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의 ‘무의미’ 사유 방식 연구 : 『타령조·기타』, 『남천』을 중심으로

        김명훈(Kim, Myong-hoo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고에서는 의미와 무의미의 구분을 시인의 사유 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른바 ‘무의미시’로의 전환기에 해당하는 시편들에 나타난 ‘무의미’의 의미와 김춘수의 실천적 지향을 살펴본다. 『타령조·기타』, 『남천』에 실린 일련의 시들과 김춘수의 시론을 고려할 때, 김춘수가 말하는 무의미시란 ‘대상=관념’이 삭제된 서술적인 이미지로 구성된 시에서 어떠한 이미지도 생성될 수 없는, 리듬만 남긴 시로 진화해 갔다. 이러한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관념과 역사가 재생산하는 편견을 파괴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이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인의 성실한 허무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허무마저 ‘편견=관념’으로 물화되는 순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시인의 허무는 끊임없는 부정으로 현상하게 된다. 그렇기에 그 ‘허무의 순간’은 시인이 없앨 수 없는 마지막 남은 ‘관념=대상’이 되는 셈이다. 바로 이 점이 김춘수의 ‘무의미’가 ‘완전한 의미 없음’이 될 수 없는 이유이며, 동시에 김춘수의 ‘무의미시’가 단순히 언어의 실험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시인의 사유 방식 자체임을 드러내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시인에게는 끊임없이 ‘대상=관념’을 삭제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중요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김춘수가 처용, 이중섭, 예수 등에 천착했던 이유 역시 명확해진다. 김춘수는 관념과 역사의 폭력 앞에서 성실하게 자신의 고통을 견뎌나갔던 대상들을 통해 ‘허무적 사유’를 연장할 수 있었던 셈이다. ‘대상=관념’이 삭제된, 리듬으로만 존재하는 ‘무의미시’를 처음으로 시도했던 『타령조·기타』, 『남천』에 처용, 이중섭, 예수 등의 ‘대상=관념’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역시 김춘수의 ‘무의미’가 ‘허무를 견디는 순간’을 붙잡기 위한 시인의 사유 방식자체였기 때문이다. 요컨대 시인에게 이 ‘허무의 순간’은 고통스러우면서도 피해갈 수 없고, 끊임없이 추구해야 하지만 영원히 완결될 수 없는 절대적인 ‘사유의 장소’였다 하겠다. In this paper, the distinction between sense and nonsense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Kim Chun-soo’s way of thinking. In this way, we examine the meaning of ‘nonsense’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Chun-soo’s in the poetry corresponding to the transition period to ‘nonsense poetry’. Considering the series of poems in the Taryungjo and other works, Namcheon and Kim Chun-soo’s poetics, the ‘nonsense poetry’ of Kim Chun-su are first, poems composed of descriptive images with ‘object=idea’ removed, and second, only rhythms in which no image can be generated It is poetry. This ‘nonsense poetry’ of Kim Chun-Soo was introduced to destroy the prejudice of reproduction of ideas and history. To overcome this prejudice, it is necessary for the poet to be faithful nihility. However, even the nihility cannot avoid the moment when it becomes materialized as ‘prejudice=idea’, so the poet’s nihility appears as a constant denial. This is why Kim Chun-soo’s ‘nonsense’ cannot become ‘complete meaningless’. At the same time, this is evidence that Kim Chun-soo’s ‘nonsense’ is not just an experiment of language, but a poet’s way of think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poet to ‘process itself’, which constantly deletes ‘object=idea’.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also clear why Kim Chun-soo was dealing with Cheoyong, Lee Joong-seop, and Jesus. Kim Chun-soo was able to extend the ‘nihility thinking’ through objects that had sincerely endured his pain in front of the violence of idea and history. There are also ‘object=idea’ such as Cheoyong, Lee Joong-seop, and Jesus in Taryungjo and other works, and Namcheon, the first attempts of ‘nonsense’. The reason is that Kim Chun-soo’s ‘nonsense’ was the poet’s way of thinking to catch ‘the moment of enduring nihility’. In short, for the poet, this ‘moment of nihility’ is an absolute ‘place of thought’ that is painful but cannot be avoided and must be pursued constantly but cannot be completed forever.

