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미나 - 플렉시블 패키지의 기능과 동향에 대한 연구

        김미자,Kim, Mi-Ja (사)한국포장협회 2010 包裝界 Vol.207 No.-

        최근 포장 분야 가운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의 하나로 플렉시블 패키지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미국 내 포장산업 분야의 경우, 플렉시블 패키지는 약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수요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경제성과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플렉시블 패키지는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플렉시블 패키지의 개발이 이처럼 활발해지는 경향은 경쟁 재료와의 비용에 있어서 우위를 가지면서도 강도, 실링, 배리어 및 기타 포장 특성이 우수하고 높은 그래픽 적용성 등에 있어서 많은 장점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렉시블 패키지의 개념과 국내외 현황을 고찰하고, 플렉시블 패키지의 기능을 분석하며, 앞으로의 동향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최근의 우수 사례와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플렉시블 패키지의 기능은 첫째, 사용의 편의와 소비자 측면에서의 구조적 기능, 둘째, 인쇄 및 시각적 측면의 그래픽 기능, 셋째, 혁신적 포장재 적용에 의한 재료적 기능, 넷째, 자원의 절감과 재료의 최소화, $CO_2$ 감소 및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미래에 더욱 중요성이 강조될 환경친화적 기능을 고찰하였다. 포장 분야 가운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의 하나로서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플랙시블 패키지에 대하여 새로운 재질의 적용,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패키지 기능, 소비자 요구에 따른 기능과 특성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고찰하는 것은 패키지디자인 분야의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고에서는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가 발표한 제15호 논문 가운데 영산대학교 김미자 교수의 "플렉시블 패키지의 기능과 동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미자,오현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 되었다. 2020년 3월16일부터 6월19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28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test,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각 변수의 평균은 학습만족도 4.03±.70, 학습자기효능감 5.69±.82, 전이동기 5.52±.86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은 3.65±.41이었다. 학습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r=.387,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r=.576, p<.001), 전이동기와 문제해결능력(r=.536,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1), 평균성적(β=.12), 전공선택의 개인적 동기(β=-.12), 간호학전공만족도(β=.13), 학습 자기효능감(β=.36)과 전이동기(β=.16)로 변수의 설명력은 41.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해결능력과 관련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received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 of each variable was learning satisfaction 4.03±.70, self-efficacy in learning 5.69±.82, transfer motivation 5.52±.86, and problem-solving ability was 3.65±.41.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r=.387, p<.001), self-efficacy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r=.576, p<.001), transfer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r=.536, p <.001)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problem-solving ability were gender (β=.11), grade point average (β=.12), motivation of personal major choice (β=-.12), satisfaction of major (β=.13), self-efficacy in learning (β=.36) and transfer motivation (β=.16),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was 41.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problem-solv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어린이를 위한 포장디자인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7 No.-

        성장 단계에 있는 어린이는 스스로 선택하거나 판단하는데 있어서 아직 미성숙한 단계에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배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그동안 연구되어온 각종 논문들을 중심으로 논제와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어린이룰 위한 포장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소외되거나 부족한 연구는 어떤 부분인지 고찰하고 지향점과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어린이로 인식되는 4세부터 초등학생인 13세까지의 연령을 대상으로 한 포장디자인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논문정보를 기초로 하였으며 여기에 공개되지 않은 논문의 경우 해당 학회나 학교도서관 사이트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의 이론적 고찰에 의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살펴보고 2장에서 어린이의 특징과 어린이 소비자 시장에 대한 이론적 배경, 3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선행연구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포장디자인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과 키워드를 추출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학위논문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연구 관심사와 영역이 단순 상품포장에서 점차 영역을 확대하면서 깊이 있는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선호도 연구와 같이 구매심리나 소비자행태 등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다. 학술지논문은 수가 적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여 연구동향의 변화 분석은 의미가 없었다.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연구가 미흡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표면디자인과 캐릭터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가 가장 미흡한 부분은 어린이보호포장, 정보전달 관련 부분, 환경 안전성 관련 연구이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Special care and attention for children is necessary because children in the growth stage is premature to judge and choose for themselve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issues to be investigated for packaging design and development for children. Research has focused on th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s in terms of packaging design typically recognized as children from 4 years of age to elementary age of 13 years old. Method of research was mainly done through the reference books and several academic and dissertations, reports an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the internet web-sites.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consumers and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such influence in children's issues and consumer markets. Based on this, the main subject was studied to consider in terms of packaging design for children consumers. First, there is a morphological aspect. Second, usability and safety in structural terms. Safety includes child protection packaging, the packaging is child safety, usability has a convenient structure was studied considering the size, capacity, and usability. Third, in term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brand and product delivery, and the former achieved an important element of the various information and safety caution or product information, nutr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environmental resistance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the one of the functional. Child is the direct consumers and also the indirect consumer affecting the choice of a parent. As the protagonist of future consumption, children should be protected and car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Modification of Isoflavones by Processing and Photosensitization in Model and Food Systems

