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자적 시각으로 본 한국사회의 계급갈등

        김문조 ( Mun Cho Kim ),김남옥 ( Nam O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7 담론 201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접근을 통해 오늘날 한국 계급갈등의 내면을 파악해보려는 것이다. 즉, 내부자적 시각(insider`s view)에 의거해 현존 계급갈등의 내재적 특성과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자료는 국민대통합위원회가 <한국형 사회갈등 실태진단 2차 연구>를 위해 2015도에 전국 성인 남녀 1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IDI/FGI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내부자적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의 계급 상황은 격차, 경쟁, 불신, 불만, 불안, 좌절, 갈등과 같은 어휘들로 진술되어 온 외부자적 관점에 의한 진단보다 훨씬 우려스러운 상태임이 드러났다. 단절, 사투, 적의, 원한, 강박, 포기 및 정죄와 같은 감지적 개념(sensitizing concepts)들로 묘사할 수 있는 주관적 계급 상황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적 삶이 극한적 생존투쟁의 장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부정적 감정이 격화되고 있고, 갈등의 표적도 날로 구체화되어가는 경향도 포착되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일련의 개념에 준거해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현실을 한마디로 응축한다면, 불공정한 경쟁으로 인한 열패감으로 대중적 울분이 팽배해가는 고위험 상황으로 규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aspect of class conflict of Korean society from an insider`s view depending on FGI and IDI. It is based on the data from 「Report of the Second Study of Social Conflict in Korea」 conducted by Presidential Committee for National Cohesion in 2015. According to the past research, class relationship between upper and lower echelons in Korea has been represented by such terminologies as gap, competition, distrust, discontent, anxiety, frustration that lead to social conflict. However, seen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the situation turns out to be much worse than it appears to be. The subjective or intersubjective inner world of class conflict, characterized by a those sensitizing concepts including disconnection, battle, hostility, resentment, obsession, give-up and condemnation, implies that whole society is a grand contested terrain of extreme struggle for existence. In addition, due to high social injustice and social distrust, class antipathy tends to be growing to the point that inter-class communications or collaborations are hardly feasible. To sum up the current class-landscape in light of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approach, Korean society is shifting toward the state of high risk being saturated with massive social inferiority coupled with a mixed feeling of anger and despair.

      • KCI등재

        한국사회의 계급갈등과 통합 -분배와 인정을 넘어서

        김문조 ( Mun Cho Kim ),이선우 ( Sun Woo Lee ),장안식 ( Ansik Ch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4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계급갈등 현황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갈등 해소를 위한 대안을 폭넓게 탐색해 보자는 동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우선 일상적 분쟁이 심각한 갈등으로 비화하는 오늘날 시대 상황을 ‘불안’ 테제를 중심으로 개관한 후, 계급갈등의 성격, 원인 및 진전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면서 갈등 해소의 기본원리와 실천 방안을 탐지하였다. 아울러 1200 여명의 전국 성인 표본을 대상으로한 서베이 자료에 근거해, 이론적 논의에서 도출된 주요 명제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그 내재적 함의를 검토하였다. 단절된 계급들 간의 대결적 상태로 특징지을 수 있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갈등은 분배론과 인정론을 주축으로 한 기존 설명체계를 넘어선 확장된 설명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응보적 정의론에 입각한 사법적 접근, 분배적 정의에 입각한 복지적 접근 및 회복적 정의에 입각한 화해적 접근을 주축으로 한 새로운 사회통합 모형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경험적 조사 결과를 적용해 오늘날 한국인의 사회통합 욕구를 분석한 결과, 복지적 접근에 대한 욕구가 나머지 두 가지 접근으로 분산 병합되어, 법적·초법적 논리에 준거한 배상적 방안과 심정적 공감에 기초한 화해적 방안이 고(高)불안 시대에 배가되어가는 계급갈등의 극복을 위한 유력한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le alternatives for dealing with conflicts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class conflicts in Korea. First of all, after the overview of the current society in the light of the insecurity thesis in which a trivial conflict can be transformed into a more serious conflict, we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plans in th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causes, and the process of the class conflict. Based on data from 1,200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major proposi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Today’s Korea society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a tense standoff among segregated classes needs an explanation of expansion that exceeds beyond the current theories of explanation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distribution. Therefore, we framed a new social integration model focusing on a legalistic approach based on retributive justice, a welfare approach based on distributive justice, and a reconciliatory approach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Study findings indicated the desire for a welfare approach was divided into two other approach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a liability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legal or supra-legal and a reconciliatory approach which is based on the emotional sympathy are the powerful alternatives that can resolve the rising conflicts in the state of high insecurity.

