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거’기반의 정책과학화와 사회‘과학’으로서 사회학의 영향력

        김명심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6 No.-

        사회학은 그 출발 지점에서부터 자연과학의 합리성과 객관성을 닮은 학문을 추구해 왔다. ‘사회’에 대한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보편적 사회법칙을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은 여러 도전에 직면하기도 했으나 사회‘과학’이라는 분과영역 속에서 영향력과 권위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자연과학’보다 낮은 증거의 엄밀함과 진리주장에 대한 합의는 사회학을 낮은 수준의 과학으로 평가하는 근거로 작용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공사회학과 전문사회학 논쟁을 중심으로 실증주의적 과학관에 기반한 사회학의 과학적 연구방법과 과학적 증거의 한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점증하는 과학적 증거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여 사회학의 유용성을 증명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소위 ‘사회학의 위기’와 함께 사회학의 정체성에 대한 국내외의 논쟁은 서로 다른 해법을 견주고 있을 뿐 명확한 길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사회학이 사회‘과학’으로서 역할과 영향력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학의 위기’에 대한 공공사회학과 전문사회학의 대립을 통해 사회학의 영향력에 대한 입장과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입장과 전략을 제시하는 두 사회학이 과연 위기 극복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지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둘째, ‘과학’으로서의 사회학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을 고찰하였다. 특히, ‘과학’에 대한 신뢰와 정당성의 위기 속에서 사회과학의 과학화와 증거기반의 정책적 기여 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증거기반정책’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사회학의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학 연구가 연구자 집단 밖으로 확장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사회학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Despite many challenges, the influence and authority of the social “sciences” has persisted in the hope of establishing universal social laws through the scientific study of “society”. However, sociology has been evaluated as a low-level science on the basis of evidentiary rigor and consensus on truth claims that are lower than those of the ‘natural sciences’. Therefore, based on a positivist view of science and focusing on the debates between public and professional sociology, this study aims to draw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scientific research methods and scientific evidence in sociology. 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scientific evidence, it analyzes whether sociology can prove its usefulness. With the so-called ‘crisis of sociology’,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bate on sociology’s identity is characterized by different solutions and no clear way forwar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and influence of sociology as a social ‘science’. First, the different positions and strategies of sociology’s influence on the “crisis of sociology” were analyzed by confronting public and professional sociology. It was attempted to critique whether the two sociologies, representing opposite positions and strategies, could be appropriat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is. Second, it examines the debate on the identity of sociology as a ‘science’ and critically examines the possibilities for social science to become scientific and to contribute to evidence-based policy-making in the midst of the crisis of trust and legitimacy of ‘science’. Third, a critical analysis of sociology’s impact on the “evidence-based policy” debate, suggesting that a solution to the “crisis of sociology” may lie in extending sociological research beyond the established group of researchers and exerting more influence.

      • KCI등재

        ‘관심있는 대중(Attentive Public)’에서 ‘참여적 시민(Participatory Citizen)’으로의 전환의 조건들:한국사회의 PUS에 대한 경험적 분석

        김명심,지연 한국과학기술학회 2022 과학기술학연구 Vol.22 No.2

        Empirical studies of the understanding of public science (PUS) in Korean society have been conducted in studies of science communication, civic participation, and the field of citizen science as case studies. Since the mid-1980s, when the concept of PUS appeared, it has been an empirical study centering on the administration of surveys in British and American countries. Some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through regular surveys, but few quantitative studies were seen relative to other countries. Although some studies have analyzed the public's knowledge–attitude–trust in relation to a surve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y have used a deficiency model or a science popularization model and have been subject to criticism. Recently, however,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have been seen in which survey protocols are used to determine citizens’ participator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overcoming criticism of the deficiency model.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attentive public can be converted to participatory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domestic science cultural activities conducted in 2021. The analysis finds that the attentive public not only shows a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culture but also shows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dea that citize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science culture and that citizens particip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science culture. Therefore, expanding the attentive public is possible on the basis of increasing positive attitudes and trust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ce culture, along with ultimately improving their capabilities as participatory citizens 한국사회에서 대중의 과학 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과학커뮤니케이션과 시민참여 및 시민과학 영역의 사례연구가 주를 이뤄왔다. PUS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등장한 1980년대 중반 이후 영미 국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경험적 연구가 시작되었고, 국내에서도 한국과학창의재단 등의 정기 설문조사를 통해 일부 경험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해외 사례와 비교할 수 있는 양적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특히, 설문조사를 토대로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지식-태도-신뢰’를 분석한 연구들은 결핍모델(deficit model) 또는 과학대중화 모델로 불리며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결핍모델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고 설문조사 프로토콜을 시민 참여적 과학기술 정책 결정에 활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2021년 수행한 국내 과학문화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심있는 대중’이 ‘참여적 시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관심있는 대중’은 과학적 소양(지식)과 과학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시민이 과학문화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시민의 참여가 과학문화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관심있는 대중’을 확대하는 것이 과학기술과 과학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신뢰를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참여적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후게이트(Climategate)와 기후과학 논쟁 - 환경과학 거버넌스에의 함의

        김명심,박희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1

        <P>기후변화연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던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의 기후연구소 연구자들의 사적 이메일을 해킹해 세상에 공표한 기후게이트 사건은 해킹이라는 불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들이 기후과학에 제기했던 주요 문제들을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은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소개되었던 기후게이트 사건의 전개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과학의 주요 논쟁점과 기후과학자들의 관행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보며, 나아가 기후게이트가 환경과학과 환경사회학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무엇보다 기후게이트는 기후변화과학이 지식과 방법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의 공격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연구절차를 더욱 투명하게 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고, 이는 기후게이트 조사보고서나 주요 언론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 논문은 1970년대 미국 환경청의 발암물질연구의 예와 라베츠(Ravetz)의 탈정상과학 논의를 빌어 연구절차의 투명성만으로는 부족하고 기후변화과학이 보다 중립적인 기구에 의해 검증을 받고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을 확장된 동료공동체로 삼아 이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함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