      • KCI등재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1980년대 후반 김영현, 임철우, 최윤의 5.18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김명훈(Kim, Myong-Hoon)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1950년대에 출생하여 1980년에 막 성인이 된 세대인 김영현, 임철우, 최윤 등은 1987년 6월항쟁 전후에 5.18에 관한 소설을 썼다. 이 작품들이 지금도 문학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오월 소설’로 남아 있다는 점은 이 세대의 문제의식이 ‘오래된 현재’로서의 87년 체제를 사유하는 데에 중요한 참조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에서는 이 세대의 5.18 서사가 ‘우리’라는 관념을 재사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착목하여 87년 체제와 함께 시작된 이들의 ‘오월 소설’ 창작과 그 속에 내재된 5.18에 대한 해석적·윤리적 판단의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1951년 거창과 1980년 광주, 그리고 1987년 현재에 이르는 국가폭력의 구조적 동일성을 문제 삼은 김영현의 「불울음소리」는 서사적 개연성을 포기하면서까지 5.18을 희생자의 서사로 해석하고 재현한다. 이러한 해석적·미학적 판단은 5.18에 대한 ‘우리 세대’의 죄책감에 긴박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작가가 자기 세대의 세대적 정체성을 윤리적 판단에 의해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이라 하겠다. 1980년 5월 광주를 ‘다큐멘터리적인 형식’으로 복원하겠다는 의도에 따라 창작된 임철우의 『봄날』은 일반적인 해석과는 달리 사실 재현의 욕망과 픽션의 욕망이 경합하는 작품이다. 한씨 일가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픽션적 욕망’을 강하게 드러내는 초반부와 달리, 『봄날』의 중후반부는 ‘사실 재현의 욕망’에 충실한 서술 방식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낙차는 87년 체제의 성립 이후 5.18이 지나간 역사로 정리되어 가는 현실과 화해할 수 없었던 임철우의 윤리적 판단으로부터 기인하는데, 이 화해의 불가능성은 최윤의 「꽃잎」에서 더욱 복잡하고 인상적인 방식으로 제시된다. 「꽃잎」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3, 6, 10장의 화자로 설정된 ‘우리’이다. 작품 속에서 ‘우리’는 죽은 친구의 누이를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여행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밝힐 수 없는 공동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우리의 관계’는 모두 누군가의 죽음이나 떠남에 긴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프롤로그의 화자는 여행이 끝난 시점에서 더 이상 ‘우리’라는 말을 입에 담지 않음으로써 ‘밝힐 수 없는 공동체’로서의 우리를 승인한다. 이들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우리’에 대한 관념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우리’라는 말의 무게와 책임에 민감하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세대의 ‘오월 소설’이 갖는 의의란, 87년 체제 이후 민주화라는 대의에 의해 통합되어 가던 우리의 ‘관계’ 내부에 여전히 수많은 죽음들이 분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문학사에 기록해주었다는 점이라 하겠다. Kim Young-hyeon, Im Cheol-woo, and Choi Yoon, the generations born in the 1950s and just grown up in 1980, wrote novels about 5.18 before and after the June Uprising of 1987. The fact that these works still remain the most important ‘may novels’ in literary history suggests tha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generation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contemplating the 87regime as the ‘old present’. In this paper, noting that the 5.18 narrative of this generation was constructed in a way that rethinks the notion of ‘we’, tried to specify the meaning of these writer’s creation of ‘May Novel’ started with the 87regime and interpretive and ethical judgment about the ‘May Gwangju’. Kim Young-hyeon s “Fire cries”, which took the structural identity of national violence into question, interprets 5.18 as a victim’s narrative, even giving up the narrative probabilities. This interpretive judgment is problematic in that it stems from the guilt (ethical judgment) of the generation Kim Young-hyun called ‘our generation’. Im Cheol-woo’s Spring Day,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restoring 5.18 as a ‘documentary form’, is a work in which the desire for representation and the desire for fiction are in conflict, unlike general interpretations. This is because unlike the first half, which strongly reveals ‘fictional desire’, centering on the chronology of the Han’s family, the mid-to-late half of Spring Day converges in a narrative style that is faithful to the ‘desire of factual representation’. This gap stems from Im Cheol-woo’s ethical judgment, who was unable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that 5.18 has been organized into histo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87regime. And this im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s presented in a more complex and impressive way in Choi Yun s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we’ is set as the narrators of chapters 3, 6, and 10. In the work, ‘we’ is set to go on a trip to find the sister(girl) of a dead friend. Through this trip, ‘we’ realizes that we are a ‘community that cannot be revealed’. This is because the ‘our relationship’ that appears in the work is all urged to die or leave. Prologue s narrator approves us as a ‘community that cannot be revealed’ by not saying ‘we’ anymore at the end of the trip. The notion of ’we’ revealed in their novels differs little by little. However, it is common in that they are sensitive to the weight and responsibility of the word ‘we’. In that sense, the importance of this generation’s ‘May novel’ is that it has been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out forgetting the fact that many deaths still exist within our ‘relationship’, which had been unified by the cause of democratization after the 1987 regime.