      • KCI등재

        융합사회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김문조(Kim, Mun C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교접-혼합-변성-창발-분리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듭하는 초(超)복잡계로서의 융합사회는 혼돈, 단절, 방치 현상을 중심으로 한 “잉여의 문제” 및 불화, 격리, 추방을 중심으로 한 “불균형문제”라는 양대 도전과제에 직면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융복합적 과제들이 돌출하는 이 같은 새로운 사회현실은 고전적 진화론이나 그 단순한 외연에 불과한 확장적 진화론으로는 적절히 규명될 수 없다. 대신, 비선형적 공진화 모형에 근거해 생명계를 넘어 물질 세계까지를 설명 체계에 귀속시켜 사회질서의 역동적 진전과정을 이해하려는 “포괄적 진화론”을 통해 온전히 해명될 수 있으리라 본다. 포괄적 진화의 촉진방안으로는 융합 엔트로피의 축소 및 융합 거버넌스의 구축을 제안할 수 있는데, 이들 방안은 사회 구성원들의 개별적 의사소통 역량을 최대한으로 보장하는 인본적 소통상황에서의 융합적 합리성 증진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Convergent society, as an outcome of the repeated processes of meeting, mixing, changing, emerging and dividing, is expected to face two strands .of challenging tasks; “problems of excess” and “problems of imbalance.” Those problematics may not able to be explicated either by classical evolution model or its extended versions. Instead, “inclusive evolution model” which takes into account all elements of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and non-human on the basis of non-linear co-evolutionary scheme will do a better job in explaining such a new social reality. In order to accomplish inclusive social evolution, two basic strategies are suggested; reducing convergent entropy and building convergent governance. Both are thought to be realiz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convergent social rationality” under the auspice of humanitic speech condition, that seeks to activate the communicative potential of every individual of a society on a maximum level.

      • KCI등재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바다

        김문조(Kim, Mun-C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0 No.-

        사회학은 지금까지 바다보다 지상에서의 인간 활동을 중시하는 ‘육지편향성(terrestrial bias)’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군사적 이점이나 해로 확충을 위한 영유권 분쟁, 혹은 해양 오염, 해수면 상승 및 엘니뇨 현상과 같은 신종 환경위기에 대한 우려가 가중되면서 바다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1)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육지편향성의 기원과 추이를 간략히 개관하고, (2) 해양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동향을 점검한 후, (3) 해양이지적 탐구 대상을 넘어 새로운 연구 관점으로 발돋움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4) 디지털 시대에 들어서면서 해양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학 패러다임이 절실해 질 것이라는 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해양에 관한 사회학적 탐구는 연안지역, 해양자원, 해양산업, 해양분쟁 및 해양사고 등에 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정보화나 세계화와 같은 거시적 사회변동으로 유동성을 더해가는 근자에 들어와서는 해양을 탐구 대상으로 삼아온 지난날의 연구관행을 넘어선 새로운 해양사회학이 요청되고 있다. 유동성이나 이동성을 감안한 유변학적 관점이 개방화・유연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의 역동적 현실과 선택적 친화력을 지닌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소한 유전자에서 무한대의 우주에 이르는 만물이 데이터화하는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사회활동의 공간이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넘나들게 되면서, 체성, 물성 및 운동성까지 포괄하는 혁신적 상상력에 기초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의 해양사회학이 각광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value of the sea as a social space has long been ignored in sociology due to its strong terrestrial bias. That is why marine sociology has not firmly established as a subfield of sociology yet. Currently, the ocean emerges as one of promising topics of sociological research, since the ocean is now taken to be a repository of natural resources, a zone of international dispute or a site of ecological crisis.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the sociological study of the ocean. After a brief introduction of past marine sociology which used to regard the ocean or costal areas as a main object of inquiry, two additional types of marine sociology is suggested; one is "marine sociology 2.0",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taking such characteristics of the sea as fluidity, mobility or liquidity into account in order to make it more appropriate for analyzing dynamic and flexible social reality of today. The other is "marine sociology 3.0," containing special qualities of imagination analogous to those of the deep sea such as volume, materiality and movement, that will do a pretty good job understanding our upcoming society called "the world of big data".

