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여성주의 교육과 남학생들의 저항

        김미덕 ( Mi Duk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1

        대학교 여성주의 강좌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성 정체성에 따라 여성주의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다르다. 일반화는 어렵지만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성주의에 대한 민감성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대학생들의 여성주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떤 여성주의 교수의 전략을 통해 여성주의 강좌를 수강하는 남학생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 강좌에서 학생들의 토론, 에세이, 영화 비평 등을 분석하였다. 남학생들의 저항은 세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성주의에 반감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경우, 둘째, 남성 중심적 사고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그렇다고 여성주의를 지지하지도 않는 경우이다. 이는 가장 대중적인 반응이며 분석과 성찰의 어려움과 함께 양성 평등, 차이의 인정과 같은 규범적 수위를 강조하는 도덕적 환원(moral reductionism)을 보인다. 셋째, 계몽된 남성들로서 여성주의를 지지하지만 자신의 자연화된 특권을 교정하려는 노동은 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 글은 이러한 저항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억압을 강조하면서 공감을 의도하는 대중적인 방법은 한계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전략은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재생산하고 피억압자의 인식론적 특권 때문에 공감 또한 그렇게 수월하게 실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필자는 학생들 자신의 생활과 삶이 어떻게 복잡한 수위의 가부장제와 얽혀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학생들은 성역할의 강제라는 가부장제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남성에게 강제되는 불편함을 가부장제로 집약하지 못하고, 남성으로서 물리적·심리적 특권의 현실에 대한 검토보다는 역차별 문제로 다시 한 번 성별 대립, 혹은 여성에 대한 비판으로 환원하는 경향이 많다. 대개 가부장제가 남성=가해자, 여성=피해자라는 도식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가부장제가 남녀 문제 이상의 권력 관계의 장이라는 이해, 동성 간에 발생하는 권력 위계 문제, 심리적 테러, 여성의 가부장적 성역할의 내면화,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가하는 불편함과 장기적 · 구조적 특권등의 다층적 현실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학의 여성주의 강좌로 학생들의 의식의 변화나 생활의 실천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인데, 다만 교수자로서 남성페미니스트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회의하기보다 최소한의 범위에서 성찰의 장을 제공하고 여성주의 분석의 초점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Due to the difference in gender identity,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receptiveness to feminism in feminist courses at universities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lthough generalization is difficult,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female students,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are much more receptive and favorable to femi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approaches and strategies in feminist pedagogy could be applied in college settings to address and reduce male students` resistance toward feminism.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analyzes various academic literature as well as students` lecture discussions, essays, and movie reviews in relation to feminism. The resistance held by male college students toward feminism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types. The first type shows no hesitance in demonstrating his antagonism toward feminism. The second type neither asserts his patriarchal notions nor displays any support to feminism. This type is most commonly displayed by male students and such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by ‘moral reductionism’ in which they face difficulties in analyzing and reflecting on their lives in a patriarchal society, while employing normative statements such as gender equality,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women`s rights. The third type is so-called enlightened and therefore supports feminism; however, he does not go to the extent of relinquishing his power and privileges in a patriarchal society. In the attempt to reduce male students` resistance, I pinpoint the limitations of focusing on both women`s oppression and the strategy of compassion. By focusing on these two matters, it will only reproduce stereotypical sex role. Besides, compassion is not easy to practice as it ought to due to the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oppressed. I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space where male students could reflect on their own daily lives in relation to the existing societal complexitie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terestingly enough,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re aware of the fundamental features of patriarchal system or enforced sex role. However male students have difficultie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enforced masculinity to patriarchy. Moreover, instead of acknowledging the exhaustive list of their privileges, they tend to revert back to the question of reverse discrimination, or pinpoint women`s internalization of patriarchy. It is manly because patriarchy is considered as the notion of ‘men as oppressors, women as victims.’ To solve this problem, I demonstrate the need to examine the multifaceted realities of patriarchy such as problems of power relations within same sex, psychological terror, women`s internalization of patriarchal sex role, and males as victims and their institutional privilege. Although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male students who have attended women`s studies practice feminism on a regular basis, it is necessary for feminist lecturers to accurately present the focal point of feminism, and to provide ample opportunities for them to analyze and reflect on their lives in relation to the existing patriarchal system.