      • KCI등재

        마주침을 둘러싼 신화와 노동소설의 문법 - 1980년대 후반 공지영, 방현석, 김한수의 데뷔작을 중심으로-

        김명훈(Kim, Myong-hoon)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1987년 전후, 창작과 비평(연구) 양쪽 모두에서 한국소설의 지배적인 장르로 인식되었던 노동소설은 1990년대 초반 현실 사회주의의 몰락과 함께, 짧은 전성기가 무색할 만큼 급격하게 청산 · 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청산과 망각은 그것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람들에게 심리적 외상으로 남아 귀환하기 마련이다. 최근, 1980-90년대 문학에 대한 연구자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일련의 연구에서 감지되는 어떤 공통된 정동은 당대의 급격한 청산과 망각으로부터 비롯된, ‘억압된 것의 귀환’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목과 관찰이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이 공통된 정동을 이질적인 것들을 접속시키려는 ‘마주침의 동역학’으로 규정함으로써 이 ‘마주침의 동역학’으로부터 추동된 1980-90년대 한국문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87년 6월항쟁 직후 발표된 노동소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항쟁 직후 발표된 노동소설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지금/여기의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당대의 노동소설 역시 ‘마주침’이라는 테마에 빈틈없이 긴박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1988년에 발표된 공지영의 『동트는 새벽』, 방현석의 『내딛는 첫발은』, 김한수의 『성장』등은 1980년대 노동소설의 이념적 도식성에 대한 일반화된 비판과는 달리 ‘학출’과 노동자, 선진 노동자와 일반 노동자, 구세대와 신세대 등 다양한 ‘사회적 세력’들 간의 마주침을 서사의 구성적 토대이자 주체각성의 계기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1980년대 노동소설은 최근 1980-90년대 연구에서 확인되는 ‘마주침의 동역학’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복원과 애도의 서사, 그 원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본고에서 다룬 노동소설에서의 마주침이란 결국 일시적이었고, 제대로 응고되지 못한 채 ‘체제’에 흡수되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분명하다. 그러나 단지 다양한 사회세력들 간의 마주침-응고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 마주침을 통해 각각의 원자들이 보다 잘 식별될 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야 비로소 그 항쟁의 시간 동안 우발했거나 혹은 우발하지 않았던 마주침의 의미 또한 거리감을 갖고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round 1987, labor novels,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dominant genre of Korean novels in both creation and criticism, are suddenly forgotten in a short heyday with the fall of real socialism in the early 1990s. However, such rapid liquidation and forgetfulness are bound to return as psychological trauma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directly or indirectly. In recent years, the explosive interest of researchers in literature in the 1980s and 90s and some common affects in a series of studies needs special attention and observation in that it looks like the ‘return of the oppressed’ from the rapid liquidation and oblivion of the 1980s and 1990s. In this paper, this common affect is defined as the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that tries to connect heterogeneous thing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the 1980s and 1990s, driven by the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a labor novel pu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June Uprising in 1987. Wha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labor novel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June Uprising is the fact that not only the researchers here and now, but also the labor novels of the time were tightly tackled by the theme of ‘encountering’. Unlike the generalized criticism of the ideological schematicity of labor novels in the 1980s, Gong Ji-young"s “Dawn”, Bang Hyun-seok’s “The first step we take”, and Kim Han-soo’s “Growth” uses the confrontation between various “social forces” as a constituent foundation of the narrative and an opportunity for awakening.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labor novels of the 1980s correspond to the archetypes of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identified in recent studies in the 1980s and 90s. Of course, the limit is clear in that the encounters in the labor novels covered in this paper were temporary in the end and were absorbed into the ‘system’ without being properly solidified. However, it is not only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encounter-solidification between various social forces, but only when we consider that each atom could be better identified through the encounter, We will be able to objectively evaluate encounters that occurred or did not occur during the time of the uprising.