      • KCI등재

        복잡계 패러다임의 특성과 전망

        김문조(Kim Mun-Cho) 한국과학기술학회 2003 과학기술학연구 Vol.3 No.2

        이 논문은 최근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물론이요 사회과학과 더불어 인문예술 영역에 이르는 방대한 학문 영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복잡계 패러다임의 특성과 전망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흔히 ‘전체론적 세계관’이라든가 ‘심층생태학적 관점’ 등으로 대변되는 복잡성 패러다임은 개방체계적 사고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것으로서, 일차적으로는 개방성, 성장성, 가형성, 否(부)의 엔트로피, 적극적 환류, 자기규제성, 자기목적성, 등종착성과 같은 개방체계적 속성을 함유한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간 학제적 경계를 초월해 활발히 진전된 복잡계론은 종전의 개방체계론적 논의 수준을 넘어서는 새로운 착상이나 증거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온 바, 여기서는 (1) 복잡계 이론이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전개과정을 간략히 개관하고, (2) 비평형성, 비선형성, 소산구조, 자기조직성, 프랙탈 기하학, 자동생산성 및 공진화와 같은 복잡계의 주요 특성들을 논의하며, (3)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을 사례로 복잡계 패러다임의 사회과학적 적용을 검토한 후, (4) 복잡계 패러다임의 함의와 전망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Complexity paradigm is a scientific amalgam that aims to unite a range of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research agendas acros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Proponents of complexity paradigm lay claims to an increasing number of areas of study, including artificial life, interpersonal networks, internal/international patterning of organizations, mapping of cyberspace, etc. All of those can be subsumed under the title, "complexity tum." Owing to the idea of open system, complexity paradigm has developed a number of new concepts/themes/perspectives that help to account for the complex mechanism of living and non-living creatures. A complex system comprises a number of properties such as disequilibrium, nonlinearity, dissipative structure, self-organization, fractal geometry, autopoiesis, coevolution. Following a brief introduction to theoretical development, those properties are succinctly discussed. The complexity turn has provided a wealth of insights that enable to analyze system operations of any kind. It contributes a lot to illuminating the working of social system as well. The most remarkable attempt may be Niklas Luhmann's 'neofunctional system theory.' Merits and shortcomings of complexity paradigm were examined and its future prospect were assessed with the conclusion that complexity paradigm would continue to be useful both as effective transdisciplinary framework and powerful analytical tool.

      • 한국사회의 갈등과 통합

        김문조(Mun Cho Kim)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통합연구센터 2022 사회통합연구 Vol.3 No.1

