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between Married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김미령(Kim Meer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1차와 4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및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 차이를 비교한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파악을 위하여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나 부부관계 등 청소년기의 부모관련 변인이 사용되었고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적 접근으로 현재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가족패널 4차 년도에 1955년에서 1963년도 생까지인 베이비붐 세대와 4차 년도에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1979년도부터 1992년도 생) 까지가 모두 포함되었다. 이중 연구대상은 배우자관련 변인으로 인하여 두 세대 중 결혼한 자들 만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베이비붐 세대 1,118명이며 에코 세대 328명이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의 영향 파악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결혼관 및 부부역할인식의 차이검증을 위하여는 t-test와 카이자승검증이 사용되었다.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이 세대차이인지 연령차이인지의 검증을 위해서는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공분산분석)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부모의 부부관계, 자신들의 부부관계, 결혼만족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낮았으나 교육, 직업,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가사분담만족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의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은 것은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전통적 결혼관에 영향을 미쳐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결혼관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부관계가 좋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 모두 전통적 결혼관은 낮았는데 그만큼 양성평등적인 결혼관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가족관련 가치관에서 생태체계론적 접근의 미시체계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 between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using the first and the fourth wav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s a theoretical model, social learning theory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Additionally, ecological system theory was used to check whether spouse relation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The target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eco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79 and 1992 in the fourth wave of the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ince this study uses spouse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was limited to only married persons.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118 for baby boomers and 328 for eco boomers. For data analysis t-test, χ2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lso, ANCOVA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were due to generation or 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household chores were higher for eco boomers than baby boomers. On the other hand, spouse rel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for baby boomers. Both generations’ parent relations affected traditional marriage values, which supports the social learning theory. Also, when a woman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spouse, it reduces the traditional marriage value; this supports the micro-system of ecological system theory.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 자원봉사활동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abyboomers' volunteering motiva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benefit on social integration using functional approach.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280 babyboomers who volunteer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mean of functional motivation, each functional motivation group was divided by two. Six functional benefits were then compared by both high and low motivation group. For testing the effect of volunteering on social integr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or sub-functional motivation, social and understanding motiv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and for sub-functional benefit, social and value functional benefit were significant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the motiva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benefit, the effect of volunteering on social integration is different as functional approach of volunteering explains. Thus,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functional approach of volunteering. Therefore for vitalizing babyboomers' volunteering, using functional approach for recruiting volunteers is desirable. 본 연구는 자원봉사의 기능주의 접근으로 자원봉사 동기기능 및 자원봉사 기능유익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의 수도권 베이비부머 자원봉사자 280명이다. 자원봉사 동기기능은 여섯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어있어 동기가 평균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두집단 간 여섯 가지의 자원봉사 기능유익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원봉사특성 및 자원봉사 동기기능과 자원봉사 기능유익의 사회통합감에의 영향 파악을 위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원봉사 동기기능의 하위영역 중 경력동기기능, 이해동기기능은 사회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봉사 기능유익 중에서는 사회기능유익과 가치기능유익이 사회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의 기능주의 접근이 설명하는 것처럼 자원봉사 동기기능과 자원봉사 기능유익에 따라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결과는 기능주의 접근의 자원봉사모델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원봉사자의 충원에 기능주의 접근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KCI등재

