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화관련 동화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Kim Myung-Fa),세루(Kim Se-Ru),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평화관련 동화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 5세 유아 실험집단 21명과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을 임의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평화관련 동화활동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생활주제 관련 동화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평화관련 동화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생활주제 관련 동화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전체 정서지능과 그 하위변인인 ‘자기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를 위한 평화관련 동화활동의 교수학습 개발 및 적용의 중요성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ace-related story reading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wenty-one 5-year-ol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peace-related story reading and those of comparison group read stories related to the theme of life for total six weeks. As a result of study, children who experienced peace-related story read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 its subordinate factors. This result was very remarkable in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story reading related to peace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 ( Myung Fa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 5세 2개 학급으로 한 학급은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를 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주제와 관련된 신체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읽고 그림책 속에 나오는 내용을 신체놀이 활동으로 접목하여 8주간 16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가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언어능력과 정서지능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정서지능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wenty-one 5-year-ol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two children of control group were selecte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phys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nd those of control group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theme of life for total eight weeks. As a result of study,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s result was very remarkable in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hysical using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화(Kim, Myung Fa),백영숙(Paik, Young 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 유치원의 만 5세아 2학급의 원아 총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20명), 비교집단(20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와 Mayer(1990) 체크리스를 수정하여 김경희(1998)가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림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성애(200)가 개발한 그림표상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절차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을 다루는 책을 선정하여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을 정서적 경험 활동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정서지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그림 표상능력에서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activity based on picture 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40 young children aged five years who were attended one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South Korea. Twenty two young children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three young children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teracted with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nd those who comparison group listened to picture books’ story. To measur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checklist was used, that was created by Salovey & Mayer(1990), and modified and adapted by Kim, Kyung-Hee(1998). To measure the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the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Chi, Sung-Ae(2001) was used.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with Pearson’s co - relations and T- paired test using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young children"s Picture representation ability. In conclusion,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were meaningful process through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main character"s behavior and gathering various view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sults imply that emotional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re worth using 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