        갈등은 시간이나 장소를 불문한 모든 사회에 상존해 온 보편적 현상에 속한다. 하지만 임계점을 넘어선 과도한 갈등은 사회체계의 존립이나 안정을해치는 심각한 위험 요소로 간주되어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 방안들이지속적으로 모색되어 왔다. 냉전구도 하에서의 첨예한 이념 대립, 압축적산업화의 부작용, 파당적 통치체제, 폐쇄적 문화 전통 등으로 숫한 갈등을체험해 온 한국사회는 최근 고조되는 불확실성과 계급적 균열로 ‘갈등공화국’으로 지칭되는 우려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사태의배경 요인에 해당하는 사회불안, 갈등의 주요 원천인 사회격차 및 그 부정적결과로서의 사회갈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한 후,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한다. 응보적 정의에 의한 징벌적 접근, 분배적 정의에의한 복지적 접근 및 인정적 정의에 의한 포용적 접근이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사회 갈등 해법이다. 그러나 전투 상황에 비견될 만큼 악성화 되어가는요즘 한국사회의 갈등은 회복적 정의에 의한 화해적 접근이 보강되어야 화합적 통합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 결론이다. Conflict is a universal phenomenon that exists in all societies regardless of the times or places. However, excessive conflict beyond the critical point has been recognized as a serious threat to a society, and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devised in order to resolve the social conflict. Korean society, which has experienced numerous conflicts due to sharp ideological confrontation under the Cold War, side effects of compressed industrialization, partisan governance, and closed cultural traditions, has recently shifted to a worrisome state referred to as a 'conflict republic' due to rising social uncertainties and class disparity.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is current condition in terms of social anxiety as a background factor, social inequality as a causal factor and social conflict as a consequential factor, and discusses social integration measures to resolve the conflict from various viewpoints. Until now, a punitive approach based on retribution justice, a welfare approach based on distributional justice, and an inclusive approach based on recognition justice have been widely known as effective solutions to social conflict. From this study, however, it is turned out that the recent social conflict in Korea, worsening to an extreme form like a state of a war, is able to enter a path of harmonious integration only when a reconciliation approach resting on restorative justice is combined.

      • KCI등재

        Dialectics of Risk, Security and Surveillance in a High-Tech Society

        Kim, Mun-Cho(김문조)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성찰적 근대성론자들의 선도적 연구에 힘입어 ‘위험(risk)’은 현대사회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의 하나로 학계 내외에서 주목 받아 왔다. 반면 그 대응 개념에 해당하는 ‘안전(security)’은 오랫동안 분석적 함의를 갖추지 못한 채 일상용어로 잔류해왔다. 이러한 화용론적 격차는 9.11 테러사태 이후에 돌변, 양자는 환류효과를 통한 보강작용에 의해 사회적 담론의 장에 동반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9.11 사태 이후 널리 관망되는 또 한 가지 현상은 ‘감시(surveillance)’가 유력한 위험 방지책의 하나로 떠올라 기술적으로 보강되고, 사회적으로 지지되며, 법적으로 옹호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감시체제에 대한 찬반논쟁이 고조되어 왔는데, 그런 과정에서 망루형 감시와 저변감시(sousveillance)에 관한 공방이 돌출해 감시와 민주주의에 관한 기존 논의구도에 새로운 쟁점과 실천적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Thanks to the accomplishment of some leading scholars of reflexive modernity, ‘risk’ emerges as a keyword that accounts for many malfunctions of “high modern society.” In contrast, ‘security’ had remained as a common denotative term lacking analytic implications for long. Due to this pragmatic disparity, the interplay between security and risk has not been fully explicated. Aftermath of 9/11 terrorist attack, the situation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The concepts of security and risk began to constitute mutual-reinforcing chain reactions of positive feedback producing a lines of debates and discourses of exponential growth. Another noticeable change after 9/11 is that surveillance, as a means of risk prevention, is legally favored, technically improved and socially supported. However, fierce internal disputes are found in the current ‘surveillance-scape’ between conventional surveillance and sousveillance.

      • KCI등재

        불확실성의 시대, 불안한 한국인

        김문조(Kim, Mun-Cho),박형준(Park, Heong-Joo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2

