 趙龜命의 蘇軾 문학 수용과 변용 양상 연구

        김민학(Kim, Min-hak)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18세기 초 산문가 東谿 趙龜命(1693~1737)의 독특한 문론과 작품은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동시기 인물뿐 아니라, 후대의 이규상, 송백옥, 김택 영 등의 비평가들은 공히 조귀명 문장의 非常함을 높이 여기는 비평을 남겼 다. 80년대 말 선인들의 비평에 힘입어 조귀명이 연구되기 시작한 지 30여 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 결과 조귀명은 18세기 초 가장 뛰어난 산문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조귀명 산문의 어떤 지점이 그토록 뛰어나다는 것인가?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조귀명 문학론의 개념어는 道文分離, 倣古創新, 自得, 適意 등이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들과 문학관이 과연 조귀명만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문예미의 추구는 조귀명에게 뚜렷하게 보이는 특징이지만, 이는 문인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조귀명만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는 없다. 방고와 창신 역시 마찬가지다. 이제 조귀명이 어떻게 이런 문학론을 성립시킬 수 있었는지, 또 이러한 문론으로 어떤 작품들을 창작했는지를 살펴볼 시기이다. 본고는 조귀명 문학론의 한 근원으로서 소식에 주목한다. 조귀명은, 소식 문장의 정수를 터득했으며 이를 후대에 전하는것 역시 자신의 몫이라고 자 임할 만큼 소식의 문장을 애호했다. 본고에서는 우선 조귀명의 親友들과 당시 문사들, 그리고 후대 비평가들의 조귀명-소식에 대한 비평을 살펴보았다. 이어 見識解悟로 규정되는 뜻[意]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소식 문장에 대한 비평이 주요한 단서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역시 소식을 酷好한 같은 시기 문인 신정하와의 學蘇경향을 대 비해 조귀명만의 특징을 부각시켰다. 즉, 신정하는 소식의 小文을 애독하며 소식 筆帖의 글자를 분해해 고시를 짓는데, 이는 같은 주제로 글을 써도 소식과는 전혀 다른 결론을 내리는 조귀명이 보기에는 자신만의 식견과 깨달음을 찾아볼 수 없는 창작행위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귀명의 學蘇法이 잘 드러나는 <賈誼論>을 분석해서, 맹목적 慕蘇가 아닌 창작방법론의 학습임을 밝혔다.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unique literature and works of prose poet DongKei(東溪) Jo gwi myoung(趙龜命)(1693~1737) received attention earlier on. Not only contemporary critics but also critics such as Lee Gyu-sang, Song Baek-ok, and Kim Taek-yong criticized unusual Jo qwi myung s phrase. In the late ‘80s, more than 30 years have passed from the beginning of study.’ As a result, he becam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rose writers of the early 18th century. So, what point of prose is so exquisite? The conceptual words of literature theory created by Jogimyung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road separation, recurrence, self -esteem, and appropriateness. However, I wonder whether these concepts and literary viewpoint are made from only Joqimyung. The pursuit of literary beauty is a distinctive feature of Cho, but it can not be said that it is the only thing owned by Jogimyung. In the sense that it shows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the literary period so, it can not be the only thing owned by Jogimyung. The same is true for 倣古 and 創新. Now it is time to look at how the Jo gwi myung was able to establish this literary theory and what works he created with these literary texts.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s as a source of the Jo gwi myung s literary theory . He learned the essence of the news sentence, and he liked the sentence of the news so that it was his own responsibility to transfer it to future generations. In this article, I first looked at the criticism of the first names of the angelic name friends, the writers of the time, and the later names of later critics.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meaning that is defined by the resolution of the insight, the criticism of the sentence was the main clue. Next, I also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Jo gwi myung only in preparation for the trend of the scholarship of Shin Jeong-ha, who exists at the same time period of loving news. In other words, we read the small sentence of the new news and separate the letter of the newsletter to make a notice and this is a creative act that own insight and realization cannot be seen. Jo gwi myung who brings different conclusion of a news even if he write on the same subject thought that. Finally, I analyzed the “賈誼論”, in which the 學蘇 is well-known, revealing that it is the study of the method of creation which focuses on the intention rather than the popularity.