        노후연령인지의 다차원성과 성별차이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의 3차와 3차 부가조사를 사용한 연구로 여성과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비교하고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을 사용하여 신체적인 노후시기, 사회․제도적인 노후시기로 은퇴와 연금을 수령하는 시기, 가족생애주기인 자녀를 모두 출가 시키거나 첫 손주를 봐 조부모가 되는 시기, 전통․문화적으로 회갑이 되는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은 노후보장패널의 3차 시기인 2009년에 만 60세 이상이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여성 2,792명, 남성 1,952명으로 모두 4,744명이다. 연구방법으로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파악을 위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체적 노후시작과 사회․제도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은 남성이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과 전통․문화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이 높았다.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연령, 교육, 가계총수입, 직업 및 신체적 노후, 사회제도적 노후,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은 남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심리적 건강은 여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구적 일상생활능력과 주관적 신체건강은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노후연령인지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은 남녀 모두 신체적 노후시작 시기였으며 그 다음이 역연령으로 노년기의 신체적인 노후가 역연령보다 노후연령을 인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으며 생태체계이론은 노년기의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소 파악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역연령 뿐 아니라 노후연령인지의 노년기의 삶의 질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used the 3rd and 3rd additional wave​​ of pane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As an analytic framework, Bronfenbrenner's eco-system theory was used. As categories of ecosystem, the period of grand parenthood as a family life cycle, retirement or pension receiving time as socio-institutional period and 60th birthday as cultural-traditional period were used.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60+ in the 3rd wave collecting in 2009 and the sample size ​wa​s 4,744(women=2,792, men=1,952). As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for both gender, age, education, gross family income, job and beginning variables of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However, psychological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women, and IADL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men. When comparing βs of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physical health variable is the most effective on the perceived old age and​ chronological age is the second most​ effective​. The result indicated that eco-system theory can be appli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For future study, both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old 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 KCI등재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3

        본 연구는 준고령자(55-64세)와 고령자(65-74) 두 집단의 은퇴 후의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 및 영향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09년에 수집된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표본크기는 준고령자 396명, 고령자 912명으로 1308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인 틀로 스트레스과정이론(Stress Process Theory)이 사용되었다. 은퇴만족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모든 대상이 은퇴경험자로 은퇴는 통제된 것이다. 은퇴만족도의 영향요인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적인 변인이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으며 은퇴관련 상황변인으로 은퇴유형, 은퇴이유, 은퇴장단점이 사용되었고 대처자원으로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인 여가활동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은퇴관련변인 중 은퇴유형, 은퇴장점, 은퇴단점은 두 집단 모두에게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고 있다. 둘째, 대처자원으로 경제적 독립과 여가만족은 두 집단 모두에게 은퇴만족도에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자녀취업은 준고령자에게만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은퇴이유인 건강악화와 공적연금수급 및 여가활동은 고령자에게만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은퇴만족도의 영향정도를 비교한 ß를 보면 준고령자와 고령자 모두 여가만족이 은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두번째는 은퇴단점인 경제적 어려움이 은퇴만족도를 낮추었으며 다음은 경제적 측면으로 준고령자 집단에서는 자녀의 취업이, 고령자 집단에서는 경제적 독립이 은퇴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다. 연구의 함의는 은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은퇴 후에도 경제적인 자립을 할 수 있는 노후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노후준비가 경제적인 것 뿐 아니라 사회적인 여가활동의 활성화로 은퇴만족도를 높이는 것 등 은퇴 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원들이 경제적, 사회심리적인 모든 영역에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were compared by the age groups who were older than 65(older adults: 65~74) and younger than 65(semi older adults: 55~64). Also, the degree to how the retirement satisfaction was affected was compared.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of Korea Panel of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396 for semi older adults and 912 for older adults (65+). For testing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Stress Process Model of Adaptation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types and causes of retirement, and pros and cons of retirement were used. Also, for adjustment variables, spouse and children's work status, semi and young older adults' economic statu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for semi older group, children's employment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However, for older adults group, public pension, leisure activity and the economic hardship of retirement were main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Also, the economic hardship was the second most negative factor of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The economic independence and psychosocial preparation such as involving in leisure activities helped the adjustment after retirement.