        경제성장에 몰두하던 60~70년대 산업화 시대에는 생계를 위협하던 경제적빈곤이 지대한 국민적 관심사였고, 권위주의체제에 저항하던80~90년대 민주화 시기에는 정치적 억압이 척결해야 할 절박한 시대적 과제였다. 그러나 세계화 개방화가 촉진되는 금세기의 각 축적생활현실에서는 사회불안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불안의 인식적 토대로 간주할 수 있는 불확실성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1) 사회적 불확실성을 유연화 및 고령화 논제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2) 사회 불안을 가중시키는 한국 사회 특유의 현황을 “인간성파괴” 및“계급적단절”이라는 명제하에서 고찰한 후, 3) 불안의 진전경로와 예상효과를 주요 매개 조건들을 중심으로 탐지하면서, 4) 고도불안사회의 대처 방향과 실천 전략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Anxiety prevails when the faith in life is absent. Therefore, it is uncertainty that causes anxiety. Uncertainty as a source of anxiety consists of several conceptual elements. Existential uncertainty, cognitive uncertainty, moral uncertainty and aesthetic uncertainty to name a few.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social anxiety as a source of collective anxiety with emphasis on flexibilization and aging thesis, describe the uniqu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collective anxiety is being aggravated, and explor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possible countermeasures. Recently, it can be said that a flexible life attitude and strategies being required in all aspects of daily life including the world of work. The flexible society is demand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ion more than ever. Thus, flexible society aims at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that have completely different properties than the centralized communication ones that used to operate in a perfect and orderly manner under vertical chain of command structure. However, in the age of flexibilization, where a high degree of freedom is appreciated and applauded, “corrosion of character” and “class disparity” have emerged as critical factors that exacerbate social anxiety. Social unrest caused by flexibilization gave way to social unrest in Korean society. Such tendency is further aggravated by the process of aging. In what ways such social unrest in Korea progressing? Unlike cognitive and normative uncertainty, the uncertainty of the modern society that is mainly derived from institutional flexibility ha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nternalized into a social anxiety in situations where the social transparency is lacking. However, the consequences of social unrest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ocial anxiety is shifted to oneself or to the outside. The most decisive factor determining where the anxiety head toward is trust. In Korean society where the level of social trust is still low, there exists a high probability of anxiety turning into discontent rather than frustration. Also, discontent is more likely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outward anger instead of introverted resignation in Korean society where negative perceptions on social justice prevail. Thus,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the anxiety itself, but the high degree of social distrust and unfairness determining the course of anxiety that characterizes the current social unrest in Korea.

      • KCI등재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

        김문조(Kim, Mun Ch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6 No.-

        정보화의 진전과 더불어 정보화 정책의 방향이 기술적 측면에서 문화적 측면으로 이행 중이며, 그러한 동향은 정보화 역기능의 증가세와 함께 보다 역력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우선 정보 문화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에 의거해 주체, 객체 및 맥락에 대한 정보 문화의 9가지 속성을 연역적으로 추론하였다. 다음에는, 연관어 검색 프로그램 “아울림(http://owlim.com)” 및 집단 평가법에 의한 속성어 유형 분류를 통해 11가지 속성을 추가하여, 한국 정보 문화를 대변하는 총 20개의 속성을 압출하였다. 또 속성들 간의 상관관계에 근거해 ‘초현실계’, ‘전이성’, ‘상호주관성’, ‘신(新)일상성’ 및 ‘탐닉성’이라는 5개 집락의 존재를 확인한 후, SNA 기법을 적용한 집락 구조 분석을 통해 새로운 문화 질서가 창발하는 희망적 경로와 총체적 혼돈 상태로 전락하는 절망적 경로라는 상반된 길을 전망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정보 문화에는 감성과 유희성이 배가된 풍성한 장래가 예상되는 발전적 측면이 있는가 하면 극단적 탐닉에 의한 위험성이 공존하는바, 공유?상생?협력을 지향하는 새로운 일상성이 발양되면 발전적 방향으로의 진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With the proliferation of dysfuctions of informatization, the focus of policy and public interest concerning informatization has shifted from the technological to cultural aspec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arrangement of cyberculture of Korea in terms of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9 characteristics of Korean cyberculture were deduced. Second, 11 characteristics were added by a series of inductive investigation. Next, based on the correlations of those 20 characteristics, clusters of ‘hyperreality’, ‘transformation’, ‘intersubjectivity’, ‘neo-everyday life’ and ‘indulgence’ were identified.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cluster networks, a hypothetical structural pattern of Korean cyberculture was suggested. In conclusion, two contrasting prospects were forecasted; an optimistic path that will give rise to a more refined order of cyberculture and a pessimistic path leading to the state of total cha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