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김민라(Kim Min R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한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자국의 문화와 타국의 문화까지 확장하여 이해하고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 교육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여 교육의 방향이 학습자 중심으로 지향되어 가고 있다. 언어 사용에 있어 정확성 추구에서 유창성을 강조하게 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어 강조됨에 따라, 1970년대 이후 언어 능력을 문법적 능력 외에 그 언어가 쓰이는 사회와 문화에 관한 지식과 거기에 적합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언어 교육에 있어서도 문법 구조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그로 인해 1980년대 들어와서는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언어를 잘 구사하려면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선녀와 나무꾼」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중ㆍ고급 학습자가 모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 습득에 대한 이해를 하고 비교 문화를 통해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유형으로 '나무꾼 지상회귀형을 선택하였다. Active studies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resulted in increasing cultur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ts importance on understanding and comparison between one's own culture and other's. with active studies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in teaching korean. People showed more interest in culture education and that has been lead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Due to fluency more than accuracy being acquired in communication skill, people have aspired toward the linguistic competence that covers its society and culture beyond grammatical competence since the 1970s. The significance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is highlighted rather than teaching grammatical structure. So culture education has become a big part of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1980s. We cannot exclude cultural understanding to have a great linguistic competence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ed at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intermediate and high level learner's own country and Korea through「A fairy and a woodman」, and chose <A type of Returning to the earth of the woodman> to derive the conclusion that it can bring diverse cultural factors through comparison of culture. Educators should alert learners about Korean cultural elements such as intangible values, Korean sentiment through Korean fairy tales, and what Korean traditional image is, not so much as westernized modern Korea.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법

        김민라(Kim Min R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소설 교육의 일환으로써「허생전」이란 작 품을 토대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허생전」은 연암 박지원이 쓴 『열하 일기』의 「옥갑야화」편에 실려 있는 이야기이다. 허생은 그 당시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의 인물로서, 당시의 비현실적인 명분론과 무능한 지배층을 비판하면서 구체적 행동을 통해 실학사상을 드러내고 있다.「허생전」은 연암의 선비정신과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고전소설로 연암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18세기 후반 조선사회의 모순적 현실을 비판하고 그것을 해결하려는 연암의 의지와 노력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허생전」은 단순한 허구의 소설이 아니라 강한 정치적 비판과 풍자성을 지니고 있어 현실 인식적인 에서도 문학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의 일차적 목적은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있으며, 개인의 문학적 체험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문학 현상은 작가와 작품, 세계, 독자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은 작가와 작품에 반영된 세계의 이해가 그 주류를 이루었다. 그 결과 작품에 대한 접근보다는 작품 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문학 수업이 이루어진 것이다. 고전소설 교육은 그 작품이 창작된 시기에 살았던 선인들의 사유방식을 파악하고 민족 문화를 계승ㆍ발전시키며, 고전소설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고전문학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고 익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문학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통해 미적 감수성과 문학적 상상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전문학의 가치를 학습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편차를 극복하고, 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친숙하고 흥미있게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고전문학 교육의 특수성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높이고 능동적인 감상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에 치중하기 보다는 새롭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여 고전문학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작품에 대한 친근감을 느끼고 교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building a teaching method of Korean for foreigners using the classic novel, <Heosaengjeon>. 「Okgapyajwa 」 in 『yeolhailgi』, which was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contains <Heosaengjeon>. Heosaeng, who is a problem solving character of the day, reveals Practical Thought through actions while criticizing unrealistic justification and the incompetent ruling class. <Heosaengjeon> is Yeonam's major work that formed classical scholar spirit and Practical Thought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t criticizes contradictions of reality of Joseon in the later 18th century and it reflects Yeonam's will and endeavor. In this point of view, <Heosaenjeon> is politically critical and satirical beyond being a work of fiction. It is highly valued in its significance for literature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work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components of literature phenomenon are author, work, world and reader. Literature teaching has had a tendency to teach how to understand the world of the work so that it teaches external knowledge of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work itself.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is to grasp the meaning of ancestor's thinking to inherit and develop cultural, traditions, and to comprehend their literal value.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is not only for putting knowledge to the learners, but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ancestors' literature world, and inspir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literary imagination. It's purpose is also to convey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better, overcome the time variation and have learners to acknowledge classical literature and be familiar with them. Through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eachers should help to get rid of their own prejudice and commune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suggesting diverse opinions but not unilateral knowledge delivery, to elevate learners motivation and to develop appreciative ability about classical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