      • KCI등재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중고령자와 고령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악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다양한 삶의 질 구성 요소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차이점을 분석하여 성공적 노후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2009년)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남성고령자, 여성고령자, 남성중고령자, 여성중고령자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6849명이다.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를 위하여는 카이자승검증과 ANOVA가 사용되었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네 집단 중 여성고령자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삶의 질 등이 가장 열악하게 나타난 반면 남성중고령자는 삶의 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결과에 의한 제언은 첫째, 기대수명의 증가와 성별에 따른 평균수명의 차이로 고령화사회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이 가장 열악하므로 여러 방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노후대책은 네 집단 모두 상당히 열악하여 머지않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우리나라의 노후대책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셋째, 여가활동만족은 모든 집단의 삶의 질에 가장 높은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중고령자의 은퇴시작과 고령자의 은퇴 후 늘어난 여유시간의 활용을 통한 만족감 증진이 필요하다. 넷째, 직장유무와 노후준비유무에 따라 삶의 질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은 남성고령자 집단이 유일하며 기대수명의 증가와 예전의 노년기보다 비교적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현대의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y age and gender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The third wave of Korean Panel of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as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6,849 and it consisted of four groups: middle aged men and women and older men and women.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ANOVA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If the differen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sher LSDs were used for post-hoc test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check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older women were the worst group in regards to the quality of life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best group for quality of life were middle aged me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women were among the worst of the four groups, the life style of older women should improve due to women's longer life expectancy than men. Secondly, the preparation for older life was very poor for all groups, which is an issue. Thirdly, since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group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surplus times. Finally, job and preparation were important factors for older men. Older men who are still healthy can expect to live longer than previous older adul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mployment among older adults, it is an issue. Therefore, creating jobs for older adul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 KCI등재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1

        This study uses Rowe and Kahn's successful aging model which consists of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high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nd engagement with life. It examines how these thre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older women who are older than 60 and reside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10. To examine the age group(60+: young old, 70+: middle old, 80+: old old) differences, ANOVA are used. To check the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and residental status, t-test and χ² are used. To test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used. When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ging, marital status and residential status are controll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health, IADL, 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age groups. Also,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hysical and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IADL, 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marital status. Furthermor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residential status. The factors which consist of successful aging explain about 40% of variance of the life satisfaction. The perceived health, education, job and religious activit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the social isolation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There are statistically different effect of the residential status on th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사용하여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ㆍ인지기능, 사회활동참여 등의 성공적 노화요소가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10명이다. 노인의 연령은 60세 이상을 초기노인, 70세 이상을 중기노인, 80세 이상을 후기노인으로 하여 연령군에 따른 성공적 노화요소의 차이를 조사하기위해 ANOVA 검증을 하였고 배우자유무 및 가족과의 동거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요소의 차이를 보기위해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을 사용하였다. 성공적 노화요소의 삶의 만족도에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 배우자유무, 가족과의 동거여부가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군에 따라 인지건강, 신체활동수준, 교육수준 및 사회적 소외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배우자유무 및 가족과의 동거여부에 따라 신체ㆍ인지기능과 교육, 사회적 소외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성공적 노화의 세 구성요소인 장애 및 질병, 신체ㆍ인지기능, 적극적 사회활동참여는 삶의 만족도 변량을 약 40%정도 설명하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지건강, 교육, 직업활동, 종교활동 등이며 사회적 소외는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를 높였고 가족과의 동거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What makes women in their 50s feel depressed?

        Kim, Meeryoung(김미령)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4차와 5차의 자료를 사용한 연구로 중년여성들의 개인적 변화, 자녀관계 변화 및 배우자관계의 우울에의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여성가족패널 4차자료 수집시기에 만 50세에서 59세까지의 50대 여성 1,047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변인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위하여 표준화 회귀계수인 β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은 5차의 우울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종교가 있는 50대 여성은 종교가 없는 여성보다 우울이 낮았다. 건강변화, 자녀 출가,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관계는 우울을 유의하게 낮추었고 스트레스 변화, 배우자 은퇴와 배우자와의 갈등은 우울을 유의하게 높였다. 50대 여성의 배우자와의 좋은 관계는 우울을 유의하게 낮춰 긴 노년기를 보낼 50대 여성의 배우자와의 좋은 관계는 심리,정서적으로 중요한 노후준비의 한 영역 임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sonal changes, child relation changes, and spousal relationships on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using data from the 4th and 5th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47 women in their 50s, aged 50 to 59 years, at the time of collecting data for the 4th wave of the Women s Family Panel in 2012.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β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in the 5th wave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tudies have shown that middle aged women in their 50s with religion have lower depressive symptoms than women without religion. Health, paren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spous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lowered depressive symptoms. Stress and spouse retir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Middle aged women who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had significantly lower depressive symptoms and this also helped to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prepare for retirement.