        김미자,이재환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4 No.6

        Isoflavones are major phenolic compounds found in soybeans and soy-based foods. Healthbeneficial functions of soy food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se phytoestrogenic compounds.Twelve chemical forms of isoflavones are found in soybeans including three aglycones (genistein,daidzein, and glycitein), and their corresponding conjugated β-glucosides, 6''-O-acetyl-β-glucosides, or 6''-O-malonyl-β-glucosides. Distributions of isoflavones in soy foods are dependent on the processing conditions especially the applied thermal energy and moisture contents. Conventional thermal treatment with high moisture and at temperature lower than 100, such as boiling and cooking, transforms 6''-O-malonyl-β-derivatives into β-glucosides via intra-conversion. Dry heat treatment with limited moisture contents such as frying, toasting, baking, explosive puffing, and roasting process increases the formation of 6''-O-acetyl-β-derivatives of isoflavones through decarboxylation from 6''-O-malonyl-β-derivatives. Fermentation with microorganisms or natural products containing high β-glucosidase activity can produce aglycones from β-glucosides in soy foods. New isoflavone metabolites such as 6''-O-succinyl daidzin and 6''-O-succinyl genistin are found in soy-fermented foods with Bacillus species. Major precursors for the generation of these succinyl isoflavones in Bacillus-fermented soy foods are β-glucosides rather than aglycones.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can decrease the stability of isoflavones greatly in model systems and soymilk, which implies that isoflavones in soy foods require proper protection from light exposure to maintain its functional properties in foods. This review was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transformation of isoflavones in soy foods treated with diverse processing methods including thermal treatments, fermentation using natural compounds, microorganisms, and photosensitization.

      • KCI등재

        국내 유통업체의 프라이빗 브랜드(PB) 현황 및 브랜드 전략

        김미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2

        1993년 신세계 백화점이 E-마트라는 할인점을 처음 개점한 이래 15년 동안 할인점은 규모면에서의 비약적인 성장과 함께 매출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점차 심해지는 경쟁 속에서 시장점유율과 유통업체에 대한 소비자 로열티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자체브랜드 상품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의 경우 프라이빗 브랜드 비중이 20%를 넘어서면서 경쟁업체들과의 자체브랜드 상품 수와 카테고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체브랜드의 성장은 세계적인 추세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와 같이 그 비중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대형유통업체 가운데서 매출액을 기준으로 가장 규모가 큰 3개의 유통업계 즉,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를 대상으로 프라이빗 브랜드의 현황과, 각 브랜드의 특징 및 상품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오늘날 PB란 단지 저렴한 가격이 핵심이 아니라 차별화를 통한 브랜드 로열티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역할을 확인하였고, PB 확대에 따른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앞으로의 PB 상품의 브랜드 전략을 제시하였다. PB 브랜드의 범위를 규모면에서 확대하기 보다는 철저히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는 범위에서 브랜드 수를 면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저가 브랜드의 비중보다는 차별화된 프리미엄 브랜드를 강조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브랜드는 업체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기회를 제공하지만, PB의 확장에 앞서 품질을 확보하고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차별화된 전략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Since E-Mart opened at 1993, more and more retail stores were producing with their own label. To ensure against risks and gain customer's loyalty, almost every retailer wishes to increase the share of its private label. Not surprisingly, private labels are growing rapidly over the world. With the private label share increased over 20%, best-selling retail stores try to expand the volume of the private label products and categories. Sales of private labels (those owned, sold and distributed by retailers) have been growing glob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private brands of three top-selling chain stores, E-Mart, Home plus, and Lotte Mart. Private label offers brand managers ways to view private label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ir brands. As a result, the central issue of problems is not about low price but brand loyalty. In conclusion, the research affirms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s is more important than the quantity of PB. Also discriminatory design of PB is a strong method from the strategical point of view. Moreover, Private label also suggests ways retailers can maximize the potential of their own private labels. In every respect, private label will become the key to create profitability and carry out brand loyalty through differenti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