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노기술이 접목된 차세대 바이오칩 기술의 개발

        김민곤,정봉현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Genome, proteome 연구의 결실로 천문학적인 수의 생물학적 정보를 얻게 됨에 따라 이러한 방대한 양의 생물정보들을 초고속, 고감도로 분석, 탐색, 활용할 수 있는 BT/IT/NT 의 대표적 융합기술인 바이오칩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바이오칩이란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있는 생체분자를 고체상태의 소형박막에 고밀도로 부착, 반도체칩 형태로 제작하여 생명현상의 규명, 신약 스크리닝, 질병의 조기진단 등에 활용되는 기술이라 정의할 수 있다. 기능별로는 DNA 나단백질 등의 생체분자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켜 놓고 다량의 생체물질을 검출, 분석하는 바이오어레이칩과 미량의 분석대상 물질을 흘려보내서 분석하는 바이오플루이딕스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바이오칩 기술은 DNA 칩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단백질칩, 세포칩, 압타머칩, 당쇄칩 등 새로운 바이오칩들이 개발되고 있다. 바이오칩 기술이 질병진단, 생체물질 HTS, genomics, proteomics, 환경예방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기 위해서 바이오리셉터 발굴, 감도향상, 안정성증가, 재현성향상, 무표지감지기술 등 개발해야 요소기술들이 산재하여 있다. 나노기술의 접목에 의해 이러한 기술의 극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나노 크기(10 억분의 1 미터)에 기인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성질과 현상을 이용하는 나노기술은 기존의 것보다 훨씬 개선된 바이오칩 기술이 가능할 것이다. 나노박막, 나노입자, 퀀텀닷 효과, 나노구조체, SPM 측정 등 다양한 나노기술이 현재 바이오칩 기술에 활용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나노기술의 접목에 의한 차세대 바이오칩의 연구동향과 현재 본 연구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바이오칩 기술에 대해 소개하면서 향후 경쟁력 있는 차세대바이오칩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차음벽 구조와 음파 투과손실

        김민곤,부유천 한국외국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기초과학연구 Vol.12 No.-

        차음재의 소음 투과 기구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 정리하고, 차음재의 종류를 균질 홑 판재, 공기를 중간에 둔 이중 판재와 이중 유리, 다공성 물질을 심재로 사용한 샌드위치 판재로 구분하여 적합한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였다. 무한이 넓은 홑 판재의 음파 투과현상은 휨 탄성파와 음파의 일치성(concidence) 효과에 의한 것이고 일치성 주파수는 입사각의 함수이다. 좁은 판재의 투과는 판재의 고유진동수와 수음실의 고유진동수간 정합에 의해 결정되는 일치성 효과로 입사각에 무관하다. 이중판재나 이중유리의 투과기구로 이중벽 공진 효과와 1/4파장 공진 효과가 있음을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규명하였으며, 이들을 대칭진동과 비 대칭진동으로 설명한 샌드위치 판재의 투과이론[J. A. Moore and R. H. Lyon, J. Acout. Soc. Am. 89, 777-791(1991)] 으로 부터 확인하였고, 휨 진동파의 일치성 효과 또한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유한한 이중유리의 일치성 주파수가 후면 판의 특성에만 의존하는 이유는 이중 유리사이의 공기총이 지지한 전면 유리와 수음실이 지지한 후면 유리의 이단계의 '판재와 지지 공간' 개념으로 설명된다.

      • 고압 과학과 고압 발생 기술

        김민곤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부설기초과학연구소 1991 기초과학연구 Vol.2 No.-

        압축이 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고압 기술의 과학 기술적 위상을 가늠하여 보았다. 고압 과학을 고압 발생과 측정 및 응용으로 구분하여 그 발생 방법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2만 기압 정도의 유압 발생 기술과 수십만 기압의 정압 발생 장치인 복식 앤빌 프레스와 띠지지형 맞선 앤빌 프레스 및 수백만 기압의 최고 정압을 발생하는 다이아몬드 앤빌 프레스와 루비 형광선을 사용한 정압 측정법을 살펴 보았다. 압력 발생의 이론적 한계가 없는 충격 압축 방법을 살펴보았다. 화약의 수렴 폭굉을 사용하여 초고압을 발생한다. 충격파의 수렴. 반사는 작은 공간에 초고압을 발생하여, 수렴 위치에 총열을 연결하여 고속 가스총 역할을 한다. 폭굉파에 의하여 가속된 비행체나 가스총탄등 고속 비행체를 충돌시켜 표적에 높은 충격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충격 압축에 수반되는 엔트로피 증가를 피하기 위하여 계단식 다중충격 압축, 가벼운 기체층을 통한 충돌과 가속 압축을 통한 등엔트로피 충격압축이 가능하다. 금속 제트와 단조 비행체 등 고속 비행체는 표적 충돌에 의한 고압 발생에 이용 될 수 있겠다. 폭발 용접은 고압 발생 기기 가공에 응용될 수 있겠다.

      • 적외선 검출 소자와 야시장비

        김민곤 한국외국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기초과학연구 Vol.10 No.-

        주 · 야간 지속적인 감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물체가 복사하는 흑체 복사적외선을 검출하여 영상화하는 전자 광학적 열상장치가 필요하다. 열상장비의 역사적 배경과 기기 구성, 작동원리 및 기능을 분석 해설하였다. 적외선 검출기능, 판독 기능, 신호 처리 및 영상 구성단계로 구분하여 검출과 판독 기능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적외선 검출의 물리적 원리에 따라 각종 소자의 구성 및 특성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검출기능과 판독기능이 분리된 1세대 열상 검출기와 그들이 한 몸체에 결합된 복합소자의 초점면 배열 방식에 따라 1차원 선형 배열의 2세대 검출기와 2차원 평면 배열의 3세대 검출기로 구분하여 각각을 고찰하고 기술적 한계를 논의하였다.

      • 음파와 물질과의 상호 작용 : 유체의 초음파 이완 현상

        김민곤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1993 기초과학연구 Vol.3 No.-

        물질과 초음파의 상호 작용을 요약하여 분자물리학 뿐만 아니라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 연구하는데 초음파 흡수 프텍트로우스코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분자의 화학 반응 뿐만 아니라 분자의 여기 과정 및 구조 변환을 포함하는 반응 이론들을 종합하여 이완 이론을 일반화하였고 초음파 스펙트로우스코피 결과에 맞추어 이완에 관련된 퍼텐셜 준위와 절벽의 높이를 구하는 구체적인 분석 과정을 정리하였다. 물이나 알코홀등 친화성 분자들의 구조적 이완 효과에 대한 지식을 정리하였으며 비전해질 수용액과 전해질 수용액을 구분하여 이완 기구를 고찰하였다. 초음파 측정방법 중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보급된 pulse-echo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데이터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ZnCl₂수용액을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에 의한 퍼텐셜 산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