      • KCI등재

        한국 문학 로컬리티 연구의 전개 양상과 남은 과제들

        김명훈 ( Myong Hoon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 ‘로컬리티’ 개념이 주요 학술 주제어로 부상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고 그간 제출된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되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로컬리티 연구는 2008년대 중반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같은 현상은 한국현대문학 연구의 흐름 속에서 파악할 때 일차적으로 탈식민주의 담론의 부침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탈식민주의는 민족국가의 틀을 초월하려는 탈근대 담론의 성격을 지니지만 한국현대문학 연구에서는 민족문학을 옹호하기 위한 반(反)식민적 전략으로 전유되는 경우가 잦았다. 그러나 토착화된 탈식민주의 담론은 민족문학의 특권적 지위를 온전히 해체하지 못한 채민족과 제국의 이분법을 재생산함으로써 로컬리티를 특수성의 영역으로 제한하 기도 했다. 탈식민주의 담론의 한계에 직면하여 로컬리티 논의는 점차 민족국가내부의 위계를 해체하기 위한 전략으로 재사유되었다. 이 같은 로컬리티 사유방식은 크게 세 가지 형태를 취한다. 첫째, 중심과 주변을 전제하되 중심을 지향하는 차원의 로컬리티, 둘째,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해체하며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것으로서의 로컬리티, 셋째, 중심을 비판하는 방향으로 정향된 정체성정치 단위의 로컬리티 등이 그것이다. 이상 세 가지 로컬리티 구성 방식의 한계를 지양하고 그 가능성을 포지할 때 최종적으로 추상되는 로컬리티의 이상은 국민국가 내부의 부당한 집합적 가치 체계를 해체하고 국민국가의 실질적인 경계내에서 공공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지역연구 에 통시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지역 공공성이 파괴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지역 정체성의 공공적 측면을 발굴해야 할 것이다. This writing is written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the concept ``locality`` being floated as a major scholarship subject term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look back the meaning and limit of the locality studies submitted meanwhile. Locality studies increase explosively after the middle 2008s, this phenomenon is primarily involved with ups and downs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when grasping in the flow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Postcolonialism has a nature of postmodern discussion which transcends the frame of a nation-state, but more often it is monopolized as anticolonial strategy for defending ethnic literature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However naturalized postcolonialism discussion limits locality to the field of specialty by reproducing dichotomy of ethnicity and empire without deconstructing privileged status of ethnic literature entirely. Facing the limit of postcolonialism discussion, debate of locality is gradually reconsidered as the strategy for deconstructing a rank of inner nation-state. The way of considering of locality as above is taking three forms largely. First, locality which aims the center while imposing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Second, locality as the individual thing which deconstructs the rank of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and composes the whole. Third, locality as a unit of identity politics which criticizes the center. When rejecting the limit of those three ways of composing locality and having the possibility in mind, the ideal of locality which is abstracted finally is to deconstruct unfair collective value system of inner nation-state and to create the public value in the actual boundary of nation-state. Along with this, we will have to analyze the process of local publicity’s being destroyed and discover the public aspect of local identity by introducing a diachronic view to the existing local studies.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의 자율성’과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 선언

