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6기(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예순 ( Ye-soon Kim ),김명(교신저자) ( Myung Kim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건강설문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장애인 4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21.0을 이용하여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이용하였다. 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 상태, 직업, 가구총소득, 의료보험 종류, 스트레스 인지·우울증상 경험·자살 생각 정도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건강보험 종류, 스트레스 인지·우울증상 경험·자살 생각이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26.8%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장애인에 있어 스트레스, 우울, 자살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of HRQoL using over 19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data. Subjects were 479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 19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HRQoL is differentiated with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house economic status, medical insurance, type of disability, and grade of disabilit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RQoL were age, medical insurance, recognizing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thinking suicide. These factors explained 26.8% of variance in HRQoL.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recognizing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thinking suicide are statistically influential on HRQo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