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의 대형망원경 설치를 위한 사전조사연구

        김두환,장민환,김상준,KIM DOO HWAN,JANG MIN HWAN,KIM SANG JOON 한국천문학회 1998 天文學論叢 Vol.13 No.1

        We have investigated future large telescopes, which should represent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optical and infrared telescopes. We first studie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large telescopes in the USA,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Based on these studies, we came up suitable Korean large telescopes, which fit the current status of Korea in terms of financial situation, required technology, sciences, and manpower. We presented the potential impacts of developing large telescopes on the relevant Korean industry and Korean astronomical society. We also discussed a possibility to install large Korean telescopes at foreign sites utilizing highly competitive seeings and twice available observing dates there.

      • KCI등재후보

        북한지역 개발협력을 위한 국토종합구상 연구

        김두환,최대식,정연우,Kim, Doo-Hwan,Choi, Dae-Sik,Jung, Yeon-W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2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북한 국토개발의 기본 관점은 어떠해야 하는가. 남북협력이 본격화 하지 않은 시점에서 북한지역 국토종합구상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그 내용은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이 연구는 남북협력과 통일에 대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가 본격화 하는 시점에서, 이 같은 기본적 물음에 대한 고찰과 시론적 북한 국토구상 제시를 통해 향후 관련 학술적 실천적 논의와 연구에 기여하고자 했다. 먼저 남북관계가 한국의 공식 통일방안에 근거하여 '화해 협력', '남북연합' 단계를 거쳐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북한 개발구상의 기본 관점으로 협력과 공진의 관점, 미래지향적 지속가능발전 관점 그리고 산업 SOC 병행 발전 관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토현황 분석에서 좁게는 북한지역, 넓게는 한반도 전체와 필요한 경우 동북아지역까지 일부 포함한 지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부문과 권역별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한 SWOT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기본방향을 도출하였다. 국토구상에서는 여건분석을 통해 확인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국토비전과 목표, 전략과 함께 국토공간구조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산업, 도시, 교통, 환경 부문의 발전방향과 지역별 개발방향을 구상하였다. What is a role of the studies on spatial planning of Korean peninsular and its cities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and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ere should the basic perspectives be oriented for the process? Can a comprehensive plan of North Korea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lthough South-North cooperation does not get into its stride? If it can, which contents should the plan cover?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se issues and to suggest a preliminary land development approach of North Korea, which would contribute academic and practical debates on the issues, at this juncture of the cascade of studies on spatial planning in North Korea. It assume South-North relation would evolve from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confederation' into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is based on the official plan of South Korea. We suggest, as the basic perspectives of development approach, cooperation(or co-evolution), future-oriented sustainability, and parallel development of industry and physical infrastructure.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North Korea is explained by detail fields and sub-regions, which is used to analyse SWOT and to subsequently extract the basic directions(vision and strategies) of North Korea development. These directions are followed by the spatial structure plan to improve North Korea using the potential of the regions. Based on the plan,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detail fields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of a Continuous Alumina Fiber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 Materials

        김두환,박희정,박희정,Doo Hwan, Kim,Lavernia, E.J.,Earthman, J.C. Korean Society of Civil Engeneers 199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1 No.1

        장섬유 강화 마그네슘 복합제(FP/ZE41A)의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대한 열처리 효과를 규명한 것으로 TEM관측에 의해 알루미나 섬유와 마그네슘 복합 매트릭스간의 상호 접변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풀림을 실시하였다.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수직한 섬유와 평행한 섬유들에 대한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관한 실험을 실시 한 바,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수직한 시험편의 경우 열처리를 실시한 시험편은 잔류 응력을 제거시키지 않은 시험편에 비해 피로 균열 성장에 대한 더 많은 저항성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피로 균열 성장 방향에 평행한 시험편의 경우는 잔류 응력을 제거시키지 않은 시험편 이 열처리를 실시한 시험편에 비해 더 많은 피로 균열 성장 저항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피로 균열 성장 거동에 대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로 파괴 표면에 대한 연성 파열과 섬유 박리를 SEM관찰한 결과 열처리는 피로균열 성장 거동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섬유와 매트릭스 상호면의 강도를 약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were studied in continuously reinfored, magnesium-based composite (FP/ZE41A). Following an earlier TEM investigation, specimens were thermally aged to modify the interfacial zone between the alumina fibers and mg alloy matrix. The fatigue crack growth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specimens having the fiber orientation normal to the crack growth direction(longitudinal) and also specimens with the fibers oriented parallel to the crack growth direction(transverse). A comparision of the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dicates that aged longitudinal specimens are more resistant to fatigue crack growth than as-fabricated longitudinal specimens. Conversely, as-fabricated transverse specimens are more resistant to fatigue crack growth than aged transverse specimens. SEM observations of fiber pullout and ductile tearing on the fatigue fracture surfaces indicate that the aging weakens the strength of the fiber/matrix interface, giving rise to the observed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 KCI등재

        돈육 품질인증을 위한 도체 육질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김두환,서종태,곽석준,이정일,Kim, Doo-Hwan,Seo, Jong-Tae,Kwack, Suk-Chun,Lee, Jeong-Ill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4