        김명훈(Kim, Myong-h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1920년대는 조선에서 예술(문학)의 자율성이 본격적으로 개진된 시기로 문예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 예술(문학)의 자율성이란 현실(인생)의 개조라는 역사적 사명을 실천하기 위한 부문운동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고(이광수, 카프), 근대의 합리성 체계를 거부하고 예술을 특권화하기 위한 미학적 신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동인지 문인). 1920년대 조선에서 ‘예술지상주의’는 예술의 자율성에 대해 전자의 입장을 가진 문인들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해 활용한 용어이다. 본고는 형식논리상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공백을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론을 통해 미흡하게나마 채워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임노월은 오스카 와일드 번역을 바탕으로 예술지상주의의 3단계 테제를 정식화한다. 첫째, 임노월은 ‘현실=실재’를 거부하고 ‘감각-지각’을 초월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전회를 요청한다. 둘째, 인식론적 전회를 위해 임노월은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때 상상력은 단지 이미지를 변형시킬 수 있는 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으로 재규정되며, 이능력을 통해 예술은 ‘현실=인생’과 분리된다. 셋째,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을 통해 구성된 예술의 세계는 ‘현실=인생’으로 하여금 자신을 모방하도록 만든다. 임노월은 이 3단계 테제를 단지 비평 수준에서만 개진한 것이 아니라 창작과 삶의 지향을 결정하는 ‘사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사상’ 때문에 자신의 시대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임노월의 ‘삶=예술’이 예술지상주의라는 이름으로 잠시 도달했던 위치는 훗날 임화가 예술과 혁명을 인간의 유적 보편성 속에서 종합하고자 시도했을 때, 그리고 이상과 구인회 일부 문인들이 ‘미적 근대성’의 최대치에 도달하고자 분투할때, 그들이 보았을 환상 속에서 끊임없이 재생되었던 어떤 경지였을지도 모른다. The 1920s was recorded in History of Literary, a time when the autonomy of art in Joseon was presented in earnest. It also means that the autonomy of the arts (Literature) is meant to as a section movement to practice the historical mission of reality(life), and also to demonstrate that it is an aesthetic belief to deny the modern legitimacy of the past, and to privileged the art. In the 1920s’s Joseon, ‘Art for Art’s Sake’ was coined by writers with the former opinions about the autonomy of art to criticized the latter. This article written to fill this blank, which seems to exist only in formal format, with Lim No-wol’s argument about Art for Art’s Sake. Lim No-wol embodies Three-stage these of Art for Art’s Sake based on Oscar Wilde’s translation. First, Lim No-wol rejected the ‘reality=real’ and asked Epistemological turn that could transcend ‘Sensation-Perception’. Second, He argued that we needed imagination for an Epistemological turn, then, Imagination is not merely limited to the ability to transform images, but rather to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Through this ability, art separates from ‘reality=life’. Third, the world of art, which consists of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force the ‘reality=life’ to mimic art. Lim No-wol did not only state this Three-stage at critical levels but also made to Thought decide on direction of the creation and the life. And because of this Thought, it had to be a conflict with his own age. However, the position that Lim No-wol’s ‘life=art’ arrived briefly, it might have been a rebirth in the fantasy era when Im Hwa attempted to merge art and revolution into the universality of mankind, and when Lee Sang and some of the Guinhoe’s writers and poets struggled to reach the maximum value of aesthetic modernity.

