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JDC와 중국의 HDF 이도면세점 사업 비교 연구

        김명상 ( Myungsang Kim ),황자호 ( Zihao Huang ),양덕순 ( Duksoon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세계 1위 규모의 면세점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과 세계 1위 규모의 면세품 소비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양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이도면세점 사업을 비교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웹사이트 등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립 주체, 법 규정 유무, 사업목적, 내국인 고객 비율 등은 유사하였지만, 면세한도, 품목, 매출 성장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내국인의 비중이 높은 이도면세점의 특징을 고려하여 구매 절차 완화, 인터넷 판매 등의 제도개선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이도면세점 사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Korea, which has the world’s No. 1 duty-free shop sales, and China, which has the world’s No. 1 duty-free shop consumption, and find ways to revitalize the business. To this end, data such as academic papers, degree papers, research reports, and websi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founder, the existence of laws and regulations, business purposes, and the proportion of domestic customers were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ax exemption, items, and sales grow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ffshore Duty Free Shop,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native customers, a policy suggestion was made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system if efforts were made to ease purchasing procedures and improve the Internet sal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Offshore Duty Free Shop in Korea and China.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지방자치 관련 연구동향 분석: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박성배 ( Sungbae Park ),양덕순 ( Duksoon Yang ),김명상 ( Myungs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제주 지방자치’ 관련 연구들의 주제어를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발표된 196편의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지방자치-지방분권 등의 주요 연결단어들이 1~3기에 모두 고르게 나타났으나 출현 빈도가 적은 주제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자치경찰은 전국적인 도입을 앞두고 제주가 제도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국제자유도시와 특별자치도 완성을 위한 좀 더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시도가 필요하며 네트워크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words of the studies related to ‘Jeju local autonomy’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to draw suggestion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For this purpose, 196 academic journals publish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analyzed through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major connected words such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lf-governing police,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were found to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first to third periods, but research wa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hrough subject words that appeared less frequently, and the local police showed that Jeju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ystem ahead of the nationwide introduction. However, the limitation is that more diverse discussions and research attempts are needed to complete the international free city and special autonomous islands, and that various methods of network analysis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