      • KCI등재

        연구논문 : 인류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권력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 성찰적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김미덕 ( Mi Duk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의 목적은 인류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권력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다. 인류학 지식 역사에서 객관적인 지식 창출로부터 권력 메커니즘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와 재현의 문제, 그리고 성찰적 연구의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의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는 구조화된 위계를 인정하고 어떤 수위에서든 연구 참여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근본 원칙을 환기할 때, 연구자가 윤리에 대한 강박으로 인한 부작용과 위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성찰적 연구는 연구자의 정체성과 고백을 드러냄으로써 재현에서의 비위계성을 강조하고, 양식 면에서도 연구 참여자뿐만이 아니라 연구자의 정체성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게다가 연구자 자신을 드러내는 겸손과 윤리성이 돋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인식론의 측면에서 연구자의 자기 현시라는 권력관계 및 계급성의 문제가 있다. 타자가 아닌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비특권적 지위를 고정시키고 연구자의 특권을 재생산한다는 것이다. 둘째 기능적인 면에서 성찰을 자기 고백과 혼동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에 대한 자세한 서술로만 그치고, 이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 글은 권력 메커니즘과 성찰적 연구에 대한 검토 및 비판을 통해, 인류학 연구에서 연구자가 누구를, 무엇을 위해 연구하는가라는 원론적 질문이 더욱 엄격하게 행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power mechanisms which anthropological researchers may confront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nthropological research. First I explain how the production of objective knowledge has been historically transformed discursively into power mechanisms in anthropology.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of research, are th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flexive writing. In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researcher to the research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mobile structural power hierarchy which stands between them. Prior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ed can make a researcher lessen hypocrisy and side effects caused by ethical compulsion in the knowledge production. The reflexive writing style,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figure out ethical dilemmas, is quite interesting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the identity of researcher her/himself and an assumed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ed. Reflexive writing also looks more interesting than socalled objective knowledge due to the researcher`s humility and ethical attitude.

      • KCI등재

        공감, 정체성,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

        김미덕(Kim, Mi-Du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최근 인문사회과학계에서 이성과 감성의 이항대립을 비판하고 감성의 문제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공감, 연민, 사랑, 소통 등의 언술이 공동체와 교육의 대안적 사유로 회자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언술들이 감상주의적으로 읽히면서 립서비스 차원이나 종교적 규범으로 읽히는 경향을 경계하고, 공감이 매우 행하기 힘든 사회적 실천이라는 자각, 이유,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를 살펴본다. 공감이 어려운 데는 수많은 이유가 있다. 개인의 품성, 무관심, 고통을 낳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미인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이 글은 우마 나라얀이 지적하고 있는, 피억압자가 겪는 억압과 부당함의 ‘감정적 반응’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그렇다고 해서, 공감이 실행하기 어려운 사회적 실천이기 때문에 포기하거나 회의하지는 않으며 정반대로 매우 긴급한 사회적 실천이라고 주장한다. 다만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 감정이입, 역지사지, 동일시를 넘어서는(혹은 포함하는) 탈동일시를 제안한다. 탈동일시는 1990년대 중반 이래 호세 무노즈, 릴라 페르난데스, 로즈메리 헨네시, 호세 메디다 등의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논자에 따라 맥락, 수위, 주장이 다르지만 정체성이 핵심적 자원이며 주변부 집단의 저항 전략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탈동일시는 기존의 이데올로기 및 주류 정체성에 동일시하거나 그에 대한 반동일시의 형태 양자를 비판하고, 그들의 이분법적 대립항 자체를 벗어난 존재론적 혹은 저항적 양식을 뜻한다. 정체성 정치와 변혁의 문제를 고민한 헨네스와 페르난데스가 주장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탈동일시 주체는 소수자 정체성을 저항의 준거점으로 삼지 않는다. 탈동일시 주체는 특정 정체성 자체가 아닌 역사적으로 구성된 경험에 대한 분석 능력을 강조하고, 성별, 인종, 계급 등과 같은 사회적․외피적 정체성과 자아의 분리를 주장한다. 더 나아가 보편적 자아로서의 영적 자아로의 변화도 염두하고 있다. 이 영적 자아는 신비주의적 가치라기보다 에고 중심의 자아에 대한 집착을 탈피한 일상적, 윤리적 실천 을 뜻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실천하기도 상상하기도 힘들지만, 이와 같은 변혁 이 실천되었을 때만이 장기적․제도적 사회변화의 가능성 또한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e interest in emotion has been intensified with a critique of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emotion. Compassion, empathy, love and communication are being suggested as alternative discourse and thoughts for a better society. In spite of the widespread acknowledgement of the noble value of those terms, they have also been seen as divorced from practical application. There are many reasons of difficulty in practicing compassion. individual personality, non-recognition of the structural nature of suffering, ignorance, indifference to others, the essential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suffering and the plurality of identities. Drawing on feminist thinker Uma Narayan. I demonstrate the key reason is that outsiders doesn"t share the subtle emotional responses to violence and oppression inflicted on marginal social groups. Based on the realization of how hard we can feel compassion toward others/underprivileged social groups, I suggest a disidentification strategy for a way to practice compassion, which is different from empathy, love, and identification. The concept of disidentification has been suggested by some scholars such as José Esteban Muñoz, Rosemary Hennessy, Leela Fernandes, and Josè Media in U.S. academia since mid-1990s. Disidentification refers to a third way of resistance or survival strategies the minority subject practices, which is beyond identification and countersidentification to mainstream ideology․society. Drawing on Hennessy and Fernandes, I focus on two levels of disidentification in terms of compassion. First, it needs a critical discourse to better understand underprivileged social, historical experiences and positions. Second, we need to separate a spiritual self and socially given, superficial identities such as sex, nation, class, and caste. It includes the need to engage in a continual process of self examination ad self-transformation in Fernandes’s term.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practice such a process. However, it is a process that overcome the opposition and privilege which identity politics assumed, and promote compassionate practice for long-term and institutional soci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