      • KCI등재

        염상섭 초기소설의 창작기법 연구

        김명훈(Kim, Myong-hoon)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9

        『묘지』와 『삼대』사이의 염상섭 소설들은 다양한 형식상의 변이와 치열한 현실 인식을 내포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묘지』와 『삼대』의 독보적인 문학사적 위상에 가려져 그 본령이 충분히 해명되지 못한 형편이다. 1925년부터 1926년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진주는 주엇스나』 역시 예외는 아니다. 『진주는 주엇스나』는 서사구조나 인물의 성격에 있어서 익숙한 패턴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전형성은『진주는 주엇스나』를 대중영합적인 신문연재소설이나 도식적인 멜로드라마로 평가하도록 만드는 근거로 작용한다. 그러나 작품의 결말 부분에서 나타나는 아이러니한 서술 태도는『진주는 주엇스나』의 서사가 단지 익숙한 로맨스의 문법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드러낸다.『진주는 주엇스나』의 서사구조와 인물유형은 염상섭이 일본 유학시절 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접했던 셰익스피어의『햄릿』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시공간적·비평적 거리에 의해 초문맥성을 확보함으로써『햄릿』의 주제를 결정적으로 전도한다. 이러한 특성은 익숙한 문법을 반복하되 그것과의 비평적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아이러니를 발생시키는 패러디의 문법과 일치한다. 특히『진주는 주엇스나』의 『햄릿』 패러디에서 주목되는 것은『햄릿에서 타락한 왕권과 근친혼을 상징하는 ‘진주’가『진주는 주엇스나』에서는 타락한 부권과 매매혼, 나아가서는 양자가 결부된 반민족적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또한 타락한 왕권과 근친혼을 상징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징벌하는 기능을 했던『햄릿』의 진주와는 달리 『진주는 주엇스나』의 진주는 작품의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단지 서사 내의 특정한 상징이나 기능을 담당하는 차원을 넘어서 작품을 둘러싼 컨텍스트 전체에 대한 비판적 거리로 표시된다. 요컨대『진주는 주엇스나』는 1920년대 조선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재현하려 했던 염상섭의 문제의식이 패러디라는 창작기법에 의해 그 본령을 얻은 작품이라 하겠다. Sang-seop Yeom"s novels between Cemetery and Three Generations involve various variations of format and keen awareness of reality,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er function of the novels is not elucidated fully being hidden by matchless literary position of Cemetery and Three Generations. Though Gave the Pearl which is published serially in DongA daily newspaper from 1925 to 1926 is also not an exception. Though Gave the Pearl shows a familiar pattern of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s personality, and this stereotype makes the novel be evaluated as a populistic serial novel in a newspaper or a schematic melodrama. However, the ironic attitude on narration which is appeared in the novel"s ending part proves that the novel"s narration does not repeat the familiar rules of Romanc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type of character in Though Gave the Pearl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Hamlet which Yeom Sang-seop learned about when he started to be interested in literature while studying in Japan, but he decisively reverses the theme of Hamlet by retaining transcontextualization through spatial-temporal and critical distance. That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the rules of parody which generates irony by repeating the familiar rules but retaining critical distance from them. What is noticed especially in parody of Hamlet in Though Gave the Pearl is that "pearl" in Though Gave the Pearl is presented as a symbol of corrupt paternity, purchasing marriage, and antinational capitalism which is combination of the two while "pearl" in Hamlet is presented as a symbol of corrupt royal authority and intermarriage. Furthermore, contrary to the pearl in Hamlet which symbolizes corrupt royal authority and intermarriage, at the same time functions as punishment of them, the pearl in Though Gave the Pearl is indicated as critical distance from the whole context which surrounds the work beyond just taking in charge of particular symbol or function in the narration as a title of the work implies. To sum up, Though Gave the Pearl is the work in which Sang-seop Yeom"s critical mind of representing the reality of Chosun in 1920s critically obtains the proper function by creative method, parody.