      • KCI등재

        중국 망명 시기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의 출판 활동과 그 意義 -「문묵췌편(文墨萃編)」을 중심으로-

        김민학 ( Min Hak Kim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본고는 창강 김택영의 출판 활동과 그 기저에 깔린 의식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강이 중국 南通에서 출간한 책은 46종에 이르며 역사, 문학, 경학, 실용서에 이르기 까지 범위도 다양하다. 창강이 어떤 과정을 통해 출판할 책을 선정하고 초고를 교정하 고 이를 출판했으며 다시 유통시켰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진바 없지만, 오직 매천집 의 경우에는 그 출판 과정의 시말을 文墨萃編 이라는 책을 통해 소상하게 살펴볼 수 있다. 문묵췌편 은 매천과 그 주변 사람들의 글을 모은 책으로, 그 일부가 매천집 편찬과정에서 창강과 그 제자들이 주고받은 서간으로 이루어져있다. 그간 알려지지 않은 출판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창강이 서책을 출판하면서 어디에 주안점을 두었는지 살펴 볼 수 있었다. 창강의 출판 활동은 대부분 조선 문인지식인들의 출자로 이루어졌고 그 대부분은 다시 풍전등화의 조국으로 비밀리에 우송되어 출자한 사람들에게 분배되었다. 이는 출판에 있어서 空前의 패러다임으로 당시 조선의 문인지식인들이 암울한 시국에서 민족 문화의 보전을 위한 방법으로 출판에 동의했다는것과 다르지 않다. 창강은 우리나라 문집에서 가장 정채로운 글을 골라 출판했으며 아울러 한반도의 역 사를 통관하는 사서를 저술했다. 문장과 역사를 아울러 보존하고자 한 것이다. 민족의 위기상황에서 창강은 한반도의 기록문화유산을 출간하는 것이야말로 급선무라고 판단 했다. 다시 말하면 민족 문화의 보존이다. 본고는 문묵췌편 을 분석하여 창강의 출판 과정을 再構하고 이어 창강의 출판 의식의 기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hangkang Kim Taekyoung (金澤榮, 1850-1927) is a writer of Japanese occupation in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In 1905, when Eulsa neugyak(乙巳勒約) was signed, Changkang decided to seek asylum in China. As for the life of Changkang, it was divided into two at its starting point. Changkang came to work after exile at a publishing company(翰墨 林印書局) in Nantong(南通). He published dozens of kinds of books which he engaged in book editing in Nantong, and were related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nd they was mainly supplied in Korea of the colonization time. This report aims to study his publishing activity and the consciousness spread in the its base. As for the book which Changkang published in Nantong, they reached 46 kinds which ranged up to the history, literature, Chinese classics, pragmatic learning, and so on. Still unknown for the details of his publication list, the process of proofreading and distribution, however, as for Maecheonjip(梅泉集) a whole process of the publication is understood in details through a book called Munmuk Chueapyeon(文墨萃編). Changkang published the most outstanding works in Korean collections, and wrote history books which penetrate the Korean history and intended to store all the literary works and the history books at the same time. As an urgent priority, he determined to publish Korean record cultural heritage in the racial crisis situation. In other words, it was preservation of the race culture.This report analyzed Munmuk Chueapyeon and reconstituted a publication process of Changkang, and the writer studied the bases of the publication awareness of Changkang.

      • KCI등재후보

        금형 가공 시 최적 가공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공구수명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박순옥,김민학,이선경,정성택 한국금형공학회 2023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7 No.1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smart factories and factory automatio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a tool life predic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select optimal machining conditions using CNC milling equipment, which is widely used in flexible production and automation. The equipment used in the experiment was Hwacheon Machine Tool's 5-axis machining equipment, and the tool used was a 17F2R tool. For the machining path, the down-milling cutting method was selected and long-term machining was performed. The analysis standard for side wear on the tool was set at 0.1 to 0.2 mm, and tool life data and wear data were obtained in the cutting experiment. The program was created through the data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nd a prediction rate of over 90% was secured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predict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