      • KCI등재

        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적 특성의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연령인지의 매개효과

        김미령(Kim, Meer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적 특성의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연령인지의 삶의 만족도에의 매개효과를 파악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7차 패널자료 조사 시 만65세 이상으로 표본 크기는 3,489명이다. 노인의 신체적 요소로는 주관적 신체건강, 심리적 요소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요소로 대인관계와 직장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역연령은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독립변수로 사용되었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바론(Baron, R. M.)과 케니(Kenny, D. A., 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체건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는 모두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를 높였다. 또한 직장유무에 따라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표준화회귀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직장유무에 따른 노후연령인지 영향 차이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역연령, 주관적 신체건강,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순이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정도를 보면 신체건강, 직장유무, 결혼유무, 자기효능감 순이었다. 노후연령인지는 주관적 신체건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직장을 모두 부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역연령이 노후연령인지를 높이는데 유의한 것은 노인들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인임을 인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후연령인지를 높게 보는 것을 통하여 노인의 연령 상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 볼 때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uses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panel data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old age,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it has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years old or older at the 7th panel survey and the sample size was 3,489. Subjective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workplac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Since age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old age, age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for data analysis, and Sobel test of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ubjective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ll increased the recognition of old age, and having a job or no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ising the recognition of old age. When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old age whether they have a job or no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ge, subjective physical heal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The recognition of old ag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y partially mediating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Age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ed the recognition of old age. This implies that older individuals are not aware that they are older as they get older. As Korea will be considered a super-age society by 2025, it may be time to redefine old age, from 65 to 70.

      • KCI등재

        Preparation for Old Age as a Measure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Baby Boomers

        Kim, Meeryoung(김미령),Park, Linda(박린다)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4 No.1

        Rowe와 Kahn의 성공적인 노화 모델은 묵시적 서구 문화적 편견에 의한 것으로 교차 문화적 관점에서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성공적 노화모델은 연금제도가 확립 된 미국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1988년부터 국민연금제도가 시작된 한국에서도 가능한 모델인지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노후를 위한 정서적, 사회적, 재정적 준비를 포함하는 것이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본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테스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로우와 칸이 성공적 노화의 요인으로 생각하지 않은 노후준비 중 사회적 준비와 재정적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차 문화적 관점에서 성공적 노화모델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로 성공적 노화 모델의 확장을 제시하였다. Rowe and Kahn’s model of successful aging is criticized about implicit Western cultural biases creating difficulties to apply within a cross cultural perspective. Since this model was developed in the U.S.,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is model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emotional and social preparation but also how the inclusion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ffects successful aging of Korean baby boomers using individual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i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test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For Korean baby boomers, preparation for the aging period, which Rowe and Kahn do not consider as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aspects affecting successful aging. This cross-cultural perspective expands the model with strong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손자녀 돌봄노동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손자녀 돌봄노동을 담당하고 있는 조부모 379명이다. 본 연구는 펄린(Pearlin et al., 1990)의 스트레스과정모델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돌봄노동을 담당하는 노인특성, 돌봄상황 스트레스원, 돌봄 파생스트레스원 및 대처자원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변인군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기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부모 관련 변인 중 신체적, 심리적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돌봄상황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돌봄파생 스트레스원인 자녀와의 갈등은 삶의 만족이나 우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자녀와의 갈등이 손자녀 돌봄노동을 담당하는 조부모의 복지에 중요한 영향요소임을 알 수 있다.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은 우울보다는 삶의 만족도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used the KReIS and focused on the 379 grandparents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The study used Pearlin et al.(1990)'s stress process theory which consists of contexts, primary stressors, secondary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With using Pearlin et al.'s stress theory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f grandparents who take care their grandchildren were examined. As a positive effect, life satisfaction was used and for measuring negative effect, depressive symptoms were used. Grandpar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grandparents are very important when considering "off time" caregiving role. Primary stressors, which are caregiving situation such as period and time of caregiving,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However, the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which is secondary stressor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outcomes. When they do not have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it affected positively and if they had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it affected negatively. Overall the effect of caregivng of grandchildren explained mor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than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