      • KCI등재

        세기말의 ‘해피엔드’, 멜로냐 비극이냐

        김명훈(Kim, Myong-hoo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6 No.-

        멜로드라마의 전성기였던 1990년대 후반 개봉한 『해피엔드』는 그간 가부장제의 관성에 영합하는 보수적인 멜로드라마의 문법에 충실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기존의 평가를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해피엔드』의 서술 및 편집 방식에 내재해 있는 멜로드라마의 보수적인 이데올로기 문법에 대한 상대화 및 자기반영적 속성들을 적극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했다. 이처럼 멜로드라마의 문법 속에서 그것 자체를 내파의 방식은 세기말 한국의 음울한 현실을 조감하는 비극적인 시선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색채의 대비나 화면의 구성, 인물의 세계관을 드러내는 몇몇 오브제와 환상적 이미지를 통해 세 명의 주요 인물들 속에 내재해 있는 성, 사랑, 연애, 결혼, 가족 등에 대한 허위의식을 노출시킨다. 특히 민기로 하여금 살인을 계획하고 정당화하도록 부추기는 핵심적인 요소인 연애소설과 추리소설, TV멜로드라마 등은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대표적인 대중매체이자 장르 문법으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민기의 살인이 대중매체가 만들어내는 환영적인 표상을 자신의 욕망과 일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드러낸다. 주목해야 할 것은 대중매체가 암암리에 재생산하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을 영화가 치정과 복수라는 대중적인 서사 문법을 통해 재현한다는 점이다. 즉 『해피엔드』는 영화 자체의 비판적 입각점에 해당하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의 장르 문법을 의식적인 수준에서 반복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피엔드』가 대기업의 자본과 시장 논리에 의해 제작된 상업영화였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해피엔드』가 386세대를 주축으로 한 ‘청년’의 인적 네트워크에 의해 기획되었다는 점, 영화의 결말 및 장르와 관련해 감독과 영화사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치정과 복수라는 장르 문법이 단지 대중영합적인 의도만을 담고 있었다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감히 예상해보건대, 『해피엔드』에는 대중매체의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적 충동을 비판하면서도 그 장르 문법을 따를 수밖에 없는 연출가의 자기혐오적인 시선이 포함되어 있는 것 아닐까. 아울러 영화의 비판적인 시선을 의식하지 못한 채 치정과 복수라는 장르 문법에 따라 영화의 내러티브를 무감각하게 소비할 대중들에 대한 복수심도 조금은 담겨 있다고 본다면 지나친 판단일까. 대중매체의 수용자가 다수라는 점, 그리고 대중매체가 전파하는 보수적인 이데올로기의 피해자 역시 다수라는 점에서 이 같은 영화의 장르 문법은 자기지시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 액션으로 재현된 삶, 즉 극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자신의 현실을 돌아보도록 만드는 것은 비극의 고유한 기능이자, 이글턴에 따르면, 아직까지 남아 있는 비극의 혁명적 가능성이다. 그렇다면 세기말 한국에서, 그리고 지금/여기에, 비극의 혁명적 가능성은 과연 남아 있을까. The Happy End, released in the late 1990s, the heyday of the melodrama, has been evaluated as being faithful to the conservative melodramatic grammar that coincided with the inertia of patriarch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interpret the relativistic and self-reflective properties of the melodrama "s conservative ideology grammar which is part of The Happy End"s narrative and editing method, while partially accepting the existing evaluation. In this way, in the melodrama "s grammar, the way of percussion itself is formed by the tragic gaze that shapes the dark reality of Korea in the end of the century. This film exposes false perceptions about sex, love, romance, marriage, family, etc. inherent in the three main characters through the contrast of color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some objects and fantastic images revealing the world view of the person. Especially love story, mystery novel and TV melodrama, which are key elements that encourage Min-gi to plan and justify murder, are represented by genre grammatization as a representative mass media spreading conservative ideology, Reveals that it occurs in the process of matching the illusionary representation created by the medium with his own desires. What should be noted in this film is that the criticism of the conservative ideology that the mass media reproduce in the dark is reproduced through the popular narrative grammar of admiration and revenge. In other words, The Happy End repeats the conservative ideology genre grammar at the conscious level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of the film itself.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Happy End was a commercial film produced by the capital and market logic of large corporations. However, given the fact that The Happy End was designed by a network of ‘cheongnyeon’ based on the 386 generation, and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director and film company regarding the ending and genre of the film, It is not appropriate to see that it contained only the intentional intent. I dare expect that the The Happy End includes the self-reproaching gaze of the director who criticizes the conservative ideological impulse of the mass media but can not but follow the genre grammar. Also, if you are not conscious of the critical viewpoint of the film and you have a sense of revenge for the masses who will consume the rhetoric of the movie sensibly according to the genre grammar of reverence and revenge, is it too much judgment? The genre grammar of this film has a self-directional character in that the number of mass media audience is large and the victims of conservative ideology preached by the mass media are many. According to Eagleton, it is the revolutionary possibility of tragedy that remains a unique function of traged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udiences to look at their reality through the play. Then, in the end of the century in Korea, and now / here, does the revolutionary possibility of tragedy remain?