        공시재료는 도축 후 24시간 동안 $-3^{\circ}C$ 예냉실에 보관한 후 좌등심(배최장근, longissimus dorsi muscle)을 정형한 후에 부경양돈농협 김해축산물 공판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육질평가 항목 중 근내지방을 기준으로 1-3점 점수를 받은 등심시료를 채취하여 근내지방도가 등심의 일반성분, 육색,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근내지방도에 따른 함유수분,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2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p<0.05). 근내지방도에 따른 pH 변화에서 IMF 2와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다(p<0.05). 전단가와 가열감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즙감량은 IMF 3 처리구가 IMF 2 처리구에 비해서는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으며, IMF 1 처리구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p<0.05). 경도(hardness)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2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며, IMF 1 처리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성(gumminess)은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점성을 보였다(p<0.05). 파쇄성(brittleness)은 근내지방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파쇄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 중 명도는 근내지방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 결과 육색과 육즙감량은 다른 항목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에 적색도는 단지 전단가와 경도에서만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H는 육색과 육즙감량간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함유수분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muscular fat scores on pork quality assurance. Pork loins were collected from animals (110-120 kg body weight) slaughtered in a commercial slaughterhouse, assigned an IMF score (1-3) from and stored for 24 hrs at $-3^{\circ}C$. Samples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pH, cooking and drip loss, shear force, meat color, and texture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IMF score groups. The crude fat content of the IMF score 3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MF score 1 and 2 groups (p<0.05). The pH values of the IMF score 2 and 3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MF score 1 group (p<0.05).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force value and cooking loss among the IMF score groups. The purge loss content of the IMF 3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MF score 1 group (p<0.05). The increase in IMF score resulted in lower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values. The hardness and gumminess of the IMF score 3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IMF 1 score group. The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IMF score groups. With regard to meat color traits, lightness ($CI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IMF score groups. The $a^*\;and\;b^*$ valu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IMF score.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IE color values and drip lo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only red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hear force and hardness. p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IE color values and drip loss,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isture content.

      • KCI등재

        복합재료 바닥판 부재의 정적 및 피로거동에 관한 시험적 연구

        김두환,김영찬,Kim. Doo-Hwan,Kim. Young-Chan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2

        복합재료가 건설 분야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일반 기술자에게 이론을 쉽게 하기 위한 연구와 시험을 통한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인 FRP 바닥판 부재의 따른 정적 및 피로성능을 평가하고 향후 FRP 바닥판의 해석 및 설계기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복합재료의 구조재 활용을 위한 기반기술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정적시험 결과 섬유방향 시험체가 섬유직각방향 시험체보다 큰 강성을 갖고 있으며 데이터 값이 훨씬 수렴되는 경향을 보이는바 이는 파괴과정에서 기지 배열에 따른 구조 특성으로 보다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로시험 결과 섬유방향 시험체는 섬유직각방향 시험체가 초기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시험체의 반복횟수가 증가하면서 파괴 직전에 균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접착면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It is required to accumulate experimental datum that make the theories easy to general technicians in order to use composite material widely on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we intend to present base technologies that evaluate static and fatigu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RP deck section and offer the basis datum for FRP deck analyses and the design standards. As results of static tests, it can be shown that specimen with fabric direction has higher rigidity than that with normal to fabric direction and convergence for the datum. Due to this reason, it has more stable behavior b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trix arrangement during destruction. For the fatigue tests, we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est repetition, test specimen with fabric direction had an crack just before the destruction, and the contact surface was detached.

      • 종돈의 사회성 위해행동 발현에 관한 연구

        김두환,하덕민,전중환,송준익,문상호,Kim, Doo-Hwan,Ha, Duk-Min,Jeon, Jung-Hwan,Song, Jun-Ik,Moon, Sang-Ho 한국축산환경학회 2013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harmful social behaviours in breeding pigs. Totally 64 pure breed pigs were as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reed (Yorkshire and Duroc) and sex (male and female) on the expression of each harmful social behaviours at the GGP level commercial breeding farm. Sucking, bothering, fighting and pushing behaviour were selected the notable harmful social behaviour. The most prevailing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time spent in harmful social behaviours were bothering and sucking, respectively. Total frequency of bothering and fighting were more in Duroc than Yorkshire. Yorkshire had more proportion of time spent in sucking whereas fighting was more in Duroc. According to sex, female pigs had more frequency of sucking and pushing whereas fighting was significantly more in male pigs. The female pigs showed more time spent in sucking whereas bothering and fighting was more in male pigs.

      • 돈방바닥 면적과 형태가 비육돈의 생산과 행동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두환,하덕민,송준익,전중환,Kim, Doo Hwan,Ha, Duck Min,Song, Jun Ik,Jeon, Jung Hwa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3

        비육돈사의 돈방 바닥면적과 형태가 체중 80 kg 이상 버크셔종 비육돈의 생산효율과 행동특성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36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육돈사 돈방바닥 형태는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두당 바닥면적은 $1.0m^2$와 $2.5m^2$를 비교하였는데,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과 눕고, 걷고 먹는 등의 동작으로 보낸 시간의 비율 등 행동특성 및 부분육 생산량 비교, 등심근 pH, 보수성, 육즙손실, 전단력과 같은 도체품질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육돈의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등 생산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당 바닥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돈방바닥을 톱밥으로 처리하여도 생산효율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옆으로 누운 자세와 걷는 동작으로 보낸 시간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앉고 걷고 먹고 마시는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당 바닥면적과 바닥형태 차이는 돈육 등심근의 수분함량, pH, 보수성, 육즙손실 및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m^2$와 $2.5m^2$의 두당 바닥면적 및 콘크리트 슬랏 바닥과 톱밥바닥 간에 등심근의 육질특성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loor space and type of finishing building on performance, behaviour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 Three hundred and thirty six finishing pigs were alloted into two space allowance ($1.0m^2$and $2.5m^2$/pig) and two floor type (concrete slat and bedded with sawdust) of finishing buil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space allowance in the body gain, feed intake and feed per gain. And also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was not affected by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pig. Space allowance per pig affected the maintenance behaviou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in the spent time on lying, sitting and standing. Floor type was affected by the occurrence of standing behaviour, the finishing pigs in the bedded with sawdust showed less occurrence of standing. Carcass trai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of space allowance and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ork loin between the space allowance and floor type of finishing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