      •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Triamcinolone Acetonide의 이온도입 경피투과

        정대인,김명훈,황태연,윤세원,최은영,Jung, Dae-In,Kim, Myong-Hoon,Hwang, Tae-Yeun,Yoon, Se-Won,Choi, Eun-Young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 2003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Vol.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amcinolone acetonide by iontophoretic transdermal drug delivery on anti-inflammatory action into the human which had excentric exercise-induced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in the non-dominant arm. The degree of anti-inflammation was evaluated creatine posphokinase(CPK) by serum enzyme activity and subjective pain threshold by soreness muscle scale in clinical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 subjective pain scale, all groups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bu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numerical value in human. 2. In the serum CPK level, iontophoresis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than other groups at 24, 48 and 72 hours. From the results, the iontophoresis with triamcinolone acetonide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each groups. The continuous study is needed for many interesting issues of iontophoretic transdermal drug delivery in new future.

      • 백서에서 유발된 염증에 대한 Triamcinolone Acetonide 이온도입 경피투과 효과

        정대인,김태열,김계엽,김명훈,Jung Dae-In,Kim Tae-Youl,Kim Kye-Yoep,Kim Myong-Ho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amcinolone acetonide by iontophoretic transdermal drug delivery on anti-inflammatory action into the rats and which had carrageenan-induced hyperalgesia and edema in the feet, trauma-induced tissue damage in the thigh. Each group was treated under the fellowing conditions. 1. Group I : Control group 2. Group II : Application of direct current 3. Group III : Application of 0.1$\%$ triamcinolone acetonide solution 4. Group IV : Iontophoresis of 0.1$\%$ triamcinolone acetonide solution The degree of anti-inflammation was evaluated by the paw withdrawal latency, the change in volume of foot the change of paw edema, histological change in rats. 1. In paw withdrawal latency, group IV showed the most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 than the other groups at 0, 3, 6 and 9 hours(p < 0.001). 2. In paw edema experiment in the foot, group IV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an group I at 0, 3, 6 and 9 hours. It meant that there was effective anti-inflammatory reaction in group I (p < 0.001). 3. In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group IV showed the most significant reduction of haemorrhage, hyperemia and infiltrative inflammation. From the results, the iontophoresis with triamcinolone acetonide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each groups. It is one of the effective physical agent which delivered large molecular weight drug into the body. The continuous study is needed for many interesting issues of iontophoretic transdermal drug delivery in new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